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침대에서 내 다리를 주웠다 - 신경과의사 올리버 색스의 병상 일기
올리버 색스 지음, 한창호 옮김 / 소소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 주변엔 유별나게 간호사가 많다. 나름대로 다들 임상 경험이 있는지라 병원엘 가면 아는 것도 많은 편이다. 그래서 가족이든 친구든 누군가 병원에 입원을 해서 병문안을 가면 그때부터는 귀를 쫑긋 세우고 의사의 지시나 간호사의 설명이 올바른 건지 또는 같은 간호사로서 환자에게 대하는 태도가 제대로 된 건지 등등 관찰하기 바쁘다. 병문안가서도 저 정도인데 정말 입원이라도 하면 얼마나 까탈스럽고 아는 척(?)이 많을까? 라는 생각이 안든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여기 신경과에서 알아주는 교수님 올리버 색스가 등산을 하다가 다리를 다쳤다. 여태껏 환자들의 신경학적 심리만 관찰하고 진찰하다가 본인이 바로 그 환자가 되었다. 아무도 없는 산에서 다리를 다쳐 온갖 희망과 좌절과 고통속에서 허우적대다 구사일생(?) 구조되어 최고의 외과의사에게 수술을 받은 올리버. 문제는 그 후에 발생했다.
 
그러나, 그가 산에서 다리를 다쳤을 때 어떠했는가부터 알아보자. 올리버 색스는 신경과 교수다. 사고를 당한 후 고통이 오자 그는 침착하게 자신이라는 환자를 두고 의사 입장에서 그 다리를 관찰해본다. 침착하게 결론을 내리고 환자를 보는 순간, 그 환자가 자신임을 깨닫고 어쩌면 내가! 불구의 몸이 될지도 모른다는 공포에 휩싸이게 된다. 그 후로 그의 머릿속은 온갖 상상들이 날개를 단듯 날아다닌다. '2년 전에 이곳에서 사고가 난 멍청한 영국인이 일주일 후 얼어죽은 시체로 발견 되었다더라''해질녘까지 무슨일이 있어도 나는 사람들 눈에 띄어야 한다''아냐, 내려갈 수 없을 거야''아! 내게 우산이 있어 그걸로 부목을 만들면 돼. 그래 난 구조될 수 있어'그러다가 톨스토이도 생각나고, 칸트의 음악도 들리며, 급기야는 저녁 어스름에 들리는 교회의 미사곡이 자신을 위한 장송곡으로 들리기까지 한다. 물론, 올리버 색스가 아니라 나라고 해도 그런 상황에선 온갖 상상들이 날 괴롭혔으리라. 하지만 신경과 교수인 올리버 색스는 얼마나 많은, 그동안 보아왔던 그런 경험의 사람들이 생각났을 것인가?
 
수술 후 올리버 색스는 이제껏 자신이 관찰만 해 오던 그런 환자를 몸소 체험하게 된다. 그의 다리가 <형식적이고 사실적인 의미에서 그곳에 존재했다. 시각적으로 거기에 있었지만, 생명력을 지니고, 알맹이 있게 현실적으로 거기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 다리는 실제 다리가 아니었으며, 결코 현실성을 갖는 다리는 아니었다. 내 앞에 놓여있는 단순한 겉모습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실을 빼내어도 고통이 없었고, 걷고자 생각해도 자연스럽게 걸어지지가 않았다. 내 다리는 이곳에 있는데 남의 다리가 내 몸에 붙어 있는 듯한 느낌! 그런 뜻하지 않은 경험도 놀라운데, 끔찍한 간호사를 만나고  병원시스템의 불합리화, 회진이라는 시간에만 나타나는 담당의, 더구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도 그대로 들어주지 않는 의료진들...등등 의사로서 환자를 대할 때 보지 못한 많은 것들을 환자가 되면서 경험하게 된 것이다.
 
다리가 있으되 다리가 없는 사람인 올리버 색스는 신경과의사답게 모든 예를 들면서 철학적으로 혹은 꾸밈없는 일기형식으로 임상기록을 써내려 간다. 그가 수술 후 느낀 많은 경험들, 고통과 불안과 희망과 좌절의 반복 속에서 소생하고 회복하고 이해하는 순간까지 철저히 환자가 되어 환자로서의 절차를 그대로 밟은 것이다. 그러한 임상 기록이 나중에 올리버 색스라는 사람에게 얼마나 큰 도움이 되었으리라고는 이야기 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의료진들이 한번쯤 환자가 되어 봐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환자 입장에서 이해하고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한 일일 것이다.
 
다리를 다쳐보지도 않았고 더구나 깁스 같은 것도 해 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올리버 색스의 경험이 전혀 낯설고 설마?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올리버 색스가 예로 든 다른 사람들을 봐서는 틀림없는 경험이었던 것 같다. 눈에 보이는 내 다리가 내 다리가 아니라는 느낌! 조금 끔찍해지지만..올리버 색스가 그 사건(?)을 해결하고 여행이 끝난 느낌으로 철학적 사상의 본질을 운운하며 써내려간 이 책은 가히 올리버 색스다운 임상기록이라 하겠다. 
 

그래서 우리 탐구의 모든 끝은,
우리가 출발했던 곳에 도달하는 일이며
그곳을 처음 보는 것처럼 인식하는 일이다.
-엘리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