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 마리가 술집에 들어왔다
다비드 그로스만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는 나만의 이야기가 있다. 당신에게는 당신만의 이야기가 있듯이 말이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우리의 이야기가 있다. 그런데 나와 당신은 우리가 될 수 있을까? 무엇이 나와 당신을 우리로 묶어줄 수 있을까? 유년시절을 함께 보낸 추억, 이별했지만 한때 사랑했던 감정, 말하고 싶지 않은 어떤 비밀이 나와 당신을 우리로 만든다. 우리가 되었을 때 우리는 고통의 조각이나 벗어나고 싶은 악몽과 대면할 힘을 키우기도 하는데 그것은 말처럼 쉬운 건 아니다. 기억에도 없는 낯선 남자 ‘도발레’와 그의 전화를 받고 쇼를 보러 간 ‘아비샤이’는 아직 완벽한 우리가 아니기에 서로에게 힘이 될 수 없었다.

 

 자신의 쉰일곱 살 생일에 스탠딩 업 코미디 공연을 하는 도발레는 멋지고 잘 나가는 코미디언도 아니었고 그저 그런 성적 농담과 유머로 관객을 상대하고 있었다. 전화로 통화하면서 언뜻 함께 과외를 받았던 열네 살 소년의 모습이 떠오르기는 했지만 아비샤이는 그 자리에서 도발레의 공연을 관람하면서 동시에 관찰자이자 기록자가 되어야 하는 이유를 알지 못했다. 판사로 퇴직한 그는 개 한 마리와 사랑하는 타마라를 잃은 상실로 채워진 삶을 살고 있었기에 스탠드 업 코미디는 관심이 없었다. 이런 시큰둥한 마음은 독자들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도발에는 무대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도구로 삼았다. 그러니까 158CM의 작은 키, 홀쭉한 몸, 안경을 쓴 외모부터 손짓 발짓, 고개를 숙이고 슬픔을 감춘 듯한 표정, 무대를 가로지르며 큰 소리를 외치기도 하면서 말이다. 적절하게 관객과 밀당을 하면서 웃음을 이끈다. 하지만 재미있는 쇼를 기대했던 인내심이 적은 몇몇 손님은 그곳을 떠나기도 했다.

 

 “나는 당신들한테 다른 누구에게도 준 적이 없는 걸 줄 거야. 더럽혀지지 않은 거. 인생 이야기. 그래, 그게 가장 훌륭한 이야기지” (99쪽)

 

 그가 하고 싶은 진짜 이야기는 뭘까. 언제 시작하는 것일까. 이런 눈치를 모를 이 없는 도발레는 아비샤이를 소개하면서 분위기를 바꾼다. 자신의 공연에 전직 판사인 아비샤이 라자르가 이 자리에 왔다고 말이다. 판사와 코미디언이라니, 둘은 무슨 사이일까. 뭔가 특별하고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었던 게 아닐까 기대를 하고 다시 무대의 도발레에게 집중한다. 열네 살에 군사 캠프에 갔던 일을 꺼내기 시작한다. 그건 학창시절의 즐거운 기억이 아닌 비극의 기억, 고통의 역사였다. 군사 캠프에서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하고 당시 그 자리에 있던 아비샤이는 문득 두려워진다. 조롱과 무시를 당하는 도발레를 지켜보았던 자신의 행동을 관객에게 폭로하는 게 아닌가 하고.

 

 도발레의 진짜 쇼는 이제부터가 시작이었다. 열네 살 소년에게 닥친 거대한 슬픔, 영문도 모르고 가방을 챙겨 늦지 않게 장례식에 도착해야 한다며 자신을 이끄는 교련 담당 하사. 장례식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어린 소년에게 감당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쉰일곱의 도발레가 들려주는 그 날의 이야기는 엄마와 아버지에 대한 것이었다. 도발레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한 사람, 그런 엄마가 있어 삶을 지탱할 수 있었던 이발사 아버지. 아들 도발레와 단둘이 있을 때에는 환하게 웃고 다정했던 엄마는 홀로코스트의 생존자였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엄마의 퇴근 시간에 맞춰 마중을 나갔던 어린 도발레, 자신을 분노의 대상으로 삼아 폭력을 행하던 아버지. 그것은 유대인 학살, 홀로코스트에 대한 것이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엄마(살아남은 자)의 트라우마에 관한 것이다. 이쯤이면 아비샤이와 독자인 나도 그 장례식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가장 사랑하는 이를 잃는다는 게 어떤 건지 전혀 상상할 수 없는 도발레에게 운전병은 개그 경연 대회가 있다면서 유머랍시고 이상한 개그를 던진다. 먼 훗날 그 운전병이 절망에 빠진 열네 살 소년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걸 도발레는 알게 된다. 유머라는 게 그렇다. “아무 일도 없잖아! 이게 유머의 위대한 점이라고. 가끔은 그냥 웃어넘길 수도 있는 거야!” (87쪽)란 도발레 외침은 사십삼 년 전 그 운전병에서 시작된 건 아닐까. 비극의 역사를 그냥 웃어넘길 수 있는 게 아니라 그것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순간순간의 일부를 웃음으로 넘길 수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점점 장례식장에 가까워질수록 도발레는 엄마를 불러온다. “엄마가 다시 내 귀에 대고 말했어. 모든 사람이 짧은 시간만 살다 간다는 걸 기억하고, 그 사람들이 그 시간을 유쾌하게 보낼 수 있게 해줘야 해.” (224쪽)

 

 정말 우리는 짧은 생을 살아간다. 그 짧은 생이 비극과 슬픔, 절망, 분노로 채워진다면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그런 고통의 삶에서 도발레는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코미디를 해야만 했던 건 아닐까. 누구도 열네 살 이후 도발레의 인생이 얼마나 힘든 날들의 연속이었을지 알지 못한다. 아비샤이는 생각한다. 그때 그 군사캠프에서 도발레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었더라면, 그를 그렇게 혼자 내버려두지 않았더라면. 너무 늦은 후회였다. 물론 도발레가 ​판사 아비샤이에게 어떤 판결이나 그 시절에 대한 사과를 원하는 건 아니다. 그냥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기를 바랄 뿐. 그래서 이제라도 우리가 되어주기를 바랄 뿐. 후회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비극의 역사가 재탄생되지 않기를.

 

 나는 이 소설에 담긴 대단한 의미를 재생시킬 수 없다. 전쟁, 홀로코스트, 전범들에 대한 판결, 살아남은 자의 회복,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온전한 기록에 대해 어떻게 말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잘 살아왔다고, 살아내느라 수고했다고, 앞으로 살아갈 짧은 생에는 슬픔을 이기는 진짜 유머가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는 것. 그저 무대 위 작고 야윈 한 남자 도발레가 두 시간 정도로 압축한 그의 이야기를 들었고 기억해야 한다는 정도일지도 모른다. 그것은 우리 할머니의 이야기가 될 수 있고, 우리의 역사와 겹쳐질 수 있다는 걸 생각한다. 어쩌면 곧 잊고 나의 이야기에 취해 살지도 모른다. 그러나 꼭 기억해야 할 그의 말은 마음에 깊이 새겨두고 꺼내보겠다.

 

 “그냥 살아 있자는 게 얼마나 놀라운 생각인지 이해할 수 있어? 그게 얼마나 전복적인 것인지?” (63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8-05-17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이 올해의 맨부커 인터내셔널 수상작인가요.
저도 책 소개는 본 것 같은데, 아직 읽어보지 못했어요.
사람마다 서로 다른 이야기를 가지고,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서 공감할 수 있을 이야기도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같은 이야기를 조금 더 듣고 싶은 이야기로 바꾸는 건 재능 같고요.
잘 읽었습니다.
자목련님, 편안하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자목련 2018-05-21 14:39   좋아요 1 | URL
네, 2017년맨부커인터내셔널상수상작이에요. 시대의 아픔과 상처를 어떻게 받아들이냐, 그것에 대해 많은 생각을 던져주는 소설이 아니었나 싶어요. 서니데이 님도 활기찬 한 주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