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 하느님
조정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 근대사 3부작([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을 쓰면서, 조정래 선생은 자신이 '원고지의 감옥'에 갇혀 사는 수인이었다고 회고했다. 작품들을 쓰면서 얻은 고통스런 지병을 생각할 때 선생의 이 말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그래서 엄청난 스케일과 분량의 그 책들이 서점이나 도서관 서가에 사열(?)해 있는 것을 볼 때마다 난 경외감 때문에 오체투지라도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곤 한다. 조정래는 그런 작가다. 남한 땅의 어떤 평론가나 작가, 철학자도 그를 쉽게 비평할 수 없으며, 그의 작품들은 곧 남한 근현대사의 'Histories apodexis'(헤로도토스의 [역사], '연구보고'란 뜻)에 다름 아니다.
이번 책은 3부작에 비할 바가 안되는 '소품'이다. 그러나 나름의 응집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유의 역사감각으로 2차대전을 바라보고 있다. 그의 시각이 항상 그렇듯이 천연한 민중의 시각이 이 책의 핵심이다. 일본군에서 소련군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독일군으로 연명하는 '고려인'들의 삶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민중이란 그러한 세계사적 사건들의 참혹한 피해자일 뿐 아니라, 그 사건 속에서도 생기를 잃지 않는 생명력 자체라는 인식이다. 그러나 이 소설이 민중에 대한 요상한 감상주의 관점을 벗어나 있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나는 조정래 선생이 이 소설을 통해 '민족'이라는 그 감상적 관점의 구심력에서 많이 벗어나려고 한다는 생각을 해 본다. 인물들은 '고려인'이라는 '민족 정서'에 기대어 서로를 인식하는 듯 하지만, 사실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생존'이며 '가족'이고 또한 자신의 특유한 정체성이 아닌가 싶다. 비극으로 끝나는 작품임에도 암울함이 느껴지지 않는 건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문학동네], 2006 겨울호와 2007 봄호에 각각 분재된 작품을 일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