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도둑 초승달문고 11
임어진 지음, 신가영 그림 / 문학동네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혹 아이들 이야기를 읽어보면 꽤 재미있다. 내가 어렸을 땐 왜 그런 재미있는 이야기들에 빠지지 못했는지 어른이 된 나는 늘 아쉬워한다. <이야기 도둑> 문체도 구수하고 이야기도 흥미로운 이 책은 이야기를 잘 하는 설아기라는 아이의 이야기다.

 누구하고도 동무삼아 도란도란 이야기 꽃을 피우는 아이. 그러나 설아기가 사는 나라는 이야기가 금지 되어 있다. 임금님이 임금님에 대한 이야기 딱 하나만 남겨두고 이야기씨를 다 가두어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모님은 이야기 좋아하는 설아기가 다칠까봐 걱정이다. 고민 끝에 설아기를 관찰한다. 어느날 잠자고 있던 설아기 몸안에서 나온 혼쥐를 발견한 부모. 옛날부터 사람에겐 두 마리의 혼쥐가 사람이 잠던 틈에 코에서 나와 돌아다닌다고 이야기 들었지만 설아기에겐 한 마리의 혼쥐가 더 있는 것이다. " 맞다. 이 세 번째 혼쥐가 세상의 이야기를 엿듣고 설아기에게 훔쳐다주는 도둑이다." 라고 생각한 부모는 그 혼쥐를 없애버린다. 이제 설아기는 이야깃거리가 없어져 버렸다. 이야깃거리가 없으니 친구들도 설아기도 재미난 일이 없다. 더군다나 설아기는 시름시름 앓기까지 한다. 그제야 부모는 자신들이 설아기의 이야기 혼쥐를 없애버렸다고 말한다. 설아기는 그때부터 울고불고 난리다. 마을 사람들 모두 그 울음소리에 일을 못할 지경이다. 어느날 마을의 가장 나이가 든 노인이 찾아와 설아기에게 말한다. 이야기 씨를 찾으러 가라고 이야기 씨를 고이 간직하고 있으면 이야기 혼쥐가 다시 태어난다고...이제 설아기는 울음을 그쳤다. 그리고 힘이 난다. 임금님 궁에 갇힌 이야기 씨들을 찾으러 떠나기로 한 것이다. 팍팍한 길, 끝이 없는 길, 그 먼 궁으로 말이다.

 <이야기 도둑>은 우리 고전 전래동화처럼 감칠 맛이 있다. 단어들도 너무 재미있다. '요래조래' '납죽거리지' '둘레둘레' 같은 단어들은 발음 해보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그런데다 이야기 씨들을 가두어둔 방을 지키는 빗장신이 내는 수수께끼는 흥미롭기도 하다. 이야기에 정성이 가득 들어간 이 책은 외국 동화에 빠져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같이 준다. 우리의 동화들도 이렇게 재미있다는 것을 <이야기 도둑>은 가르쳐 주는 듯하다.

 세상에 많고 많은 도둑들 중에 이야기 도둑이 있다니...그런 도둑쯤은 곁에 두어도 무섭기는커녕 너무너무 재미날 것 같다. 그럼 우리 이야기 도둑이나 잡으러 떠날까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