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여자의 낭만적 딜레마
마야 스토르히 지음, 장혜경 옮김 / 푸른숲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지은이는 궁금했다. 어째서 현대를 살아가는 강한 여성들이 자신을 좋아하고 아껴주는 남자보다 차갑고 냉철한 남자에게 빠져들고 괴로워하지를......

지은이는 여러가지 심리학 이론을 연구하고 그걸 바탕으로 많은 여성들을 상담했다. 그리고 나름대로 자신이 깨닳은 것들을 정리하고 책으로 냈다. 그게 바로 이 책이다.

나 역시 비슷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어째서 쓰레기새끼들에게는 여자가 끊기지 않고, 정말 착하고 성실하고 다정한 친구들은 왜 외롭게 사는 걸까......이건 내가 몇년동안 가진 궁금증이었다.

그래서 이 책을 사게 되었다.

이 책은 그 이유를 말하고 있다. 내용은 상당히 많다. 융의 심리이론부터 현대사회의 여성운동까지...내용이 너무 길기 때문에 결론부터 말하겠다.

강한 여자들은 스스로 강해지기 위해서 여성적인 연약함을 참는다. 강한 여자들은 의식적으로 강해질려고 노력하고 그 영향으로 여성적인 연약함은 자꾸 무의식으로 숨어버린다. 하지만 숨어버린 여성적인 무의식은 절대로 없어지지 않는다. 단지 여자가 모르게 더 커지고 있을 뿐..

그리고 현대의 강한 여자들의 아버지는 대부분 매우 가부장적인 아버지들이다. 즉 강한 여자들이 최초로 만나는 남성은 가부장적인 아버지이다. 그러기 때문에 강한 여자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남성의 원형에 무의식적으로 아버지의 모습이 강하게 남았다고 한다.

그런데 이 강한 여성앞에 가부장적인 남자, 즉 차갑고 냉정하고 자기를 표현하지 않으려는 남자가 나타나면 무의식에 숨어있는 여성적인 연약함이 갑자기 무의식에서 뛰쳐나와 여성을 지배한다. 그때 여성들은 남자를 아버지같이 여기게 된다. 그래서 한없이 약해지고 애교부리고 결과적으로 사랑하게 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남자들은 여자을 따스하게 어루만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런 남자를 사랑하게 된 여자은 남자때문에 매우 괴로워하게 된다. 자신의 사랑을 알아주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이런 강한 여자들은 남성상의 원형이 가부장적인 아버지이기 때문에 따뜻하고 가정적이고 자상한 남자들에게는 별로 끌리지 않는다고 한다.






흠......

암튼 결론은 이거다.

흐음...

설명이 너무 빈약한 것 같다.

너무 단정적이고...

이 이론을 정말 제대로 설명하려면

무의식에 관한 설명과

융의 그림자 이론과 원형 이론을 설명해야 한다.

그냥 결론부터 딱 말해버렸으니 조금 어색한 것 같기도...



어쨋든 대단히 재미있게 읽었다.

정말 너무 재미있어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양도 그렇게 많지 않다. 한 240page 정도......

초반에 이론부분이 나오지만 오히려 본론보다 융의 심리이론이 더 재미있다.

어쨋든

한번 사서 보기를 강력히 권한다.

강한 여자의 낭만적 딜레마라......



서글픈

현실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예찬 2004-07-14 0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함..읽어봐야겠네여..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