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내셔널의 밤 ㅣ 아르테 한국 소설선 작은책 시리즈
박솔뫼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12월
평점 :
처음 만난 사람과 이야기를 하기란 쉽지 않다. 그런데 특정 공간에서는 경계심이 사라지고 만다. 기차나 버스 같은 공간에서는 이상한 친밀감이 발생한다. 목적지가 같다는 이유만으로도 이곳을 떠난다는 행위만으로 말이다. ‘기차에서만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그 사람들을 옛날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라고 부를 것이다.’란 문장은 우리를 기차에 태운다. 그곳이 어딘지도 모르고 떠날 마음이 충분하다. 비어 있는 옆자리에 앉을 이가 누구일까, 무슨 이유로 이 기차를 탔을까. 박솔뫼의 짧은 소설 『인터내셔널의 밤』은 그런 이들의 이야기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기차에서 처음 만난 한솔과 나미의 이야기. 서로에 대해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서툴게 자신의 감정을 털어놓는 순간들.
한솔은 여자로 살았던 삶이 아닌 남자의 삶을 선택했다. 어쩌면 그건 선택이 아니라 운명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전히 주민등록번호는 2로 시작하고 사람들은 종종 왜 군 복무를 하지 않았냐고 묻는다. 일본에 사는 친구가 보낸 청첩장을 받고도 그가 결혼식 참석을 두고 고민한 이유도 그 때문이다. 자신을 설명하고 증명해야 하는 순간이 곤혹스러웠기 때문이다. 나미는 사이비 종교단체에서 도망쳤다. 이모가 소개한 이모의 친구가 있는 부산에서 잠시 지내려 한다. 기차 안에서 나미는 그곳에 남은 아이들을 생각한다. 혼자만 도망쳤기에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없는지도 모른다. 처음 만난 한솔에게 그 아이들의 사진을 보여줄 정도였다. 나를 모르는 이에만 들려줄 수 있는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것처럼. 한솔과 나미는 부산에 도착해 각자 헤어졌다. 한솔은 호텔로 향했고 나미는 이모의 친구 집으로 갔다. 부산 이곳저곳을 산책하고 호텔로 돌아온 한솔은 자신에게 도착한 쪽지를 받는다. 누가 보냈는지 이름이 없었지만 한솔은 그가 나미라고 생각한다. 나미의 이름을 알기 전인데 말이다.
박솔뫼는 부산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한솔과 나미의 고민에 대해 들려준다. 기차를 탔을 때 부산은 도착지였지만 이제 그들에게는 떠나기 위한 공간이다. 머물 곳이 아니기에 부산은 자유롭고 편안하다. 맛있는 빵을 먹고 헌 책방에서 책을 고르고 벤치에 앉아 크루즈를 구경할 수 있다. 아무도 한솔과 나미를 주목하지 않는다. 그들이 어떤 시간을 지나왔고 어떤 일을 경험했는지 말하지 않아도 괜찮은 것이다.
한솔의 마음을 알 수 없지만 나는 이 문장들을 오래도록 바라보았다. 그리고 이전과는 다른 내가 되기를 바랐던 어떤 날들을 떠올렸다. 한솔과 나미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우리는 모두 그런 시간을 지나왔거나 지나고 있는 건 아닐까. 다른 나로 사는 일, 다른 나를 꿈꾸는 일 말이다.
어떻게 주민등록에서 도망칠 수 있을까. 어떻게 모르는 사람으로 사라질 수 있을까, 그런 생각은 매일 밤 잠자리에서, 물론 매일 밤은 아니지만 자주 반복되는 생각이었다. 사라질 생각은 없었지만, 큰 잘못을 아직 저지르지 않았지만 어떻게 한국에서 사라질 수 있을까 어떻게 숨을 수 있을까 혹은 한국을 빠져나가 외국에서 다른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37쪽)
박솔뫼의 소설을 많이 읽은 건 아니지만 읽을 때마다 묘한 기분을 느낀다.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에 대한 묘사가 그러하다. 그는 하나의 공간을 특정하고 그곳으로 인물을 모은다고 할까. 공간으로 이동하는 동안 마주하는 풍경이나, 그것들을 바라보며서 과거를 회상하는 것들이 다른 작가의 소설과 비슷하면서도 그만의 개성이 있다.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어 안타깝다. 그가 소설에서 보여주는 인물도 마찬가지다. 언뜻 특별한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그들은 그저 그들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기에. 이 소설은 이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 읽는다면 어떨까. 출장지나 여행지에서 말이다. 떠나지 않더라도 공항이나 터미널에서 읽어도 좋겠다. 만남과 이별에 대한 이런 글은 무척 인상적이다. 한솔과 나미도 그렇게 서로를 지나가고 결국엔 기억에서 사라질 것이다. 박솔뫼의 소설을 읽으면서 내가 지나온 누군가를 나를 지나간 누군가를 가만히 생각한다.
책들은 만나고 헤어지고 사라지고 지나간다. 어떤 함께하던 책들은 시간이 지나면 헤어지게 되는데 그걸 슬퍼할 이유는 없는 것 같다. 어떤 것들은 이미 몸으로 변해버려 흔적이 없어졌을 수도 있다. 그래도 헤어짐은 있다. 한솔은 열여섯 열일곱에 읽던 책들을 지나가며 아 이미 헤어졌군 우리는 헤어지고 다시 만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만나지 않게 된 사람들도 가끔 생각하지만 이제는 그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