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시간 사계절 1318 문고 61
지크프리트 렌츠 지음, 박종대 옮김 / 사계절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그러나 그 구름은 아주 잠시 피었을 뿐
내가 고개를 들었을 때 벌써 바람으로 흩어지고 말았다.
 

띠지에 적힌 조금은 자극적인 문구, "열아홉 살 소년과 여교사의 짧지만 강렬한 사랑, 그리고 이별의 문법", "그녀가 죽었다. 순간, 우리 두 사람을 둘러싼 모든 시간이 입을 다물었다."는 책을 처음 보는 순간 호기심을 일게 만든다. 하긴 이 문구가 아니었어도 표지에서 살짝 곁눈질을 하며 쳐다보는 소년(!)의 모습을 보며 어떤 내용일까, 궁금해하기도 했겠지만 저 띠지의 문구가 확실하게 열독의 채찍질을 가했다. 

"우리는 눈물로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로 시작하는 이 소설 『침묵의 시간』은 여교사와 남학생의 '사랑'을 그린 소설이다. 소년의 시점으로, 여교사를 처음 만났을 때부터 사랑하게 되고, 그녀와 영원히 사랑할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의 절정의 순간에 죽어버린 여교사를 추억하며 중간중간 소년의 독백을 곁들여 들려준다. "렌츠는 결코 흥분하지 않는다. 다만 부드럽고 낮은 목소리로 독자들을 강하게 끌어당길 뿐이다." 언론의 찬사처럼, 현대 독일문학의 거장이라는 지크프리트 렌츠는 담담하지만 절제된 문장을 통해 '사랑'의 결론을 내놓는다. 

전반적인 내용을 봐서는 사제간의 금지된 사랑을 들려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만약 그랬다면, 그것뿐이었다면, '현대 독일문학의 거장'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도 없었을 것이다. 옮긴이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시까지 인용하며 사랑의 부질없음을 내보인 것은 표면적으로는 금지된 사랑을 말하는 듯하지만 그게 아니라는 것을 일러주는 것이다. 

그 어떤 사람도 사랑의 영원성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 사랑이 지속되길, 또 그대와 나, 영원토록 변치 않는 마음을 가질 수 있길 바라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게 가능할까? '시간'이 지나면 그 아무리 열열했던 사랑도 식어버린다. 죽을 것처럼 아팠던 사랑도 세월이 약이었다. 그런데 교사와 학생의 관계 같은 사랑이 영원할 수 있을까? 지속된다면 비난받을 게 뻔한 사랑인데 말이다. 그럴 때 누구나 한번쯤은 '시간'이 멈춰지길 바랄 것이다. 지금, 이 순간, 이 행복, 이대로, 영원히!!!

책을 다 읽고 나니 뜬금없이, 지난 주에 끝난 <지붕 뚫고 하이킥>이 생각났다. 세경이 공항으로 가던 길에 마침내 지훈에게 고백을 하고 꺼낸 말,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어요."  

책에서 소년은 추모객들이 물 위로 던지는 꽃다발을 풀어 한 송이씩 뱃전 옆으로 떨어뜨리는 장면을 보며 이런 깨달음을 얻는다. 

저기 떠가는 꽃들이 내 젊음의 영원한 비극으로 기억되는 동시에, 상실의 아픔을 보듬는 크나큰 위안이 되리라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