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락의 아내
토레 렌베르그 지음, 손화수 옮김 / 작가정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턱을 가린 덥수룩한 수염, 오뚝한 코, 가늘게 뜬 눈, 표지 속 남자는 분명 ‘톨락’일 것이다. 조금은 쓸쓸하면서도 괴로운 표정을 짓는 이 남자에게 어떤 사연이 있을까? 노르웨이 문학의 거장 토레 렌베르그의 소설 『톨락의 아내』는 제목만 보면 아내의 이야기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정작 소설을 들여다보면 톨락의 아내 ‘잉에보르그’가 아닌 그녀의 남편 톨락에 관한 이야기다. 


소설은 화자 톨락이 자신의 지난 삶과 실종된 아내 잉에보르그를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세상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톨락을 온전히 사랑하고 이해하려 노력했던 아내는 어디로 사리진 것일까. 소설은 오직 톨락의 시선을 통해 전개된다. 사라진 아내, 아들과 딸, 주변 상인과 이웃은 단역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톨락에 의한 톨락을 위한 톨락의 삶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무대 중앙에 덩그러니 앉자 고해성사를 하는 한 남자를 상상하게 된다. 아내가 사라진 후 그의 곁에는 입양한 아이 ‘오도’가 있을 뿐이다. 장애가 있는 아이 오도를 입양한 이유는 설명하지 않는다. 그저 생모로부터 제대로 된 돌봄을 받지 못해 아내에게 동의를 구하고 데려온 정도다. 아내는 오도를 정성으로 대했고 치료를 위해 애를 썼다.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 같았다. 톨락은 그렇게 믿었으니까. 


톨락은 스스로 세상과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임을 인정한다. 도시 외곽의 목재소만으로 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아내만 있으면 다 괜찮았다. 톨락이라는 거대하고 단단한 성에 들어와 살 수 있는 이는 잉에보르그, 단 한 사람뿐이다. 시대가 바뀌고 도시로 이사를 가자는 아내도 그를 꺾을 수 없었다. 아들과 딸에게도 톨락은 친절하거나 좋은 아빠가 아니었다.


톨락은 자식들과 어떻게 지내야 하는지, 소통하려 노력하지 않았다. 자신의 아버지가 그랬듯 자신의 세계에 갇혀 살았다. 자식들과 자신 사이에 불편함은 잉에보르그가 해결해 주었다. 그러나 그 모든 게 다 과거일 뿐이다. 아내는 실종되었고 아이들은 성장해서 각자의 삶을 꾸려 톨락의 곁을 떠났다. 오도만이 톨락과 지낼 뿐이다.


자기 자신과 화해하는 데는 무척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사람들은 결국 스스로와 화해하기 마련이다. 살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내가 과거에 행했던 모든 일과 과거에 보았던 모든 것과 과거에 만났던 모든 사람들이 차례차례 눈앞에 스친다. 하나도 빠짐없이, 좋든 싫든, 바로 그때, 우리는 스스로와 화해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것은 바로 지금의 내 모습이다. (55쪽)


톨락은 암에 걸려 죽음을 맞이한 아버지처럼 자신의 삶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이제 자식들에게 진실을 말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톨락이 꺼내려는 진실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제목이 말해주는 아내 잉에보르그에 관한 것이리라. 톨락과 잉에보르그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을까. 독자 역시 가장 궁금해하는 일이다. 물론 이미 톨락의 고백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외통수와 고집불통의 남자, 그를 닮은 아이 오도에 관한 진실까지도 말이다.


톨락은 자신만의 삶을 살았다고 자신할지도 모른다. 친절하고 다정한 잉에보르그를 진심으로 사랑했다고 자신할 것이다. 그랬기에 오도를 대하는 잉에보르그의 이중적 태도에 그의 행동도 후회가 아닌 사랑이었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자신이 정해놓은 것 외에는 어떤 것도 용납하지 않는 남자. 완고하고 억센 가부장적인 아버지, 잉에보르그를 향한 모든 게 사랑이라고 믿는 남자의 치유될 수 없는 고통. 스스로가 부여한 고통을 그는 끝낼 수 있을까. 


『톨락의 아내』가 특별한 점은 실종된 아내를 내세워 범인을 찾아가는 추리와 스릴러 방식을 표방하고 있지만 자전적 소설이자 독백이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톨락과 그의 아내가 얼마나 서로를 사랑했는지 보여주는 건 하나의 장치에 불과하다. 톨락이란 남자의 어두운 내면을 표현하는 토레 렌베르그의 문체가 이 소설이 지닌 가장 큰 매력이다. 어찌할 바를 모르는 감정을 서툴게 내뱉으면서도 단호하고 차분하게 자신을 객관화시킨 문장은 아름답다. 압축된 세 문장으로 소설의 전부를 보여준다. 이것으로 『톨락의 아내』를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내 이름은 톨락. 나는 과거에 속한 사람이다. 나는 이 세상 어느 곳과도 걸맞지 않는다. (260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2-09-07 16: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늘 교보에 갔다가 이 책을
보고 살까 말까 고민하다가
얌전하게 내려 놓았습니다.

대신 크리스티앙 보뱅의 책
을 샀네요.

결국 톨락도 읽게 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자목련 2022-09-07 16:05   좋아요 2 | URL
이 책, 묘하게 매력적입니다.
보뱅의 <가벼운 마음>을 사셨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