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탄생 -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보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
전인권 지음 / 푸른숲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나는 어떻게 해서 한국남자가 되었는지, 나는 어떻게 해서 현재를 살아가게 되었는지 궁금했다. 항상 궁금한 것은 아니었다. 단지 무의식적으로 궁금했을 뿐......그래서 이 책을 샀다. 내가 나인 이유를 알기 위해서...

이 책은 한국남자가 어떻게 해서 한국남자로 되어가는지를 탐색한 책이다. 한국남자들의 공통적인 "나쁜" 특징인 다른사람을 차별하고 등급으로 나누기, 만성된 자기비하, 오직 자신만을 황제로 생각하는것, 자기보다 높은 사람에게는 비굴하게 굴고 자기보다 낮은 사람에게는 폭력적으로 대하는 습성, 성을 2중적으로 보는 관념등이 어디서 왔는지 자세히 밝히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유년기 시절을 돌아보며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가족사회학에서 사용한 각종 이론을 이용해 자신을 바탕으로 한국남성들을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말한다. 한국남성들이 생각하는 것과 행동방식은 모두 어렸을 때부터 겪은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에서 물려받은 것이라고. 학교는 우리에게 이상적인 사람에 대해서 끊임없이 설명하고 이상적인 사람이 되기를 원한다. 우리는 그런 사람이 못되므로 끊임없이 죄책감을 느끼고 그 결과 자신을 실패한 아이로 생각한다. 이상적이지 못한 사람이 되었다고 생각한 한국남자는 죄책감을 느낀다. 이런 감정은 결국 자기모멸과 자기학대로 이어진다.

반대로 어머니의 과보호는 아이가 자신을 황제처럼 여기게 한다. 어머니의 무제한적인 사랑, 즉각적인 사랑, 정렬과 신념어린 사랑은 아들이 자신을 황제로 여기게끔 한다. 결국 한국남성은 자기비하를 하는 황제로 변하게 된다. 황제가 겪는 자기비하와 자기학대는 자기보다 높은 존재에 대해서는 한없이 굽신거리게 하며 자기보다 낮은 존재에 대헤서는 무자비하게 황제의 권위를 휘두르게 한다. 다시 말해서 어렸을 때 한국남성들이 겪은 여러 일들이 바로 한국남성들을 규정한다.

그리고 이런 한국남성들이 대한민국을 지배하고 있다고...자신을 대단한 존재로 착각하고 끊임없이 타인을 가르치거나 타인으로부터 인정받으려 하며(바로 나다......)자신을 사회에서 확장하려는 한국남성들이 대한민국을 지배하고 있다고......




아까전에도 말했지만 이 책은 저자의 유년기를 통해서 한국 남자의 정체성을 탐구한 책이다. 저자의 유년기와 내 유년기는 너무도 다르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저자가 생각한 한국남성과 나는 너무나 똑같다. 남들에게 인정받기를 원하고 남들에게 똑똑하게 보이기를 원하며 남들보다 우월한 존재로 돋보이길 원하는 나는 아마 전형적인 한국남성일 것이다......찝찝하고 떨떠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