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온 집 근처 공립중학교 앞을 산책하던 '나'는 중학생들이 체조하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장난치는 광경을 멍하니 바라보다 문득 깨닫는다. 십사오년 전, 그 중학생들의 나이보다 조금 더 많았던 그때, '내'가 잔디를 깎던 그 무렵. 

 

'나'는 열아홉살 쯤이었고 애인이 있었지만 먼 도시에 살고 있었다. 그녀를 정말로 좋아했는지, 잘 모르지만 그녀와 식사하는 것을 좋아했고 섹스 뒤에 '내' 가슴에 얼굴을 대고 재잘거리거나 잠드는 그녀를 바라보는 것도 좋아했다. 

 

하지만 어느 날 그녀는 긴 편지를 '나'에게 보내왔고 그 편지엔 헤어지고 싶다고 적혀 있었다. "너를 항상 좋아했고 지금도 좋아하고 앞으로도……" 새 남자친구가 생긴 것이다. 그녀의 편지에 딱히 화가 난 것은 아니었고 다만 한동안 주위 사람들에게 요즘 아주 명랑해졌다는 말을 들었다. 

 

그해 '나'는 잔디를 깎는 아르바이트를 했다. 일이 힘들었지만 보수는 나쁘지 않았고 남들과 말을 나눌 필요가 별로 없는 일이었다. '내'게 딱이었다. 상당한 목돈을 마련했고 여름에 애인과 어딘가로 여행을 갈 수 있었지만 그녀와 헤어져버린 지금은 여행이고 뭐고 없었다.

 

돈을 벌어도 쓸 데가 없다면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잔디 깎기를 그만두기로 했다. 사장의 부탁으로 일주일만 더하기로 했고 마침내 마지막 일을 하는 날이었다. (…) _「오후의 마지막 잔디」

 

오래 전에 읽었던 단편을 다시 읽었습니다. 분명 읽었을 텐데 기억이 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하루키의 소설은 몇 페이지만 넘기면 아, 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요. 왜냐, 하루키니까요.^^ 

이 소설도 그랬어요. 제목부터 하루키, 느낌이 바로 오지요~! 

읽어보니 역시, 짐 모리슨과 폴 매카트니, 일본이라고는 느껴지지 않는, 미국의 작은 도시에서나 일어날 법한 이야기. 더구나 같은 동양권인데, 잔디깎기라니. 낯설면서도 묘하게 흥미가 있었습니다. 

주인공의 성격도 딱, 제 취향이네요. 책을 읽으면서 내내 그 여름의 풍경이 눈앞에 떠올랐습니다. 

꼭 데쟈뷰를 느끼듯이, 소설 속으로 들어갔다 나온 것처럼 모든 것이 낯설지가 않았지요. 

기억이라는 건 소설과 비슷하다고 하루키는 말했는데, 어쩌면 그래서인지도 모르겠어요. 

내가 느끼는 데쟈뷰와 같은 감정이 소설인지 기억인지... 

 

 

 

그녀는 열여덟, 고등학교 3학년. 가족이 함께 여행을 왔다. 엄마는 말한다. "여기서만은 네가 고3이라는 사실을 잊어버려도 좋아." 하지만 그녀는 재미가 없다. 마치 정략결혼이라도 시키겠다는 듯이 두 집안은 그녀와 현을 묶었지만 그녀는 모든 게 싫다. 자신의 몸을 탐하는 현도, 한 번도 그녀에게 착한 딸이 되라고 말한 적도 없는 엄마가 거짓말을 하는 것도. 엄마의 유난스런 가정 교육은 숨이 막힐 지경이다. 엄마는 착한 여자였기 때문에 인생에 실패했다고 믿는다. 하지만 그녀는 엄마가 매력적이었기 때문에 인생에 실패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녀가 원하는 것은 고통이었다. 그녀는 감미로운 고통에 점점 매혹을 느끼며 언젠가는 자신의 인생도 엄마처럼 실패했다고 여기게 될지 모른다는 예감이 들었다. 그리고 우연히 만난 한 남자가 들려주는 자기 대신 '바다를 바라본 것'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그 이야기를 듣고 스스로 찾아나선 고통. 그 이유에는 가족들의 세계가 싫다거나,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거나 하는 것이 있진 않다. 그저 '모든 사람들에게는 저마다 간절히 원하는 게 하나씩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게 단순한 욕정에서든 사회적인 분노에서든 간에.

 
그렇게 그녀의 한 세계는 끝이 났고 새로운 세계가 시작되었다._「기억할 만한 지나침」
  
이 단편은 한 소녀의 성장담입니다. 자신이 속해 있는 세계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녀가 결국 그 세계를 벗어나 새로운 세계로 들어선다는 이야기이죠. 누구에게나 한 세계의 끝이 있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누군가에겐 소녀 시절에 오고, 또 다른 이에겐 나이가 들어서 오거나 결코 한번도 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거죠. 어쩌면 이 소녀는 더 늦거나 한번도 오지 않을까봐, 그게 겁이 났던 것 같습니다. 그 휴양지의 벨보이처럼 따분하고 놀랄 일이 없는 삶이나 현과 결혼해서 고통 같은 것은 조금도 느끼지 못하고 살아가는 인생이 될까봐. 당찬 소녀라고나 할까요? 마치 남의 나라 소설 속에서나 볼 수 있는.
 
그러고 보니 어제 읽은 하루키의 단편도 그랬지만 이 작품 역시(신형철 평론가의 말처럼) '번역투'의 글들 같습니다. 음, 이게 우리나라 이야기야? 할 정도로 조금은 낯설지만 소녀의 마음만큼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 이국적인 소설?! 해설을 맡은 신형철 평론가는 이렇게 말을 했어요. "프랑수와즈 사강의 『슬픔이여, 안녕』이나 에릭 로메르의 영화들을 연상케 하는 이국적인 분위기와 유려한 번역투(표현이 이상하지만 사실이 그렇다)를 우선 즐길 만한 작품이지만, 무엇보다도 한 세계의 붕괴를 시적으로 표착해낸 아름다운 마지막 단락만으로도 이 소설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요.
문득, 나의 첫 세계는 언제였는지 되돌아보게 됩니다.
여러분의 첫 세계는 언제 끝이 났나요?

 

슈타인은 헤어진 지 2년 만에 뜬금없는 전화를 해서는 말한다. "그거 찾았다. 집! 그 집을 찾았다고" 그를 만나지 않게 되면서 그를 잊었던 것처럼 그가 했던 말도 잊은 '나'에게. 이미 지나간 과거의 사랑이다. 그 집을 찾았다고 해서 되돌아갈 수는 없는 사랑이다. 폐가가 되어 언제 무너질 지도 모르는 그 집을 보고 나서도 '나'는 관심이 없다. 그저 아무일 없다는 듯이 내 생활을 할 뿐이다. 그리고 실제로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슈타인의 엽서가 날아온다. "네가 온다면……." 유디트 헤르만의 문장은 무심하다. 뭔가 어긋나 있고, 애정 결핍이다. 제대로 된 결론은 없지만 그래서 읽고나면 안개속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이지만 그 여운이 오래 남는다. 슬프면 슬프다고, 쓸쓸하면 쓸쓸하다고 말해야 하는데 헤르만 그러지 않는다. 그저 보여줄 뿐이다. 그 상황을. 그러곤 독자에게 맡겨버린다. 생각을 해 봐! 너라면? '나'는 마지막에 슈타인의 편지를 받는다. 그러고선 잠시 생각했다. "나중에……." (오래 전에 쓴 리뷰를 가져옴) _「여름 별장, 그 후」

 

 

하루키의 단편 「오후의 마지막 잔디」를 시작으로, 김연수의 『기억할 만한 지나침을 거쳐 문득 생각이 났던 유디트 헤르만의 「여름 별장, 그 후」 이런 식의 이어지는 독서가 재미있어지기 시작했다.
오랜만에 다시 읽은 유디트 헤르만의 글은 여전히 무심하다. 

이 책을 읽은 지 5년이 지났음에도 그랬다. 쉽지 않다.

다만 나이가 들어서일까, 이해가 된다. 모든 상황이. 슈타인이, '나'의 행동들이.

단편의 재미는 이런 데 있다. 길지 않은 글, 친절하지 않은 스토리, 이해가 되지 않는 끝마침.
이야기의 끝은 독자의 상상에. 그대들이 원하는 대로. 그렇게. 둔다.
나는 상상하지. 어느 날 우연히 '나'는 서랍 속에 넣어둔 편지를 발견할 테고 그때를 떠올리겠지.
잠시 슈타인을 생각할 테고, 어쩌면 그곳으로 그 잔해를 찾아갈지도 몰라. 갔는데 실종된 슈타인을 보게 되는 거야. 그리고…….

 

늦은 휴가로 케이프 코드로 떠난 리처드는 그곳에서 예쁘진 않지만 쾌활해보이는 수전을 만난다. 플루트를 불며 오케스트라에서 연주를 하고 있는 리처드와 유산으로 받은 집이 케이프 코드에 있는 수전. 리처드는 그녀가 자기와 별반 다르지 않을 거라고 믿었고 부자라는 것을 알았을 때는, 그랬다면 수전에게 말도 걸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했다. 서로 너무나 다른 삶, 다른 세계. 어울릴 수 있지 않을 거라는 생각에 잠시 고민을 했지만 그뿐. 

 

둘은 서로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며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수전의 제안으로 그 곳의 집을 둘만의 집으로 꾸민다. 하지만 이별의 시간은 다가오고,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수전과 뉴욕에 사는 리처드. 둘의 삶의 극과 극에 있었다. 마지막 날, 수전과 리처드는 서로서로 자신의 삶으로 상대를 유도 하지만. 다음을 기약하며 헤어진다. 그리고 집 동네로 돌아온 리처드는 집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고민에 빠진다. 케이프 코드에서의 짧았지만 강렬했던 삶과 뉴욕에서의 현실적인 삶이 부딪힌 것. 그는 수전을 사랑했다. 집으로 들어가는 순간, 수전과의 삶은 사라질 것 같았다.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그녀에게로 당장 날아가야 하는 걸까? 아니, 그녀에게 이곳으로 와 달라고 같이 집으로 들어가자고 말을 해야 하는 걸까? _「성수기가 끝나고」

 

순전히 제목 때문에, 사고선 읽지 않은 『여름, 거짓말』의 첫 단편을 읽었습니다.
여름, 사랑, 거짓과 진실, 행복. 이 책에 실린 단편들의 주제는 이러했고, 연이어 읽고 있는 책들과 잘 맞았지요.
누구나 한번쯤은 여행지에서 우연히 누군가를 만나고 사랑하는 꿈을 꿉니다. 
저도 그렇고 아마 다들 그럴 거예요.
아니, 한번이 아니라 어쩌면 여행을 떠날 때마다 그런 만남을 기대할 지도 모르죠..
여기 그렇게 만난 두 남녀가 사랑에 빠지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미래도 계획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죠.
휴가가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면 이제 이곳에서의 일은 꿈속의 일이 되어 버릴 테니까요.
같은 도시, 가까운 곳에 둘의 '현실의 삶'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휴가지에서의 일은, 
그렇게 되고 마는 것이죠.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한사람은 자신의 삶을 포기해야만 할 거예요.
아님, 둘 다 포기하고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해야 할까요?

여러분은 어때요?
이런 사랑에 빠진다면, 과감하게 자신의 삶을 포기할 수 있을 것 같은가요?
전, 저는... 아마도...

 

 

 

친구의 생각이었던 단편 이어 읽기.

하다보니 재미 있어서 매일 열심히 읽었다.

원래는 하나씩, 올려야 하는 포스팅이나, 밑줄 긋기 빼고 이렇게 묶어봤다.

나름 재밌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