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념어 사전
남경태 지음 / 들녘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문사회 쪽 책을 읽다 보면 하부구조, 이데올로기, 아비튀스, 물자체같은 낮선 말이 꽤
나온다. 이런 개념은 매우 어렵게 보여서 책을 읽기 힘들게 한다. 물론 하나하나 사전을
찾아가며 읽으면 되지만 국어사전은 저런 개념을 지나치게 어렵고 딱딱하게 설명한다.
이 책은 인문사회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개념)를 설명한 책이다. 책을 쓴 남경태씨는 서
양사, 동양사, 한국사와 현대철학같이 잘 안 팔리는 인문사회쪽 책을 주로 쓰고 번역하는
사람이다. 한겨레 문화센터에서 현대철학 강의를 했으며 지금은 대부분 사람들이 늦잠
자는 일요일 아침에 엠비시 라디오에서 '타박타박 세계사'를 방송하고 있다. 즉 이분은
전문지식을 대중들에게 설명하는 지적 엔터테이어로 어느 면에서는 도올 김용옥과 비슷
하지만 그분보다 훨씬 조용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분은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데 아주 뛰어나다. 이분이 쓴 '한눈에 읽는 현대철
학'을 읽었는데 니체가 데카르트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소쉬르가 기표와 기의의 관계를
어떻게 보았는지 를 아주 쉽고 깔끔하게 설명해서 적잖이 놀랐다. 그리고 남경태씨는 이
책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확실히게 보여주고 있다. 다른 책에서는 머리를 싸매고 간신히
이해하는 개념들이 이 책에서는 간결하 고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다.
글쓴이는 "정설이 지배하지 않는 지금 시대에 정설을 고집한다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 다"라고 말하면서 자기만의 말과 생각으로 중요 개념을 이야기하고 있다. 즉 이 책은
글쓴이의 주관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전문 지식을 알려는 사람은 이
책이 도움이 안 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인문 사회쪽 책을 읽고 싶고 그쪽에서 사용하는
개념의 이미지를 알려는 사람들은 이 책이 꽤 도움이 될 듯 하다.
440페이지가 넘지만 꽤 쉬우므로 빠르게 읽을 수 있다. 사전이긴 하지만 개념을 둘러싼
이론과 역사도 같이 이야기하므로 철학과 역사의 다이제스트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