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
제임스 설터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첫 번째 결론부터 말하자면 독특했다. 내용보다는 문체가 그러했다. 원서가 그러한 건지 번역이 그러한 건지 나로서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었지만 이전에 박상미 역의 줌파 라히리의 소설을 읽어본 적이 있는지라 번역이 독특한 게 아니라 작가의 문체가 그러하다는 것으로 짐작했다. 책을 읽기 전에 대화체가 많은 듯한 문장들을 대충 보며 단편집이라 쉽게 생각했다. 또 남녀의 치정, 배신을 다룬 소설들이라 해서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거라고도 생각했다. 한데, 이런! 읽는 게 쉽지 않았다. 처음엔 잠자리에서 읽어 그런 줄 알았다. 졸리니까 문장이 잘 안 들어온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데 멀쩡한 정신으로 앉아 읽어도 문체가 독특했다. 다 읽고도 이해가 힘들었다. 다시 돌아갔다. 결국 단편 하나마다 두 번씩 읽음으로써 이해를 했다나. 아, 나의 독서력(力)이 이렇다니!-.-

암튼, 그건 그렇고 나의 두 번째 결론은 매우 흥미로웠다는 거다. 부부의 배신을 다룬 단편이나 소설을 한두 권 읽은 것도 아니지만 이 짧은 단편에 이토록 노골적이면서, 이토록 간결하게, 또 이토록 놀라운 결말을 보여주다닛! 한 편씩 읽을 때마다 다 읽은 후엔 잠시 헉! 하곤 멈춤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이건 뭐지?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나. 특히 표제작인 「어젯밤」이 그랬다. 마지막의 반전 아닌 반전은 소름이 솟을 정도(그러니까 남자도 잘 만나야 된다니깐. 총각이든 유부남이든.-.-; ).  또한 작가는 여느 소설들처럼 세세하게 설명을 곁들여주지 않는다. 다만 대화 속의 의미를 독자로 하여금 깨달을 수 있게 해준다. 

모두 10편의 단편을 담고 있는 『어젯밤』은 부부의 일상을 배경으로 은근슬쩍 방해자를 집어넣어 삶을 흔들어 놓기도 하고(아내의 생일날 들통난 남편의 배신(포기), 딸같은 젊은 여자에게 빠진 한 남자의 어이없는 결말(귀고리).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옛여인의 변한 모습에 실망하며 돌아서는 남자(플라자호텔)와 여자 친구 셋이서 나누는 대화(뉴욕의 밤))평범하다 못해 내 주변에서도 한번쯤은 일어났을 법한 이야기들을 한다. 읽다가 보면 꼭 누군가에게 '이런 일이 있었는데 말이야' 하고 이야기 하는 걸 듣는 기분이다. 그래서 공감이 가기도 하고 욕이 나오기도 하고 어이 없기도 하다. 대부분의 글이 치정, 배신의 이야기를 담았지만 작가가 풀어내는, 조금은 놀라운 인간관계들을 알고 나면 세상 사는 게 좀 더 쉬워질지도 모르겠다(어떤 식으로? 그건 각자 나름의 결론으로~^^).  

제임스 설터는 나름 굉장히 유명한 작가라는데 이 소설집으로 처음 만났다. 간결한 문체가 어색했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그 맛이 좋았다. 해서, 이 책을 읽을 생각이라면 지레 겁먹고 집어던지지말고 이해가 안 되면 꼭 한번 다시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씹으면 씹을수록 단물이 빠지는 게 아니라 씹을수록 단맛이 강해져 마침내 책을 덮었을 땐 옮긴이의 흥분된 마음을 백프로 공감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