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경 작가가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쓴『동전 하나로도 행복했던 구멍가게의 날들』은 제목 그대로 잊고 있던 시간을 떠올리게 만들고 아련한 추억을 선물한다.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사는 이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구멍가게, 그곳에서만 펼쳐지는 풍경과 오가는 정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얼핏 누군가에게는 그저 전국을 다니며 현존하는 구멍가게를 스케치한 책이 무슨 대단한 감동을 안겨주는 거냐고 묻을 수 있다. 그러나 감히 말한다. 가만히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기며 그 안에 담긴 이야기를 보고 듣는 순간, 그들의 삶에 동화되고 그곳이 궁금해질 거라 말이다.

책 속에 수록된 80여 점의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차분해지는 걸 느낀다. 책 밖에 있던 모든 감정들, 속상했던 마음이나 화가 사라지고 책 안으로 들어온 평온한 기분이 남는다. 작고 낡은 오래된 구멍가게의 그림의 힘을 무엇일까. 돌이켜보면 그 구멍가게를 통해 마주하는 보통의 삶, 서민의 삶이 아닐까 싶다. 작가가 그 가게를 찾아가는 동안 품었던 생각과 그곳을 지키는 이들의 사연은 하나같이 우리네 이웃을 닮았다.

주류가 아닌 비주류의 삶, 중심이 아닌 변두리의 삶이 책에 있었다. 누군가 찾아오기를 기다리는 마음, 누군가 기억하고 찾아왔을 때 실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곳을 지키는 이들은 통해 사회 어딘가의 고단한 이들을 떠올린다.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무너진 골목, 낡은 주택, 정든 곳을 떠나야 하는 원주민의 마음 같은 것들 말이다. 나는 그들의 마음을 온전히 짐작할 수 없다. 시골에서 나고 자랐고 도시에서 공부하고 일하다 다시 시골로 돌아왔기에 월세, 이주민, 재개발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그러므로 작가의 구멍가게는 힘겨웠던 과거의 삶인 동시에 외로운 현대인에게 지친 마음을 기댈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는 게 아닐까.

전국의 구멍가게를 찾아가 그곳의 어르신과 작가가 나누는 이야기는 평범한 것이다. 구멍가게의 이력과 주변의 변화, 어떻게 지금껏 유지하고 있는지 사연을 들려준다. 그리고 작가는 그들을 통해 자신의 유년시절을 꺼내고 과거를 반추한다. 가게 앞에 놓였던 아이스크림 통, 평상, 그리고 나무들. 사진을 찍고 세밀하고 정교하게 펜화를 그리면서 작가는 항상 나무를 그리고 평상을 그린다고 했다. 계절마다 변하는 나무의 풍경처럼 평상에서 펼쳐지는 이야기꽃의 풍경도 다채롭다. 혼자가 아닌 함께 할 수 있는 공간, 바로 구멍가게는 그런 공간이었다.

‘내 그림엔 평상이 단골로 등장한다. 평상은 함께 앉는 것이다. 그리고 누구나 앉을 수 있는 자리다. 나눠 앉을 수도 있고 둘러앉을 수도 있고 누울 수도 있다. 누군가의 자리가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어서 어제 내가 앉았던 자리에 다른 사람이 앉는다고 뭐라 할 수도 없다. 또 사람이 많으면 많은 대로 적으면 적은 대로 유연하게 쓸 수도 있는 자리다. 낯선 이들과 어우러져 앉아도 어색하지 않다. 평상은 나눔의 자리다. 가게 앞에는 평상이 하나씩 있다.’ (본문 중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건 동전 하나로 행복했던 구멍가게의 나날만이 아닐 것이다. 잃어버린 이웃과 잃어버린 정이 책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어딘가 구멍가게가 사라진다는 소식을 가장 먼저 작가에게 알리는 기자의 마음도 그것을 기억하고 간직하려는 마음일 것이다. 한 권의 책을 통해 내가 알지 못한 공간과 그 공간에 숨 쉬는 삶을 마주할 수 있으니 얼마나 놀라운가. 뭔가 대단한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책을 읽는 이라면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드라마를 통해 삶의 고난과 역경을 나누고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 것과 같다고 하면 어떨까? 뉴스나 정보 프로그램만 보는 이 역시 알 수 없는 감정이다. 책이 주는 기쁨은 그런 것이다.

작가의 그림 속 시간은 멈춰 있다. 하지만 그 시간을 지나온 이들과 그곳을 아는 이들에게 그 시간은 여전히 존재한다. 누군가에게 이 책은 살아 숨 쉬는 삶이고 누군가에게는 애틋한 그리움이며 누군가에는 궁금한 시간이다. 영원의 시간 속에서 유한의 존재인 우리가 간직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책은 묻는다. 간직하면 잊히지 않는다고 믿는다. 그 힘으로 우리는 삶을 지탱하고 이어간다고 말이다. 그러한 힘을 알기에 작가는 묵묵히 그림을 그리는 것이리라. 오래도록 그림을 그려주길 바란다.

‘어떤 사람들은 내게 말한다. 왜 작고 오래된 쇠락하는 가게 풍경을 그리느냐고. 인류의 가치관을 대변할 좀 더 근사하고 웅장한 상징물을 그리라고 한다. 기억의 향수에 머무는 게 무슨 의미가 있냐고 더 높이 수직을 보라 한다. 그렇지만 왕조의 유물, 역사에 기록된 위대한 상징물보다 나를 더 강렬히 잡아끄는 것은 보통의 삶에 깃듯 소소한 이야기다. 사람 냄새다고 매력 있게 다가온다. 수직에서 느껴지는 경쟁과 성공 지향의 이미지와 엄숙함, 숭고함이 나는 낯설다. 그저 동시대의 소박한 일상이나 사람과 희망에 의지하여 오늘도 작업에 임할 뿐이다.’ (본문 중에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선 2020-11-17 0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은 작은 가게가 거의 없겠지요 시골에나 가야 있을 듯합니다 예전에는 많은 사람이 갔을 텐데, 지금은 커다란 마트가 생기고 그런 곳은 거의 문을 닫아야 했겠습니다 그곳에 사는 사람은 가까운 가게가 없어서 멀리까지 물건 사러 가야 하다니... 세상이 바뀌어도 사라지지 않는 게 있다면 좋을 텐데, 어쩐지 그런 건 형태가 없는 것뿐일 듯합니다


희선

자목련 2020-11-18 07:33   좋아요 1 | URL
맞아요, 제가 사는 곳도 시골이지만 마트가 많아요. 책 속에서 만나는 구멍가게는 찾기 힘든 것 같아요. 비가 오네요. 희선 님,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