뮤지코필리아 -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
올리버 색스 지음, 장호연 옮김, 김종성 감수 / 알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음악은 그 장르를 불문하고 항상 우리 곁에 존재한다. 듣고자 하는 의지와는 상관없이 거리에서도 누군가 켜놓은 사무실 라디오를 통해서 휴대전화의 벨소리, 음악은 우리의 귀를 자극한다. 아침에 메일을 확인하고 개인 블로그에 음악을 켜고 하루를 시작한다. 그 날 그 날 컨디션에 따라 선곡하는 음악도 다르다. 또한 특정한 음악을 들을 때면 떠오르는 이미지 하나쯤 누구나 있을 것이다.

 저자 올리버 색스는 오랜 기간 환자들과의 교류를 책으로 발간하여 화제가 되곤 했다. 그 중 <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를 만났다. 이번에 그가 쓴 <뮤지코필리아>라는 책은 음악을 통해 발견한 놀라운 사실들의 기록이다.  음악으로 치유되고 음악으로 고통받고 결국 음악으로 하나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 음악 때문에 겪는 여러가지 상황들은 결국 뇌로 이어지고 우리의 뇌는 정말 미지의 공간이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남에게 들리지 않는 음악이 시도 때로 없이 자신에게만 들리는 사람, 어제까지 즐겨 들었던 음악이 오늘은 낯설게 느껴지는 사람, 열심히 연주하던 악기를 연주 할 수 없게 된 음악가, 치매로 인해 하루 종일 노래를 부르게 되는 사람들, 음악에만 놀라운 능력을 부여받은 사람들. 결국 그 환청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 그 고통들을 끌어안는 법, 그 모든 것을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사는 그들에게 음악은 어떤 존재일까?

 보여지지 않는 드러나지 않는 환청에 시달리는 고통을 안고 살아간다면 그것은 세상과의 단절이며 세상과 고립된다는 느낌일 것이다.  이루 말할 수 없는 특이한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올리버 색스라는 의사에게 증상을 호소하고 의견을 구하는 것은 올리버 색스가 그들에게 지닌 기본적인 의사로써 갖춘 그 외의 열정과 애정을 알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전문서적에 가까운 이 책이 궁금했던 이유도 <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 에서 느꼈던 저자에 대한 믿음때문이다. 더구나 뇌에 관한 질병을 가진 사람들은 가족과 지인들외의 다른 사람들에게는 이해할 수 없다는 시선을 받고 있는게 사실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치료를 위해 자신의 피아노를 병동으로 가져다 놓는 의사는 얼마나 든든한 존재이겠는가.

 음악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척 크다. 다리 수술 후 걸을 수 없을 것 같은 사람이 특정 음악을 듣고 걷기 시작할 수 있었다는 것, 싫어증에 음악치료의 접근이 효과적이었다는 것, 파킨슨 병 환자들에게 필요한 것, 이 모두는 뇌가 어떤 음악적 흐름에 움직인다는 것을 이야기해 주고 있는 것이다. 그외도 일반적으로 우리는 음악을 통해 지친 마음을 위로받고 음악을 통해 아름다운 추억을 떠올린다.  

 지금도 음악을 듣는다. 내게도 상한 마음을 위로해주고 불안에 휩싸여 있을 때 나를 지켜준 노래가 있다. 장시간 수술 후 마취에서 깨어나 입은 뗄 수 없었을 때, 숨을 쉴 수 없어 중환실에 산소 마스크를 달고 있을때에도 내 머리속에는 흐르는 노래가 있었다. < 축복송 > 이라는 가스펠송인데, 이상하게 그 노래를 듣고 있거나 마음으로 부르고 있으면 큰 위안이 된다. 아마도 나의 뇌는 < 축복송 > 이라는 음악적 신호를 감지하고 있었던 것일까? 

 앞으로도 지금처럼 음악은 우리의 곁에 존재할 것이다.  즐거울 때 흥을 돋어주고, 슬플 때 위로가 되어 줄 것이다. 또한 그 음악으로 인해 여전하게 고통받는 사람들 역시 음악과 함께 할 것이다. 

 올리버 색스를 통해 새로이 알게 되는 뇌질환 환자들의 이야기,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이야기임이 분명하다. 특별한 시선이 아닌 있는 그대로를 바라봐주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그가 참으로 고맙고 그의 또 다른 시선이 기대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뒷북소녀 2008-07-28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해요! 자목련님!
여기서 만나니까 무지 반가운걸요~^^

자목련 2008-07-29 14:20   좋아요 0 | URL
아, 뒷북소녀님..
어떻게 여기까지 찾아주시고, 저도 반가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