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주인은 나라고, 인생이라는 무대 위에서 주인공은 그 누구도 아닌 나라는 걸 안다. 하지만 1인 극이 아닌 이상 연극에서는 조연도 단역도 지나가는 행인도 필요하다. 때로 주연보다 단역이나 조연의 말이 깊은 울림을 주고 다시는 볼일 없는 행인의 말 한마디가 평생 남기도 한다. 그만큼 사는 일은 혼자만 잘 해서 되는 게 아니고 혼자만 잘 하기도 어렵다. 가깝게는 가족, 지인, 친구도 잘 지내야 하고 멀게는 사회와 나라도 잘 살아야 한다. 잘 해내고 싶은 마음이 그대로 인생에 스며들면 좋겠지만 불행은 어디서든 슬그머니 찾아오기 마련이다. 때로는 어떤 암시로 때로는 어떤 기척으로. 


평온했던 일상이 깨지는 건 한순간이다. 한순간은 방금이 아니리 이미 예견된 것이기도 해서 당혹스럽다. 어떻게든 순간을 모면하면 괜찮을 거란 생각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뭔가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안고 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그 해결책이 있는 건 아니다. 누군가는 이가 빠진 그릇을 내동댕이치지만 누군가는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것처럼. 저마다의 인생은 그렇게 흘러간다. 그게 인생이라고, 그러니 어쩌겠냐고 카버는 말한다.





단편 소설집 『누가 이 침대를 쓰고 있었든』에 국내에 번역되지 않았던 11편의 단편은 그런 이야기다. 어찌할 수 없는 삶의 무게, 도무지 이유를 찾을 수 없는 일들 앞에서 무너지지 않으려 애쓰는 이야기. 너무 딱해서 그만 놔버리라고 말해버리고 싶은 이들이 등장한다. 나는 이해할 수 없는 삶, 그러다가 내가 어찌 감히 그들을 이해할 수 있을까 싶다. 표제작 「누가 이 침대를 쓰고 있었든」는 새벽 세 시에 잘못 걸려온 전화 한 통으로 시작한다. 재혼한 중년의 부부는 그 전화 한 통으로 잠을 설쳤다. 전화를 건 여자는 낯선 이름의 남자를 찾는다. 남편은 전하기 코드를 빼는 게 아니라 수화기를 내려놓는다. 부부는 다시 잠들 수 없다. 소소하고 사소한 것들로 대화를 시작한다. 전 남편이 등장하는 아내의 꿈,에 대해 죽음이 다가왔을 때 생명유지 장치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진다. 아내는 남편이 그것을 빼주기를 원하지만 남편은 다르다. 남편은 끝내 유지하기를 바란다.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면 어떤 형태의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 


우리는 미쳤다. 하지만 내가 지금 무슨 말을 하든 그게 언젠가 나에게 돌아오지도 모른다는 걸 깨닫는다. 이건 중요하다. 지금 여기에서 우리가 말하고 있는 건 죽느냐 사느냐 하는 문제다. (「누가 이 침대를 쓰고 있었든」, 123쪽)


귀찮은 전화 한 통을 누가 받을지 서로 다투고 잠을 설치고 커피를 타주기를 미루는 마음, 피곤함을 안고 출근을 하고 일상은 이어진다. 하지만 그 밤에 부부가 나눈 대화는 남편에게 어떤 선을 넘은 것 같고 한 번도 와 보지 않은 장소에 도착한 듯한 느낌이다. 다시 전화기가 울리고 같은 목소리의 그 여자는 새벽의 일을 사과한다. 여자의 전화가 아니었다면 부부는 죽음에 이르는 그런 심오한 대화를 나눴을까. 누구에게나 일어날 법한 불쾌한 경험을 카버는 인생의 중심으로 끌어다 놓는다. 산다는 건 시시콜콜한 것들로 채워지고 죽음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그러니 내 앞에 놓인 문제들 때문에 속 썩을 필요가 없는 걸까. 고민한 만큼 소멸된다면야 모를까. 


나 혼자라면 괜찮다. 그게 아니라서 어려운 거다. 그놈의 가족, 그 관계 때문에 지치고 영혼은 낡고 닳아버린다. 모든 게 불평불만인 어머니가 이사를 가기 전 아들 내외와 저녁을 먹게 그릇을 챙겨오라는 「상자들」과 “동생에게 그 돈을 주는 게 실수였다는 건 알고 있었다.”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코끼리」를 읽는 내내 나는 내내 불안했다. 뭔가 폭발할 것 같아서, 단편 속 누군가가 죽거나 다칠 것만 같아서 말이다. 작년 8월에 아들이 사는 곳으로 이사를 온 후 이삿짐을 샀지만 반년이 지나도록 이사를 가지 않는 어머니. 아들에게 자신이 얼마나 외롭고 쓸쓸한지 말하며 상자들과 함께 살아가는 어머니와 재혼한 아내 사이에서 아들은 어머니를 저버릴 수 없다. 어떤 결단을 내릴 수 없다. 


「코끼리」도 마찬가지다. 형밖에 부탁할 사람이 없다는 동생, 생활비를 안 줄까 봐 걱정하는 어머니, 이혼한 전처에게 지급되는 돈, 학비를 부탁하는 아들, 일을 구할 때까지만 도와달라는 딸. 피곤에 찌든 중년의 육체노동자를 떠올린다. 내 주변이 누군가와 닮은 듯한 그. 철들지 못하고 자립하지 못한 가족들. 경제적인 지원이 당연한 줄 아는 그들에게 화는커녕 단 한 번의 소리도 지르지 않는 남자. 그가 마침내 삶을 포기할까 봐 나는 무섭고 두려웠다. 카버가 그런 결말을 맺지 않아서 이상하게 고맙고 안도했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이런 우스갯소리를 할 수 있어서 좋다. 


새삼 생각하고 지난 삶을 돌아본다. 익숙함에 길들여져 놓치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 떠나야 할 이유를 편지에 썼지만 그걸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아내가 왜 떠나는지 짐작도 못하는 「블랙버드 파이」의 남편처럼 우리도 그런 실수를 한다. 어쩌면 예측할 수 없고 짐작할 수 없기에 지랄맞은 오늘을 보내고 내일을 기대하는지도 모른다. 무너졌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면서 살아간다. 어떤 암시를 찾으려 노력하고 귀를 기울여 낮은 기척에 반응하려 부단히 애쓰면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3-02-17 11: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 서점갈 때마다 눈에 띄던데...자목련님 리뷰를 읽으니 또 스르르~ 책 읽고 싶네요.
한 번 찾아봐야겠어요^^

자목련 2023-02-17 11:52   좋아요 1 | URL
서점에 가셨을 때 꼼꼼히 살펴보시고, 단편 하나 정도 읽고 결정해셔도 좋을 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