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 문학과지성 시인선 373
이병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우내 아무 일 없던 화분에서 잎이 나니 찬란하다 
흙이 감정을 참지 못하니 찬란하다 (…) 
     -「찬란」중에서 

봄이 오는 길목, '찬란'이라는 제목으로 '찬란하게' 등장한 시인 이병률. '찬란이 아니면 다 그만이다'라는 '무시무시한 찬란'을 노래하며 오매불망 그의 시를 기다리는 독자 곁으로 돌아왔습니다. '오래도록 내 뼈에 방들이 우는 소리 재우는 일도 찬란'이라 하고 '살고자 하는 일이 찬란'이었으니 '의자에 먼지 앉는 일은' 더 찬란이라고 말합니다. 그가 '지금껏으로도 많이 살았다 싶은 것' 역시 찬란을 배웠기 때문이라고 하니 그의 '찬란'한 시집이 안 궁금할 수 없었죠.  

시인의 마음이야 어떻든 시를 읽는 내 마음은 늘 두근거립니다. 시인이 풀어놓은 시 속에 내 마음이 보이고 그 마음을 어떻게도 추스리지 못하고 고스란히 받아 내 것인양 가슴 깊이 새기면서 나 역시 시인의 마음처럼 '기억'을 끌어다 '바위산'을 만들고 '그 산을 파내어 동굴'을 만드니까요. 

(…)한 사람 심장에 못을 친 사실을
이후로 세상 모든 벽은 흐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합니다
그 바람에 벽을 다 써버렸다는 사실도
     -「못」중에서 

(…)고양이는 온 동네를 찾아 헤매다
죽을 것처럼 아프기 시작했다

검은 봉지를 형제 삼아 지내온 날들
고양이가 울었다
잠든 형제를 위해 자꾸 자리를 비켜주던 날들
뼛속으로 뼛속까지 바람이 불었다
     -「고양이가 울었다」중에서

'감옥' 같은 기억 속에 갇혀 '쓸데없는 이야기나 줄줄이 적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이병률 시인의 문체는 좀 감성적입니다. 씩씩한 척, '그러기 위해 기억하는 일 말고도/무슨 죄를 더 지을 것인가를 생각한다'며 이런 저런 말을 하지만 결국 '세상을 끊는 일''그러기 위해서는 또 태어나야 할 거라고'여린 감성을 드러내고 맙니다. 그런, 시인의 숨길 듯 하면서도 끝내 숨기지 못하는 감성이 제 마음에도 스며드네요. 

시인은 여행을 좋아한답니다. 혼자 떠나는 여행은 자신을 만나기 위한 여정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일까요 『찬란』의 시 곳곳에 여행의 느낌이 외로움으로 때론 슬픔으로 엿보입니다. 이곳에서의 외로움을 여행으로 숨겨버리기 위해 그토록 여행을 다니는 것이 아닐까.

 (…)매일 우주를 굴리고 있다고 믿은 햄스터가
실은 별만큼 먼 외로움을 향해 달리고 있다는 것을(…)
     -「햄스터는 달린다」중에서 

(…)나는 여기 있으며 안에 있다
안쪽이며 여기인 세계에 붙들려 있다 
나는 지금 여기 있는 숱한 풍경들을 스치느라
저 바깥을 생각해본 적 없는데
여기 있느냐 묻는다(…)
     「이 안」 중에서
     

'시간을 썼'고 '풍경을 먹어치'웠지만 '씹을수록 찬 맛이 나는 풍경은/정신을 붓게' 한답니다. 그 바람에 좋은 풍경 보고자 몸을 부려가며 온 것을 후회하지만 '무심히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햄스터처럼 오늘도 어김없이 시인은 '슬픔의 바퀴'를 돌리는지도.  

고개를 든 것뿐인데
보면 안 되는 거울을 본 것일까

고통스레 관계를 맺은 기억들,
기억의 매혹들이
마지막인 것처럼 몰려오고 있다
이제 쓰거운 것이 돼버린 파문들을
단숨에 먹어치우고 끝내버리자는 것일까
(…)
소멸하지 않는 기억의 우주를
쌓이고 쌓이는 외부의 내부를
어쩌자고 여기가지 몰고 와서는
안정하지 못하는 것일까

해를 보면 어두워지는
달을 보면 환해지는 기억들은
왜 적막하게 떠돌지 못하고
우주에 스미는 것일까 
     「기억의 우주」중에서

좋아하는 시인의 시집을 만나는 일은 시인을 직접 만나 속마음을 듣는 일과도 같습니다. 시인의 감성이란 시 속에 숨겨 놓고 안 내보이는 척 온갖 은유로 무장하지만 결국은 누구에게든 털어놓고 마는 일. 그래서 봄이 오는 이 계절에 이병률 시인의 시집을 읽는 것은 '찬란'한 일입니다. 당신도 찬란했다면 당신 덕분에 '나' 역시도 찬란해질 테니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