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않는 여자는 없다
나가시마 유 지음, 이선희 옮김 / 창해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나가시마 유’, 요즘 일본 소설가들의 책이 너무 많이 나와 그들의 이름을 익히는 것도 힘들 지경이다. 더구나 조금 떴다 싶으면 우후죽순으로 쏟아지는 일본 소설들이 과히 반갑지만은 않다. 대부분의 일본 소설들은 좋은 말로 하자면 ‘’하다라고 할 수 있겠지만 솔직한 표현으론 가볍다. 마음만 먹으면 책 한 권 읽는데 두 시간도 채 걸리지 않는다. 더구나 읽고 나면 금방 잊고 만다. 그래서 이 소설 『울지 않는 여자는 없다』를 읽기 시작했을 때도 금방 읽겠지 했다. 아, 그러나 그건 나의 착각이었다.


이 책에는 두 이야기가 나온다. 표제작인 「울지 않는 여자는 없다」와 「센스 없음」 사실대로 이야기 하자면 난 이 책을 읽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했다. 페이지는 분명히 넘어가는데 이야기가 하나도 생각나지 않았다. 심지어는 주인공 이름마저 헷갈리고 있었다. 도저히 안 되겠다 싶어 과감히 책을 덮고 처음부터 다시 읽었다. 그제야 조금씩 이야기가 머리에 들어 왔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내가 가볍다고 생각한 여타 일본 소설들하곤 조금 달랐다. 옮긴이의 말을 빌리자면 ‘지긋지긋할 정도로 두 주인공의 성격이 이성적이고 관조적이다. 그래서 슬프고, 그래서 서럽다’ 그래서 나는 지겨웠다. 소설이라기보다는 내 이야기 같고, 친구 이야기 같았기 때문이다. 내 주변에서 흔히 보는 그런 주인공, 작가는 조금의 과장됨이 없이 무덤덤하게 주인공의 심리를 표현한다. 그래서 읽으면 읽을수록 점점 주인공 감정 속으로 빠져들기는 하지만 그렇게 되기까지는 약간의 인내심도 요구가 되는 거다. 끝까지 읽을 인내심 말이다. 


울지 않는 여자는 없다」의 무쓰미는 시험지를 조작시키면서 까지 자신을 뽑아준 한 회사에 취직이 되었다. 그 회사는 모회사의 계열회사였고 소문에 의하면 모회사에서 좌천된 직원들로만 이루어졌다고 한다. 무쓰미가 그곳에서 하는 일은 매일 아침 K전기에서 보내온 방대한 전표를 확인한 후, 제품이 정확한 행선지로 가도록 전표를 분류하는 일이다. 시간대에 따라 바쁘기도 했지만 예전에 아르바이트를 하던 제과점보다는 낫다고 생각을 한다.


작가는 이런 무쓰미의 일상을 담담하게 써 내려갔다. 회사 이야기, 공장주변의 풍경, 직원들에 대한 소소한 관심, 그리고 히카와에 대한 무쓰미의 짝사랑을 섬세하고 담백한 문체로 표현했다. 처음엔 무관심하던 회사와 동료들에 대한 마음이 크고 작은 일들로 인해 열리면서 다소 소극적이고 서툴지만 서서히 따듯하게 변화해가는 무쓰미의 모습은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연결과 단절’의 의미를 잘 표현해 준다. 결국 무쓰미의 모습에서 “우리는 연결되어 있으면서 단절되어 있지만, 단절되어 있으면서도 연결되어 있다”라는 메시지를 읽을 수 있게 된다. 그거야말로 서투른 인생을 살아가는 우리의 인생과 다르지 않는 담담한 생활인 것이다.


또 「센스 없음」에 나오는 야스코는 세이키마Ⅱ라는 밴드를 좋아한다. 세이키마Ⅱ의 노래를 듣다가 문득 그들의 음악을 처음 듣던 때를 생각하고 때마침 걸려온 친구 미도리와 세이키마Ⅱ의 노래에 대해 이야기 하다가 남편 방에서 찾은 디카 안에서 애인과 같이 찍은 남편의 사진을 발견한다. 처음 남편의 외도를 알고 야스코가 한 일은 밤늦게 귀가하는 남편의 변명을 듣는 사이에 청동으로 된 조각상을 던지는 일이었다. 남편이 피하여 어깨에 맞았지만 만약 피하지 않았다면 야스코는 남편을 죽여 버렸을 지도 모른다. 그만큼 분노와 살의를 느꼈고 그 후로 남편은 당연하다는 듯이 집엔 소홀하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남편이 부재중인 상황에서 걸려온 비디오테이프 반납 전화를 받고 야스코가 비디오테이프를 반납하러 가는 하루를 보여준다. 그 사이에 어디선가 들려오는 아리아와, 두부장수의 모습, 눈 덮인 거리 풍경과 더불어 친구인 미도리와의 고교시절을 되돌아본다. 그 되돌아봄은 야스코의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보는 것과도 같다. 그리고 돌아온 남편이 내뱉은 이혼이라는 말에 위자료 대신 이마에 ‘고기육(肉) 자‘란 문신을 새겨달라고 한다.


이 또한 「울지 않는 여자는 없다」와 마찬가지로 남편에게 상처 받고 서툴게 살아가는 야스코를 통해 ‘연결과 단절‘을 보여준다. 그 속에 존재하고 있는 고독함 역시 현실의 나와 다르지 않은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작가는 너무나 평범한 일상을 보여주며 주인공인 두 여자의 감정을 아주 섬세하게 표현했다. 그래서 지루한듯하지만 읽다보면 그 감정의 묘사에 빠져들게 된다. 결국 두 주인공이 ‘’가 되어 밥 말리의 노래 ‘No Woman No Cry'가 ‘울지 않는 여자는 없다’ 혹은 ‘여인이여, 울지 마라’라고 해석하든 나도 모르게 눈물 한 줄기 흘리는 여자가 되고 마는 건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