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에 사랑을 담아』로 처음 알게 된 아토다 다카시, 그의 세 번째 책이 나오자마자 읽게 되었다. 전작의 인상이 워낙 강해 오래 남기도 했거니와 이 책을 읽기 며칠 전 호시 신이치의 책을 읽은 탓에 『나폴레옹광』은 운이 없게도 그다지 깊은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

책을 읽으며 일본이라는 나라는 참 독특하다는 생각을 했다. 아토다 다카시의 작품이나 정말 짧은 글로 반전의 묘미를 보여준 호시 신이치의 작품들이나(호시 신이치는 벌써 33권의 SF반전 쇼트 소설(?)을 썼다.) 평범한 이야기로 시작하여 마지막에 가서 예상치 못한 결과를 보여주므로 허를 찔린 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 재미에 습관을 들이면 다음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이번엔 어떤 반전이 기다릴까? 상상도 하며 추리도 하다가 허걱! 놀라기도 하게 된다. 즉, 완전 빠져버린다는 뜻이다. 그런데 유독 이런 짧으면서 톡 쏘아 주는 듯한 이야기가 일본이라는 나라에만 국한되어 있고 읽히고 있다는 게 특이하다.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이야기들이 있으나 번역하지 않아 소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지만 번역되어 있는 비슷한 장르의 책들을 비교해보면 역시 일본 소설이 대세인 듯하다. 심지어는 히가시노 게이고마저 미스터리를 잠시 접고 흑소, 괴소, 독소라는 이름으로 단편집을 낸 적도 있다.

읽은 차례로 치자면 『흑소소설』을 제일 처음 읽었다. 작가는 다양한 장르를 소화해내는 사람들이지만 어쩐지 그에겐 미스터리가 역시 제일 좋았어요! 라는 느낌을 받았다.

암튼 『나폴레옹광』을 읽고 있다고 하니 친구들이 그의 명성을 알고 서로 읽고 싶다고 했다. 사실 조금 실망을 하긴 했지만 너무나 읽고 싶어들 하기에 빌려주었는데 반응은 반반이었다. 처음 읽은 친구는 너무 재미있다는 의견이었고 앞서 두 권의 책을 모두 읽은 친구는 조금 실망이에요. 라는 평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나도 뒷부분 두 이야기 정도는 읽는 둥 마는 둥 했기에 그 의견에 공감이 갔다. 하지만 세 권의 책을 모두 읽은 친구가 가장 좋았다며 추천한 『시소게임』을 읽기 전까진 아토다 다카시의 책에 대해선 언급을 회피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따지고 보면 그 친구는 아토다 다카시를 『시소게임』을 처음으로 만났기에 그 느낌이 강렬했을 테고, 나는 『냉장고에 사랑을 담아』로 아토다 다카시를 만났기에 그럴 수 있으며, 『나폴레옹광』을 너무나 재미있게 읽었다고 한 친구는 그 책을 처음으로 아토다 다카시를 만났기에 앞서 우리가 느낀 그 감정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하여 어쩐지 이대로 아토다 다카시를 보내면 안 될 것 같아 『시소게임』을 읽어보기로 했 다. 결과는? 사실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어떤 책은 똑같은 구성임에도 읽을 때마다 흥미를 느끼는가 하면 어떤 책은 매번 같은 문체에 같은 구성으로 지루함을 느끼게도 한다. 그렇다면 아토다 다카시는… 글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