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돌보는 마음
김유담 지음 / 민음사 / 2022년 3월
평점 :
사랑과 돌봄은 같은 것일까? 상대가 나를 사랑한다는 건 알겠지만 돌본 적은 없었다는 느낌, 돌봄을 받으면서도 그 행위에 사랑이 담겼다고 확신할 수 없었던 순간들이 있다. 사느라 항상 바빴던 엄마와 입원한 나를 간병했던 작은 엄마를 통해서다. 어쩌면 사랑과 돌봄은 별개의 것인지도 모른다. 돌봄을 받을 수 있는 게 중요하다.
김유담의 소설집 『돌보는 마음』에 수록된 10편의 이야기엔 다양한 세대의 여성이 등장한다. 돌봄을 받고, 누군가를 돌보며 살아가는 여성을 통해 삶과 돌봄의 변화를 생각한다. 돌봄이 여성의 몫이라는 인식은 출산과 육아 때문이다. 아이를 낳는 일을 그렇지만 키우는 일은 다르다. 그럼에도 여전히 우리 사회는 여성에게 돌봄을 강요한다.
표제작 「돌보는 마음」은 마흔이 넘어 출산 한 미연이 복직을 위해 베이비 시터를 구하는 과정을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미연은 주어진 육아휴직을 다 쓸 수 있지만 경력 단절로 이어질 뻔한 결말을 알고 있다. 고액을 지불하고 베이비 시터를 구했지만 믿을 수 없어 CCTV로 확인한다. 베이비 시터의 잘못된 행실을 알고도 자신이 아이를 돌보지 못한다는 죄책감을 갖고 있다. 왜 미연은 그래야만 하는가.
미연처럼 엄마가 되면서 부여받은 혼란스러운 돌봄 의식은 아이를 낳은 산모들이 같은 공간에서 겪는 감정을 다룬 「조리원 천국」, 육아의 도움을 얻기 위해 친해진 이웃에게서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을 들려주는 「내 이웃과의 거리」, 사고로 아이를 잃은 직장동료와의 재회를 그린 「연주의 절반」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 똑같이 아이를 출산했지만 모유 수유로 엄마의 능력을 구분하고 직접 이유식을 만들고 최저가 소비를 위해 잠을 줄이는 게 당연한 것처럼 여기고 최선을 다했지만 사고로 아이를 잃자 모든 책임은 엄마에게 돌아온다.
돌봄은 엄마로 대표되는 여성이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 모두에게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엄마이자 며느리에게로 이어진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외할머니를 간병하는 「대추」속 며느리, 결혼 후 주말을 시댁에서 지내는 게 마땅하다는 「안(安)」속 화자의 시어머니와 큰 엄마는 모두 며느리의 역할을 강조한다.
「대추」의 할머니는 외손녀인 ‘나’가 사간 대추는 외면하고 외삼촌이 팔아버린 자신의 집 대추나무 대추가 먹고 싶다고 한다. 손자인 ‘영석’은 흔쾌히 그 대추를 가져다주겠다며 남의 집 대추를 훔친다. 그러나 영석의 마음엔 할머니가 빨리 돌아가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할머니를 간병하는 며느리인 엄마를 위해서 말이다.
「안(安)」의 ‘윤미’는 바쁜 엄마를 대신해 어린 시절 큰엄마의 돌봄으로 자랐다. 그런 큰엄마의 부고에 놀랐고 담담한 사촌 새언니가 서운하다. 시댁을 위해 희생한 큰 엄마의 삶이 정답이 아니라는 걸 성장하면서 느끼고 결혼 후 절감하면서 ‘윤미’는 딸과 며느리에 대한 차별이 아무렇지 않은 시모가 불편하다. 그게 당연한 것처럼 여기는 남편 ‘공’도 마찬가지다.
공의 할머니가 공의 어머니에게 물리고, 공의 어머니가 내게 물리는 삶. 그러면서도 요즘 여자들은 옛날에 비해 팔자가 늘어졌다는 평가를 윗세대 여성에게 받는 삶……. 그것은 대물림이라기보다는 ‘되물림’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지 않나. 아니면 되풀이나 되갚음에 가까운지도 모르겠다. ( 「안(安)」, 48쪽)
가족을 돌보느라 희생하고 정작 자신의 삶을 돌보지 못한 여성의 삶은 우리네 이야기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삶이 변화하는 건 당연하다. 그런데도 우리는 왜 여성에게 돌봄과 책임을 부여하고 돌봄 노동을 인정하지 않는 것일까. 지금껏 다양한 세대의 여성에게 돌봄은 받은 사회가 이제는 그들에게 돌봄을 돌려줄 때다. 소설을 읽으면서 더욱 분명해졌다. 적극적인 제도의 도입과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걸. 사랑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적인 돌봄이 이토록 어렵단 말인가. 답답한 마음이 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