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 이상심리학 시리즈 27
이정희 외 지음 / 학지사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이상심리학책이다. 그리고 상당히 쪼그마한 책이다.

심리학...난 이 학문의 이름만 봐도 호기심이 생긴다. 알수없는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학문이라......왠지 땡긴다. 게다가 평소에 어떻게 해서 우연히 접하게 된 프로이드의 오이디우스 콤플랙스, 앨랙트라 콤플랙스에 관한 이야기들은 심리학에 대한 나의 호기심을 더욱 증폭시킨다. 정말 재미있는 이론들이 아닌가? 5살짜리 아들이 자신의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증오한다니......(프로이드의 오이디우스이론은 우리나라에서는 적용이 안된다는 강력한 반대설이 있다.)

더군다나 내가 평소에 관심있는 자폐증이란 제목까지 까지 합치니 안 살 수가 없다. 게다가 표지까지 깔끔하고 이쁘다. 폐이지수도 160패이지다. 게다가 판형의 크기도 작다. 전체적으로 너무 귀엽다. 나에게 이 책을 보고 안산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어째서 이 책은 이렇게 앙증맞고 귀여운가? 이 책은 우리가 어렵게 생각한 이상심리학을 대중적으로 접근하게 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책 자체는 두껍고 딱딱한 심리학교재같이 생기지 않았다.

그래서 샀다.

자폐증......내가 왜 이런 단어에 관심을 가졌을까......난 결코 자폐적이지 않은데...(혹시 나만의 생각인가?)가슴을 두근거리며 책 표지를 열었다. 그리고 다 읽었다.

......재미없다.......

겉표지는 귀엽고 깔끔하지만 내용은 결코 쉽지 않다. 물론 대중적인 목적으로 서술한 책이라 내용도 그렇게 어렵지 않다. 그리고 재미있는 부분은 나온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책은 아니다. 글쌔...난 내 말초신경을 자극할 만한 책을 살려고 이 책을 사서 실망한 지는 모르겠다. 단지 읽고 나서 느낀 점은 재미없다는 것이다. 외국의 사례, 외국의 학자들의 이론들, 외국의 실험결과, 외국의 치료방법, 외국의...가끔 나오는 한국의 뭐뭐는 별로 없다.

물론 자폐증에 대해서는 대략 알 수 있다. 그들의 증상, 그들의 발병원인, 그들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알 수 있다.

뭐 자폐증에 관한 지식습득에 관해서는 나름대로 만족한다. 하지만 그리 썩 맘에 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