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쟁이, 루쉰
왕시룽 엮음, 김태성 옮김 / 일빛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쉰을 아시나요? 네, 맞아요. 『광인일기』『아Q정전』의 그 루쉰이고 '노신'이라고도 불리죠. 중국을 대표하는 작가이며 『아Q정전』을 읽었다면 아시겠지만 자기 편한대로 생각하는 아Q를 통해 신해혁명의 좌절로 저항심을 잃은 중국의 민중들을 깨우치려 하기도 했죠. 그런 풍자적 소설을 쓴 루쉰이 그림쟁이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책 『그림쟁이, 루쉰』은 어려서부터 그림을 좋아한 작가 루쉰의 그림들을 모았습니다. 작가가 아닌 그림쟁이로서의 루쉰, 또 다른 루쉰을 만날 수 있는 책이죠. 이 책을 집필한 저자는 루쉰에 관한 연구를 30년이나 한 사람이랍니다. 한 작가의 생애를 연구하는 후세의 사람이 있다는 건 너무 행복한 일일 것 같아요. 작가로서도, 그 작가를 연구하는 입장에서도 말이죠.  

책은 5장으로 나뉘어 국화(國畵), 전각, 평면디자인, 선묘, 책과 잡지 디자인에 실린 루쉰의 그림을  보여주고 관련기록과 루쉰(迅自述)의 기록, 그리고 저자의 해설까지 곁들여 그림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제가 이 책을 읽고 알게된 것은 루쉰이 정말 다양한 장르에 자신의 그림을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인지라 루쉰이 번역서들의(체홉이나 고리키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작가들의 책) 표지나 자신의 책표지도 직접했다는 점이 독특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예로부터 문인들은 그림도 잘 그렸다고는 합니다만(그래서 문인화 라는 말이 있나요?) 지금의 작가들과 비교를 하면 루쉰을 비롯하여 예전의 문인들은 진짜 예술가가 아니었을까 싶어요. 또 루쉰은 책표지 뿐만 아니라 선묘(선으로만 그린 그림)를 보면 좀더 루쉰의 그림솜씨(!)를 알 수 있는데  선묘는 루쉰이 어려서부터 좋아하던 방식이랍니다. 자신이 들어갈 집을 직접 설계,시공 감독하고(서삼조호동 21호 건물 설계도) '이십사효'에 관한 판본을 선묘로 모사하여 조합하기도 하고(조아투강도, 노래자가 부모를 즐겁게 하다, 옥력초전), 자신의 책 『아Q정전』을 번역하는 일본 작가가 '골패 노름'에 대해 잘 알지 못하자 직접 그림을 그려 답을 하기도 하죠(골패도). 또 평면디자인에서는 식물표본책 안에 들어갈 그림을 직접 그려넣고(불새,부엉이), 해부도도 그렸는가 하면 북경대학교 교휘도 직접 도안을 했답니다. 

이렇듯 다양한 방식의 그림들을 보면서 그동안 몰랐던 루쉰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은 즐거운 일이었어요. 루쉰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저도 놀랍다는 생각을 했는데(어쩌면 사소할 수도 있는 그림들까지) 루쉰을 존경하고 좋아하는 독자라면 얼마나 즐거울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우리나라 작가에게도 이 책의 저자와 같은 사람이 나타나(이미 있을 수도 있겠죠. 제가 아는 분 중에 한분도 비슷하게 근대의 작가에 대해 강한 애정을 가지고 연구를 하는 분이 있습니다만) 우리의 문인들에 대해 많이 연구하면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루쉰이 궁금하다면 얼른 만나보세요. 작가 루쉰이 아닌 그림쟁이, 루쉰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