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과거시제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어떤 미래를 경험할까? 미래를 산다는 게 아니라 경험한다는 것, 도달할 미래에 내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커서다. 100세 시대가 되었지만 모두에게 공평한 미래가 주어지는 건 아니다. 우주여행, 다른 행성으로의 이주, 보편화된 AI의 시대, 로봇이 일상화된 미래에서 나는 얼마나 그들과 동화할 수 있을까. 배명훈의 SF 소설 단편소설집 『미래과거시제』를 읽으며 든 생각이다. 배명훈의 그려내는 미래 시대는 기발하다는 표현으로는 부족하다. 그것은 나의 상상력과 이해력의 한계가 있다는 말과 같다.


9편의 이야기는 현실적이면서도 정말 먼 미래에 먼저 도착한 작가가 과거를 회상하는 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표제작 「미래과거시제」는 시간을 자유자재로 살아가는 인물과 만나는 설정이라고 할까. 아니 사실 나는 이 소설을 이해하지 못했다. 이해는커녕 자꾸면 되돌이표처럼 돌아가는 읽기를 반복했다. 과거, 현재, 미래를 살아가는 게 우리가 아는 삶이지만 그렇지 않은 삶이 존재한다는 것. 그러니까 다른 시간을 사는 ‘은신’과 보통의 ‘은경’이 만나 연인이 되었다 헤어지는 과정 속에서 ‘은신’의 말에 담긴 비밀. 그것을 ‘은경’이 알아내면서 그들은 다시 만나는 흥미로운 소설. 사실 이렇게 말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배명훈은 언어야말로 시간에 따라 가장 빠르게 변하고 시대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미래과거시제」에서 다룬 것처럼 「차카타파의 열망으로」는 독자를 혼란으로 초대한다. 단편을 처음 읽을 때 오타나 편집에서 잘못된 게 아닐까 싶었다. 미래의 대학 역사학과 격리 실습실이 등장하는데 그곳에는 과거 코로나로 인한 기억으로 비말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병을 막기 위해 'ㅊ, ㅋ, ㅌ, ㅍ'를 사용하지 않는다. 즉 이 소설에는 'ㅊ, ㅋ, ㅌ, ㅍ, ㅉ, ㄸ, ㅃ' 이 등장하지 않는다. 이런 발상과 소설을 쓸 수 있을까. 그뿐 아니다. 판소리 형태로 풀어낸 SF 「임시 조종사」도 있다. 오직 배명훈만이 할 수 있고 쓸 수 있는 소설이라 놀라고 감탄한다.


가장 가까운 미래를 예측하고 경험할 수 있는 「수요곡선의 수호자」에서는 심해도시 건설 현장이 등장한다. ‘유희’는 명목상 관리 감독에 불과하다. 크고 작은 로봇들이 일하며 실제로 현장을 지휘 감독하는 것은 회사 AI였다. 그곳에서 ‘유희’가 발견한 ‘마사로’는 오직 소비를 위한 로봇이다. ‘마사로’ 고래상어 감상을 하러 바다 밑으로 떠났다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유희’에게 발견되었다. 인간이 아닌 로봇이 등장한 가장 최초의 목적은 대량 생산을 떠올렸을 때 미래에 이런 일을 하는 로봇의 등장도 가능하겠다. 예술, 창작도 가능한 ‘ChatGPT’의 등장을 생각할 때 마사로 같은 로봇의 소비로 작은 무대에서 공연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 인간 본연의 창작활동이 사라진 미래는 나에게는 아찔하고 마주하고 싶지 않은 현실이다.


우주선과 외계인의 등장이 일상이 된 미래를 생각하면 「인류의 대변자」에서 우주선이 한국의 서울, 가장 높은 빌딩은 꼭대기에 정박하는 설정은 친근할 정도다. 재미있는 건 외계인을 응대하는 이들의 방식이다.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그들에게 요구하는 것들. 배명훈의 외계인은 변신이 자유롭고 다리가 셋, 머리가 하나, 눈이 세 개, 팔이 여섯이 모습이다. 하긴 외계인의 모습을 규정하는 건 시대착오적 발상이다. 그들의 존재에 대해 외화감을 느끼는 것도 이상하다. 아무튼 이 소설에서 빵 터졌는데 특정한 날, 비행 금지를 요청하는 부분이다. 우주선, 외계인이 등장하는 시대에도 변함없는 수능이라니. 배명훈의 센스라고 할까.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고, 하아, 국가에서 관리하는 대학 입시 기본 시험입니다. 크게 다섯 과목으로 나눠서 보는데 3교시가 영어에요. 시작하자마자 듣기 평가가 있는데 전국적으로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조건으로 녹음된 문제를 틀어야 해요. (…) 외계인도 외국인도 예외는 없습니다.” (193~194쪽, 「인류의 대변자」)


화성으로 가는 우주선을 배경으로 한 「접히는 신들」은 아름다운 감동을 안겨준 단편이다. 목성, 화성, 지구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살아가는 미래에서 외계인을 발견하는 이야기다. 종이처럼 2차원으로 펼쳐서 보낸 다음 목적지에서 3차원으로 접는 방법으로 이동했을 거라는 설정. 미래에는 외계인 발굴도 고대 유물에 속할지도 모른다. 외계인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없다면 불가능할 것이다.


자기를 알아볼 수 있는 존재가 나타나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을 기다렸을까. 누군가가 찾아내 맥박을 타진할 때까지 얼마나 긴 시간을 홀로 고독했을까. 먼지에 파묻힌 자신의 디자인을 찾아내 하나하나 고이 접어 3차원 공간에 되살려줄 그 귀한 손을 만나게 될 때까지. (162쪽, 「접히는 신들」)


처음 소설을 읽을 때는 표지를 자세히 보지 않았다. 나중에 다시 보니 소설의 고스란히 담긴 듯했다. 표지부터 이미 『미래과거시제』가 시작된 느낌이라고 할까. 각 단편마다 작가노트가 있어 소설에 대한 접근이 수월한 점이 있지만 쉽지 않은 책이었다. 『미래과거시제』에 대해 단순히 재미의 유무로 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 배명훈이 꿈꾸고 추구하는 미래가 있다고 할까. 내게 선명하게 보이지 않지만 여전히 궁금하고 기대되는 미래라는 건 부정할 수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3-04-03 1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명훈 작가를 마지막으로 만난
게 <맛집 폭격>이었는데 그게
벌써 9년 전이네요. 놀라워라.

소설집이군요. 낭중에 도서관에
서 만나 보는 것으로.

자목련 2023-04-04 09:12   좋아요 1 | URL
배명훈 소설을 많이 읽은 건 아니지만 빠르고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그래서 이 소설은 너무 어려웠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