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말리 - 노래로 태어나 신으로 죽다
스티븐 데이비스 지음, 이경하 옮김 / 여름언덕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레게reggae란 카리브 해 자메이카 흑인들의 한과 설움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그 음악이 밥 말리가 추종한 라스타파리와 연결되어 음악성보다는 차별받는 카리브 해 흑인들의 저항음악으로 불린다. 내가 레게라는 말을 처음 들은 것은 아무래도 김건모의 <핑계>가 아닌가 싶다. 그 후 경쾌한 리듬의 이 곡을 그저 자메이카의 전통음악으로만 생각했다. 이 책 『밥 말리』를 읽기 시작하는 그 순간까지 말이다. 책을 읽고 나니 레게음악이란 게 내가 생각하듯 단순한 자메이카의 리듬음악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의미가 많다는 걸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한 사람의 인생을 알기위해서는 적어도 그 사람에게 관심이 있어야 하며, 그 인생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나는 고작 레게음악을 했다는 이유와 "No woman No cry"라는 곡을 알고 있다는 이유로 밥 말리에 대해 다 아는 양 이 책을 읽었다. 아주 큰 코 다쳤다. 모르는 이야기가 너무 많고, 이해하기 힘든 정서였다. 그럼에도 결국은 다 읽고 나니 밥 말리가 부른 노래들이 모두 평화, 정의 ,자유 등을 부르짖는 저항 정신이 가득한 노래들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백인 아버지와 흑인소녀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밥 말리는 수도 킹스턴 서부 빈민가 트렌치타운에서 자랐다. 후에 어머니가 살던 미국으로 건너가 돈을 벌기도 했으나 라스타파리에 빠져 있던 밥 말리는 결국 자메이카로 돌아온다. 그 후 음반 만들 기회가 생겨 "Catch a Fire"를 발표하면서 전 세계에 레게음악을 알리게 된다. 경쾌한 리듬은 많은 사람들이 어깨 들썩이며 춤을 추게 만들었고, 노래 속에 담긴 메시지는 그의 신념들이(정의, 자유, 저항 등) 들어 있었다. 미국 투어를 돌 정도로 유명해진 밥 말리, 그러나 뇌종양에 걸리게 됨으로써 레게음악의 한 줄기였던 밥 말리는 세상을 떠나게 된다.

자메이카, 그 중에서도 밥 말리가 살았던 빈민가 트렌치타운은 지린내가 진동하고, 높은 유아 사망률, 만연하는 질병을 가진 라스타파리 교도들의 야영지나 마찬가지였다. 그곳에서 청년기까지 보낸 밥 말리에게 배고픈 순간들을 잊게 해준 오랜 벗들은 그의 오른팔이며 심복이 되어 줄 친구들이었다. 어머니인 세델라 부커가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은 밥 말리가 그 라스타파리를 믿고 있다는 거였다. 라스타파리는 이 책 표지에도 나와 있듯이 마리화나를 하나의 상징처럼 생각하고, 빗질도 하지 않는 길고 화려하고 기괴한 드레드락스의 머리로 구별된다. 세델라 뿐 아니라 자메이카 사람들에게조차 라스타파리 교도들은 공포와 혐오의 대상이었다. 그럼에도 밥 말리가 속한 1967년 초반 '웨일링 웨일러스'는 자메이카에서 금욕주의를 표방한 최초의 보컬그룹이었다. 그들은 진실한 라스타파리교도였기에 정해진 음식만 먹고, 엄청난 양의 마리화나를 피웠으며, 매일매일 성경을 읽고, 비의적인 은어들을 사용했다. 그래서일까? 밥 말리의 사진을 보면 하나같이 비쩍 마른 모습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엔 정말 몰랐던 사실들을 이 책을 읽음으로써 알게 되자 밥 말리의 노래들이 다르게 들리기 시작한다. 경쾌한 리듬 속에서 흑인들의 애환이 들려오고, 밥 말리가 부르는 노래 속에서 카리브 해 흑인들의 억눌리고 차별받는 모습이 떠오르는 듯하다. 빈민가에서 나름대로 차별과 억눌림을 겪은 밥 말리가 어머니가 싫어하고 자메이카인 대부분이 혐오하는 라스타파리에 빠지게 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어떤 사람의 인생에 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도 되겠지만 오해할 수 있는 계기도 된다. 밥 말리는 내게 그의 인생을 들여다봄으로써 오해보다는 이해가 생긴 경우가 되었다. 경쾌하지만 애절한 그의 음악이 레게를 오해하고 있던 내게 진정한 레게음악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