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죽음의 가면 기담문학 고딕총서 2
에드거 앨런 포 지음, 김정아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정말 고딕스러워 보이는 표지는 보면 볼수록 이 책과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에드거 앨런 포, 추리나 공포소설을 좋아한다면 그의 단편을 하나쯤은 읽은 경험이 있을 거다. 이 책 『붉은 죽음의 가면』에 나오는 여러 단편들이 많은 소설에 인용되고, 영화로도 제작되었기에 읽다보면 어디선가에서 읽은 듯, 그런 이야기를 아는 듯, 느낌을 받는 것은 아마도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에드거 앨런 포의 일생은 알려진 대로 술과 마약, 도박 등으로 스스로 자신의 삶을 무너뜨리며 살다가 거리에서 쓰러져 죽음을 맞이한 불운한 작가였다. 친부는 아니었지만 부유한 양부 밑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자랐으나 주벽과 도박으로 그의 삶에서 어쩌면 탄탄대로로 나아갈 수 있었던 자신의 길을 스스로 포기한 셈이었다. 그런 그의 삶을 표현하기라도 하듯 써내는 많은 단편들이 공포스럽고, 괴기하며 환상적이었다. 그랬기에 문학적으로 새로운 평가를 받아야 할 그는 당시 청교도적인 사상이 지배하고 있던 미국에서 거의 한 세기에 가깝도록 인정을 받지 못했으니 살아서도 죽어서도 그는 그의 단편들처럼 불운했다.


알고보면 매혹적인 죽음의 역사』를 쓴 기류 미사오는 ‘작가의 말’에 에드가 앨런 포의 「붉은 죽음의 가면」을 예로 들면서 인간이란 ‘죽음’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것을 알면서도 순간의 쾌락을 위하여 불안과 공포를 잊으려 춤을 춘다고 했다. 포는 이렇듯 죽음 중에서도 생매장이나 고문, 살인 같은 괴기스런 글을 많이 써서 인간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온갖 방법들을 제시하기도 한다. 결국 그 모든 글들은 인간의 과도한 고통이 주는 분노와 광기를 거침없이 보여주고 있는 거다.


가장 유명한 「검은 고양이」의 끔찍한 신체 절단과 「어셔 가의 붕괴」와 「아몬티야도 술통」에서 보여 준 생매장, 「구덩이와 시계추」의 고문 장면, 복수의 잔혹극이던 「폴짝-개구리」, 「베레니체」「리지아」「엘레오노라」에서 보여준 사랑하는 여자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모습이라든가 「윌리엄 윌슨」같은 도플갱어 이야기는 현 시대에서도 끔찍하고 읽기 힘든 소재들이다. 그럼에도 이런 모든 이야기가 문학적으로 인정받는 것은 그가 그런 공포와 고통의 완성도를 자신의 생활에서 비롯한 것이라 할지라도 재미보다는 나름의 논리를 가지고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인간 본연의 감정을 잘 살려냈기에 가능한 것일 거다.


대체로 이런 소설은 더운 여름밤에 읽어주는 것이 마땅하다. 한 글자, 한 글자씩 정독하며 포가 말하려는 ‘고통’을 몸으로 느끼며, 가끔은 어디선가 들리는 작은 소리에 오싹해 하면서 말이다. 난 이런 공포소설을 좋아하는 편이다. 지극히 현실적이지만 그저 소설일 뿐이기에 가끔 긴장이 필요할 때면 포의 소설을 집어 든다. 그러니 지금 삶이 지루하다면 포의 단편을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