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블로거 문학 대상] 문학에 관한 10문 10답 트랙백 이벤트

 

  
 

1. 당신은 어떤 종류의 책을 가장 좋아하세요? 선호하는 장르가 있다면 적어주세요. 

문학이라고 하면 분야를 망라하고, 연령을 망라하고, 나라를 망라한답니다.  가능하면 문학으로만 편식을 하지 않으려고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역시 문학만을 사랑하는 것 같아요. 특히 프랑스 문학을 좋아하고, 한국 문학도 좋아하고 있는 중이며 영미 문학이나 다른 나라의 문학들도 좋아하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답니다. 최근엔 청소년 문학에도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지요.
 

 

2. 올여름 피서지에서 읽고 싶은 책은 무엇인가요?

피서지에서 읽는 책은 단연코 스티븐 킹의 소설이에요. 하지만 올 여름엔 이미 스티븐 킹의 신작을 읽어버렸기에 다른 책을 생각해봤어요. 제가 쌓아두고 아끼고 있는 책 중에 뭘 가져갈까? 고민하다가 골랐어요. 마음 같아선 하루에 한 권씩 해치우고 싶지만 책 읽기 위해 가는 피서도 아니고… 쩝! 이언 매큐언의 새 책과 에코의 책(과연 읽을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그리고 관심이 없다가 갑자기 확! 생겨버린 황석영 선생의 개밥바라기별(아무래도 주인공이 소년이어서 관심이^^;;;)

 

 

3. 가장 좋아하는 작가는 누구인가요? 혹은 최근에 가장 눈에 띄는 작가는?

이건 참 곤란한 질문이에요. 좋아하는 작가가 한둘이어야 말이지요. 그래도 좋아하는 작가를 골라야 한다면 다섯 명씩만 골라볼래요. 줄리안 반스, 스티븐 킹, 이언 매큐언, 알랭드보통, 레이먼드 카버(와! 모두 남성 작가군요! -.-;;) 위화, 비폐이위, 미시마 유키오, 하 진(역시 남성!) 백가흠, 이병률, 김연수, 심윤경, 편혜영, 윤성희

그리고 최근에 눈에 띄는 작가코맥 매카시, 클레르 카스티용, 전아리, 김중혁, 김려령 이랍니다.

 

 

 

4. 소설 속 등장인물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인물은 누구인가요? 이유와 함께 적어주세요.

 

최근에 읽은 소설 중에서 『새벽 세 시, 바람이 부나요?』에 나온

레오!가 좋아요.^^

소설이지만 그렇게 완벽한 남자가 존재하다니!! 

이런 남자 어디 없나요???

 

 

 

 

 

 

5. 소설 속 등장인물 중에서 자신과 가장 비슷하다고 느낀 인물

제가 읽고 페이퍼를 작성한 게 있어요. 그래서 그걸 올려보겠어요.^^

그 남자는 나에게 바래다달라고 한다」- 이 단편을 읽으며 심히 공감하였다.^^; 

->더보기

 

6. 당신에게 소중한 사람들에게 선물하고 싶은 책은?

너무 많지만 우선 『책도둑』『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자명한 이치』『끌림』등등 내가 읽고 정말 마음에 든 책들은 주변에 있는 소중한 분들에게 무조건 선물해주고 싶어요.

 

 

7. 특정 유명인사에게 선물하고 싶은 책이 있다면? 누구에게 어떤 책을 읽히고 싶은가요?

법정 스님의 『무소유

누구에게 읽히고 싶냐면, 그걸 꼭 말로 해야할까요?

5년 안에  끝장을 볼 생각으로 욕심부리고 있는 그 분에게 권하고 싶어요.

 

앗! 스님의 책이라 안 읽겠다고 할지도. -.-;;

다시 골라야 하나? 『예수는 없다』뭐 이런 책으로??

 

 

  

8. 작품성과 무관하게 재미면에서 만점을 주고 싶었던 책은?

 

오, 『사랑이라니 선영아』개정판이 나왔군요!!

가장 웃겼던 것은 역시 『완득이』였고, 이 시대 최고의 연애소설이라고 말하고픈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그 외의 다른 책들도 나름 재미면에서는 만점을 주고 싶었던 책이에요.

 

 

9. 최근 읽은 작품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문장이 있다면 적어주세요.

밑줄긋기에 올려 놓은 책은 이 책이군요.

우리를 만들어서 동물들을 넣어두고 관람료를 받는 일 같은 것을 인간 외에 어떤 동물이 생각해내겠어. 동물을 관리하는 인간이 있고 동물을 관람하는 인간이 있고 동물을 관람하는 인간을 관리하는 인간이 있고 그런 인간들에게 통제되고 영향받는 소수의 동물들이 있는 곳. 압도적인 인간의 영역, 그게 동물원이야. 동물원의 동물들이 어딘지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야.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p85」


10. 당신에게 '인생의 책'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이유와 함께 적어주세요.
『절망이 아닌 선택』그야말로 나에게 절망이 아닌 선택을 가져다주었던 책이에요. 고려원에서 나온 책, 1,2권짜리가 아닌 한 권짜리책이었는데 거의 매 페이지마다 밑줄이, 그 이후로 나는 이런 자기계발서는 읽지 않아요. 아! 작년에 비슷한 고민을 하다가 『시크릿』을 읽은 적이 있네요. 남들이 다 욕!!을 해도 그 책이 나에게 와서 내게 어떤 형태로든 희망을 주었다면 그건 아마도 나에겐 좋은 책임에 틀림없어요. 그러니 좋은 책의 기준은 남들이 써 놓은 리뷰가 아니라 내 취향이고 내 정신상태애 따르고 내 기분에 따르며 내가 읽고 감동 받으면 좋은 책인 것 같아요.

자문자답!!!=> 10문10답 하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거의 한 달을 고생...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