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소설은 읽었는데 기억이 나지 않고 어떤 소설은 읽었다고 착각한다. 박완서 작가의 『나목』도 그런 소설이었다. 읽은 건 같은데 내용이 생각이 나지 않았다. 박수근 화가, 한국전쟁, 그 정도만 생각났다. 읽었다고 하면 제대로 읽지 않은 것이고 읽지 않았다고 하면 방송이나 지인이 언급한 내용에 읽었다고 여긴 것이다. 읽고 있는데 읽은 것 같다. 그러니까 제대로가 아닌 대충인 것이다.


대학 때 교양 국어 수업을 들었다. 강사가 박완서 작가를 닮은 분이셨다. 그 수업이 좋았던 기억이 떠올랐다. 학점과는 상관없이 말이다. 친구는 아이가 어렸을 때 도서관에서 책을 많이 빌렸다. 종종 통화를 할 때면 책 목록에 대해 말하곤 했는데 당시 친구가 빌린 목록 가운데 박완서 소설이 있었다. 초등학생용 도서였다. 나중에 통화할 때 『나목』에 대해 물어봐야겠다. 친구는 제대로 읽었을 것 같다. 대신 내게는 『나목에 핀 꽃』이 있다. 좋아하는 동생이 선물한 책인데 시간의 두께가 가득하다. 이 기회에 다시 읽어봐야겠다.







매년 의식처럼 구매했던 젊은작가상을 올해부터는 수상작품 가운데 읽은 소설도 있어서 사지 않기로 했는데 읽고 싶은 작가의 단편이 있어 구매했다. 김멜라와 김남숙 소설만 읽을 것 같다. 다른 소설은 작가노트만 읽을지도 모른다.


카뮈의 에세이를 읽은 기억이 없다. 카뮈의 에세이 『결혼·여름』도 이번 여름에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실은 녹색광선에서 나온 『결혼·여름』를 구매하고 싶었는데 가격을 생각하며 미뤘는데 이번에 책세상에서 나온 걸 보고 구매했다. 예쁜 건 녹생광선의 책이 진짜 예쁘다. 덥다. 조금이 아니라 제법 많이 덥다. 읽는 즐거움이 더위를 잊을 수 있게 해주면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4-06-17 1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나목 갖고 싶게 만들었네요.
요즘 드라마 ‘졸업‘ 보고 있는데 고등학교 국어에 박완서 작가의 작품을 가르치더군요.
가끔 국어 교과서도 좀 훑어봐야겠구나 싶더군요.
나목은 저도 읽었는데 내용이 기억이 안 나네요.ㅠ

자목련 2024-06-19 10:22   좋아요 0 | URL
네, 정말 예쁩니다. 읽는 맛이 좋다고 할까요.
국어 교과서 본 기억이 없는데 궁금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