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진 1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 야윈 나머지 마치 장난삼아 여자 옷을 입혀놓은 한 마리 작은 원숭이 같아 보였다.” 이 문장은 백 년 전에 조선에 관한 책을 쓴 프랑스 외교관이었던 이뽀리트 프랑뎅의 『프랑스 외교관이 본 개화기 조선』에 나오는 문장이며, 신경숙이 『리진』을 쓰게 된 동기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기 전에 김탁환의 『리심』을 읽었는데 남자 작가가 쓴 여자 이야기여서일까? 뭔가가 살짝 부족한 점이 있었는데 그 부족한 점을 신경숙이 『리진』에서 채워주었다.

한동안 신경숙의 소설은 읽지 않았다. 오래 전 『풍금이 있던 자리』이후 나오는 소설마다 가녀리고 왠지 보호해줘야만 할 것 같은 여자 주인공들의 모습이 질렸던 것 같다. 뭐야? 또 처량 맞잖아! 어쩌면 그래서 이 책 『리진』을 기다린 지도 모르겠다. 김탁환의 『리심』에는 그런 것이 없었으니 말이다. 그런데 내 예상은 빗나갔다. 다들 신경숙의 문체가 달라진 것 같다고 했는데도 내심 그래봐야 뭐 그렇게 다르겠어? 했는데 달랐다.

전반적으로 강연과 리진 그리고 콜랭의 로맨스가 예전의 신경숙답다고 하면 리진을 매개로 생생하게 재현되는 역사는 신경숙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신경숙이 역사 소설을 어떻게 풀어냈을까 궁금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신경숙도 가능하구나 하는 바보 같은 생각을 했다.(무릇 작가란 어떤 소재로든 이야기를 만들 수가 있는 것을 왜 의심을 했던가! - -) 실존 인물을 두고 살을 붙여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일은 요즘 작가들에게 유행인가 보다. 그런데 그게 재미있는 것을 보면 작가들은 역시 독자보다 한 수 위인 것 같다.

리진은 고아가 되어 어린 나이로 궁에 들어가 궁중 무희가 되고 왕비의 사랑을 받는다. 아름답게 성장한 리진에게 프랑스 외교관이던 콜랭이 첫 눈에 반하게 되고 왕의 허락을 받아 리진을 공사관에서 일하게 한다. 그곳에서 리진과 콜랭은 결혼을 하고 프랑스로 떠난다. 프랑스에서의 생활은 나름 활발하여 모파상과 교류를 하고 『춘향전』을 번역한 홍종우와 만나기도 한다. 하지만 리진의 향수병과도 같은 몽유병을 본 콜랭은 리진과 함께 다시 조선으로 들어간다. 

대체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허구를 가미하면 그 흥미가 배가된다. 리진이 모파상과 교류하였다는 것과 홍종우와의 관계는 허구다. 하지만 너무나 자연스러워 정말 그녀가 모파상과 만나고 모파상이 정신병원에 입원했을 때 병문안을 갈 정도의 사이였을 지도 모른다는 착각도 한다. 또 홍종우가 리진을 진심을 사랑한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은 후 KBS에서 방송한 리진에 관한 다큐를 보았는데 실제로 리진은 프랑스어를 자유자재로 하진 못했지만 그곳에서 열심히 공부하여 예술인으로 활동한 것으로 나온다. 리진은 그곳에서 나라에 얽매인 궁녀가 아닌 한 사람으로서 다시 태어나 자유를 맛보았지만 외로웠을 거다. 특히 이 책『리진』에서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같이 보고 자란 강연에게 마음이 있었다. 강연만이 리진의 사랑이었던 거다.

실제로 리진의 생애는 속상할 만큼 안타깝다. 그 시대에 프랑스까지 다녀온 개화된 여성이 프랑스 공사관이랑 결혼을 했다는 것을 알면서도(물론 법적으론 아니었다 하더라도) 앙심을 품은 한 관리에 의해 단지 나라에 속한 궁녀라는 이유로(노비나 다름없다) 조선으로 돌아오자마자 궁으로 끌려 가 다시 무희가 되어야 했다는 것과 콜랭이 그런 부적절한 처사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점, 또 조선의 문서 어디에도 그녀에 대한 글 한 줄 남아있지 않다는 것은 어쩌면 그 시대엔 프랑스 남자와 결혼한 그녀를 나쁘게 본 관습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러나 신경숙은 그런 리진을 아름다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게 했다. 완벽하게 잊혀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던 그녀가 어쩌면 조선의 야만적 관습에 의해 희생당한 그녀가 신경숙의 탁월한 문체로 우리에게 돌아온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