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글쓰기
김성묘 지음 / 서울출판미디어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2년 겨울, 미군 병사 무죄 사건으로 온 나라가 분노했을 때 앙마라는 사람이 인터넷 모 게시판에 촛불시위를 벌이자고 글을 썼다. 우리가 잘 아는 대로 시민 수만명이 촛불시위를 벌였다. 그 이후 촛불시위는 한국 시위문화의 상징이 되었고 다른 나라 시위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인터넷에서 좋은 글은 많은 사람들의 펌질로 순식간에 퍼지고 영향력도 상당하다. 인터넷 시대에 들어와서 글쓰기는 더욱 중요해졌다. 어떤 사람들은 이 시대 성공하는 사람들이 지녀야 할 능력으로 글쓰기를 꼽기도 한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글을 쓰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일단 모니터 화면으로는 글을 한번에 볼 수가 없다. 계속 스크롤바를 내려야 한다. 그리고 아무리 좋은 모니터도 종이 보다는 깨끗하지 않다. 즉 모니터로 글을 읽는 것은 책을 읽는 것보다 쉽지 않으므로 인터넷에서 글을 쓸 때에는 가독성을 생각해야 한다. 경향신문 기자였던 김성묘씨가 쓴 "인터넷 글쓰기"란 이 책에서는 가독성을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글을 쓸 때 지켜야 할 것들을 이야기한다.


인터넷에서 제목은 매우 중요하다. 제목은 감각적이고 핵심내용을 한번에 알 수 있도록 써야 한다. 글 앞에 놓이는 전문은 읽은 사람이 본문을 읽고 싶도록 광고카피나 속담, 격언, 개인사례를 앞에 써 넣는 것이 좋다.


본문을 쓸 때에는 가장 중요한 내용은 맨 앞에 놓는 역피라미드 구조로 쓰는 게 좋다. 글을 쓸 때에는 능동태로, 한 문장에 한 가지만 담아야 한다. 중요한 내용은 볼드체로 하거나 밑줄을 긋는 것도 좋다. 글을 다듬을 때에는 주어와 서술어가 맞는지, 수식관계가 맞아 떨어지는 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 책은 인터넷에서 글을 쓸 때 도움이 되는 것들을 가르쳐준다. 그런데 글쓴이가 기자출신이어서 그런지 이 책은 너무 기사 위주만 이야기하는 것 같다. 인터넷에서 쓰는 글은 여러 가지 이지만 이 책은 분량의 한계 때문인지(190페이지) 이 부분은 잘 이야기하지 않았다. 게다가 책 자체가 너무 기술 중심이서서 뭔가 글쓰기의 근본을 알려고 한 나에게는 좀 부족했던 것 같다. 이 부분은 다른 책을 읽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