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엔 까미노 - 산티아고로 가는 아홉 갈래 길
장 이브 그레그와르 지음, 이재형 옮김 / 소동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걷는 것은 자신있다고 마음을 먹은 후에 제일 하고 싶었던 일은 산티아고 길을 걸어보는 일이었다. 몇 년 전 친구가 그곳을 걸어보고 정말 좋았다며 강추를 할 때도, '그래 나도 언젠가는 꼭 걸어보리라' 다짐을 했더랬다. 하지만 그 후로도 오랜 시간이 지났으나 아직도 난 걸어보질 못하고 있다.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일은 꿈이나 마찬가지라고 누군가 얘길 했는데 그렇다면 난 여전히 꿈만 꾸고 있는 셈이다. 또 재작년부터 유행처럼 모든 사람들이 한번쯤은 다녀오는 제주올레조차 시간이 안 된다는 핑계로 가질 않으니 아무래도 내 욕망은 게으름을 이기지 못하는 것 같다. 그런 내게 산티아고 가는 길을 다룬 책들은 늘 이루지 못한 욕망(혹은 꿈?)의 해소인 셈이다. 하지만 그런 책들조차도 붐이 일듯이 유행처럼 한 권 두 권 쏟아져나오기 시작하자 별 의미가 없어지고 말았다. 다들 산티아고를 다녀오긴 했으나 자신의 정신적 치유나 사적인 이야기들로 가득하여 몇 권 읽고 나니 흥미가 사라지고 만 것. 그러던 차에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부엔 까미노』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는 다른 산티아고 관련 책들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자신의 치유나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티아고를 걷고 그 과정에서 있었던 일들을 풀어낸 책이 아니라, 산티아고의 길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을 다방면으로 알려주기 때문이다. 또한 누구나 걸어가는 한 갈래 길의 산티아고 길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산티아고로 가는 아홉 갈래의 길을 알려준다. 그런 과정은 십여 년 동안 이 모든 길을 다닌 저자가 아니고서는 누구도 만들어낼 수 없는 책인 셈이다. 이 책의 장점은 그 길, 순례길에 대한 문화와 역사적인 이야기들이다. 그곳의 풍경과 지역에 얽힌 이야기를 다룬 책은 봤지만 역사를 다룬 책은 보질 못했다. 그런 탓에 이 책을 읽어보면 그 순례길들이 얼마나 중요하며 아홉 갈래의 길들이 본질적으론 다르지만 왜들 그토록 순례길을 걸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이 길이 알려지면서 종교나 인종, 나라와는 상관없이 증가하는 순례자(!)들을 보며 많은 사람들이 순례열풍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그 점에 대해 저자는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세 번째 밀레니엄으로의 이행은 대재앙이나 세상의 종말가 무관했도, 산티아고 순례길의 매혹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니까요.(…) 떠나겠다는 결정을 내리기란 쉽지 않은 것이,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는 일이 단순히 운동을 겸한 긴 산책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순례길에 도전한다는 것은 자기자신과 대면 훨씬 이상의 것입니다. 몇 주일 동안이나 계속 걸을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에다가 비합리적인 자연에 대한(혹은 선입견에 근거한) 두려움이 덧붙여지니까요.

열풍이든 순수한(!) 순례든간에 이 책은 잠시 주춤하며 잠들어 있던 내 욕망을 일깨워주었다. 그렇다고 지금 당장 산티아고를 가겠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 책만 있으면 어쩜지 용기가 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 길을 걸으면서 내 자신을 대면하고 진정한 나를 찾는 일임에는 틀림없어 보이니 말이다. 어쨋든『부엔 까미노』, 지금 산티아고 길을 계획하고 있다면 꼭 한 번 읽어보라며 권하고 싶다.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만일 여행의 목적이 타인들과의 만남뿐 아니라 자신과 만나 관계를 더 심화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가장 중요한 건 느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