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완벽한 2개국어 사용자의 죽음
토마 귄지그 지음, 윤미연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독하고 타인과의 소통을 두려워하는 남자들이 등장하는 이전 작품을 재미있게 읽어 그의 다른 소설이 나오길 기다리던 차였다. 소설집『세상에서 가장 작은 동물원』에서 그가 보여준 인간, 무기력하고 자기중심적인 남자들의 캐릭터는 유난히 독특하여 오래도록 기억에 남았는데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 '나' 역시 그들에게 뒤지지 않는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한편으론 어이 없는 웃음이 나오고 또 한편으론 이 불쌍한 중생을 어찌하면 좋을까 동정마저 들었는데 마지막 부분에 가서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모든 사건의 배경에는 부조리한 현실과 자본주의의 거대한 돈줄이 얽히고섥혀 힘없는 평범한(!) 인간으로선 어쩔 수 없는 일이긴 했다지만 말이다.  

이야기는 1978년 3월, 그 끔찍한 사건이 일어났다는 그날을 중심으로 어느 날 눈을 떠보니 식물인간처럼 누워 있던 한 남자 '나'가 과거를 회상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나'는 깨어났으나 그 사건에 대해 기억을 하지 못한다. 말도 한마디 못하고 제 몸을 움직이지도 못하면서도 그를 대하는 간병인이나 간호사들의 태도에서 의문을 갖는다. 저들이 왜 '나'에게 저토록 악의를 가지는가, 도대체 '나'가 무슨 일을 저질렀단 말인가? 또 '나'는 왜 여기 친구 한 명도 찾아오지 않는 이곳에 누워 있는 것일까? 이쯤되면 독자도 1978년 3월 그곳에선 어떤 끔찍한 사건이 일어났는지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다.  

추리 소설이 아님에도 책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매력이 여기에 있다. 토마 귄지그는 그 사건을 향해 '나'가 하나하나 기억을 되찾는 과정을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보여준다. '나'가 왜 그곳에 누워있는지는 책을 다 읽지 않고서는 알아낼 수 없다. 어렴풋한 짐작조차 힘들다.   

또한 '나'의 과거 속에 등장하는 '나'가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는 보너스와도 같다.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지는 자신들만의 이야기는 '나'와 연결되어 스토리를 풍부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그들 역시 '나'와 함께 자본주의라는 거대한 돈줄에 얽혀 상처 입고 정신적 결함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제 두 번째로 만나는 저 먼 나라 벨기에의 작가지만 그가 써내려가는 문체에선 지금 살아가는 현실의 모든 나라에서 볼 수 있는 자본주의의 부조리함을 알게 한다. 또한 그 부조리한 폭력에 맞서지 못하고 굴복할 수 밖에 없는 무기력한 인간들을 내세워 지금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그래서 마지막에  '나'가 병원을 나가며 내뱉는 말은 현실을 도피하고 자기 합리화를 해버리고자 하는 서글프고 비열한 모습을 보여주며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