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의 바다 - 제12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정한아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수상작 이라는 이름을 꼬리표로 달고 나온 소설은 언제나 큰 기대를 가지게 한다. 물론 많은 수장작가들은 그 뒤로 많은 좋은 작품들을 써냈고 몇 몇 작가들에 대해서는 그네들의 작품을 손꼽아 기다리게 하기도 한다.
달의 바다를 쓴 정한아 라는 작가를 검색하면서 주저하고 있는 나를 보았다. 왜냐하면 그녀는 내게는 너무 낯선 신세대라는 점이었다. 호평이 쏟아지는 이 책의 선택은 다른 수상작에 비해 그렇게 먼 시간을 돌아서 내손에 들어왔다.
(꿈꿔왔던 것에 가까이 가본 적 있어요? 그건 사실 끔찍하리만치 실망스러운 일이에요. 7쪽)
(사는게 선택의 문제라면 저는 제 손에 있는 것만 바라보고 싶거든요. 11쪽)
책을 펼침과 동시에 눈에 박히는 이 첫 문장을 읽는 순간,내가 가진 기우는 금세 사라지고 말았다. 이런 느낌을 안다는 것은 꾸며 지은 글이라는 소설 속 문장이라 하기에는 너무 소름 돋는 일이기 때문이다.
주인공 은미의 고모가 할머니에게 보내온 우주비행사의 일상과 달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를 담은 편지 부분과 할머니의 부탁으로 고모를 만나러 미국에 다녀 온 은미의 이야기로 쓰여져있다.정말 고모는 우주비행사일까? 미혼모를 시작으로 불행이 함께 한 짧은 결혼생활의 끝에 그녀는 정말 할머니가 꿈꿨던 그 달을 왕래하는 일을 하며 행복해하고 있을까? 몇 년째 떨어지는 취업의 낙방을 뒤로하고 15년전 연락이 끊긴 고모를 만나러 가는 은미의 눈에 펼쳐진 고모의 모습은 편지의 내용과는 극과 극의 상황이었다. 탄탄대로가 펼쳐질꺼라 여겼던 고모와 은미의 성장과정은 우리가 흔히 예상하는 하이웨이가 아니었다. 그러한 모습을 통해서 은미는 죽음을 준비하던 자신을 보게 된다. 언제 죽음을 맞이할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매일 매일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고모의 일상을 뒤로하고 은미는 월석이라며 미국에서 가지고 온 돌을 할머니,할아버지에게 선물한다.
현실을 신으로 여기는 할아버지,꿈을 사랑하는 할머니, 대를 이어온 갈비집과 이제 더 이상 신문기자를 꿈꾸지 않는 은미,또 다른 나로 살기를 희망하는 친구 민, 이제 엄마를 꿈꾸는 찬이를 통해 이 소설속에는 현실을 자각함과 동시에 그 안에서 꿈꾸는 희망을 보게 된다.우리가 살고 있는 삶이라는 것을 작가 정한아는 너무 일찍 알아버렸다고 해야할까? 아니, 너무 많이 알아버린 것이리라. 그럼에도 소설속에서 묘사되는 달에 대한 환상은 어릴 적 내가 꿈꾸던 계수나무 아래 방아를 찧는 토끼의 모습이다.
(언제든지 명령이 떨어지면 저는 이곳에서 완전히 정작할 준비를 시작해야 해요. 그 때가 되면 더이상 편지는 쓰지 못할 거예요. 다이아몬드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달의 바닷가에 제가 있다고 생각하세요. 161쪽)고모가 보낸 마지막 편지처럼 우리는 보이지 않는 빛을 보이는 별을 믿고 달을 믿는다.
힘든 현실속에서도 아름다운 달을 선물한 고모의 눈물겨운 웃음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우리는 어느 누군가에게는 때로 진실이 아닌 거짓으로 행복을 주기도 한다. 또한 대를 이어온 갈비집에서 갈비를 자르는 은미의 웃음이 누군가에겐 거짓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은미에게는 진심인 행복인 걸 모르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믿고 다가가고 있는 소망의 끝은 어쩜 허상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과정이 우리의 삶이고 그 안에 행복이 있다는 것을 아는 일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산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신비로운 것이라는 막연함으로 책을 읽은 많은 호평속에서의 눈물대신 나는 담담한 표정으로 그 밑에 덧글을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