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싸리꽃 빛깔의 무당기 도지면

 

여자는 토문강처럼 부풀어

 

그가 와주기를 기다렸다

 

옥수수꽃 흔들리는 벼랑에 앉아

 

아흔번째 회신 없는 편지를 쓰고

 

막배 타고 오라고 전보를 치고

 

래 못 살 거다 천기를 누설하고

 

배 한 척 들어오길 기다렸다

 

그런 어느 날 그가 왔다

 

 

갈대밭 둔덕에서

 

철없는 철새들이 교미를 즐기고

 

언덕 아래서는

 

잔치를 끝낸 들쥐떼들이

 

일렬횡대로 귀가할 무렵

 

노을을 타고 강을 건너온 그는

 

따뜻한 어깨와

 

강물 소리로 여자를 적셨다

 

그러나 그는 너무 바쁜 탓으로

 

마음을 가지고 오지 않았다

 

미안하다며

 

빼놓은 마음 가지러 간 그는

 

다시 돌아오지 않았고

 

여자는 백여든아홉 통의 편지를 부치고

 

갈대밭 둔덕에는 가끔가끔

 

들것에 실린 상여가 나갔다

 

여자의 히끗히끗한 머리칼 속에서

 

고드름 부딪는 소리가 났다

 

완벽한 겨울이었다 

 

 <고정희>


어디에선가 보았다. 순수하게 사랑한다는 것은 거리를 두는 데 동의하는 것이라고. 자신과 사랑하는 사람 사이의 간격을 무엇보다도 존중하는 것이 순수한 관계라고. 고정희의 관계는 가슴 어디쯤을 후벼파는 것 같은 느낌이고.. 살아가다보면.. 속수무책인 건 따로 있는 법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udan 2005-12-21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략적으로 결혼한 이민족 남편이 모국으로 떠나면서 좁쌀자루 하나 맡기고는 하루에 한 톨씩 이 좁쌀을 던져서 자루가 비게 되면 그 때 돌아오리다 했던 약속때문에, 남편 떠난 언덕에서 영원히 떨어지지 않는 좁쌀을 던지고 있는 여자. 몽고에는 그런 전설이 있다던데.

rainy 2005-12-21 2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검은비님.. 수단님..
여자는 왜 늘 기다리다 돌덩이가 되고, 남자는 왜 뒷모습을 보일까요.. 안 그러면 되지 않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인 여자와 그 반대인 남자도 물론 실존하지만.. 태생적이라는 건 남는 것 같아요.. 그게 좁쌀 한톨의 차이여도.. 치명적일수 있는.. 다시 태어나도 여자로 태어나고 싶은 나지만.. 딸 아이가 태어났을 때.. 내가 주체할 수 없이 울었던 건.. 아마도 그런 저런 전설들의 짬뽕된 기억의 잔재 때문인 것 같아요.. 여자가 아이를 낳는 것을 멋지고 근사하게 치장하고, 우월하다 어쩐다 생각들이 많아도.. 그건 오직 형벌일 뿐이라는 생각이 .. 잘 떠나지 않아요.. 아이를 사랑하고 아니고와는 별개의 .. 모성애 자체가 벌이란 생각.. 그 모성애를 날 때 타고난 딸이라는 존재가.. 난 참을 수 없이 슬펐던 것 같아요.. 참으로.. 못말리죠.. 나도..

rainy 2005-12-22 0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자는 나이 먹을 수록 적극적이 된다는 이론은 없나요? ㅋㅋ
딸 없는 친구들에게 말하곤 해요.. 쯔쯔 가여운 것들
허전한 인생에 딸도 하나 없이 무슨 낙으로 살아갈꼬.. 하구요..
나와 지연인 얼굴도 닮았다고 하고, 행동양식이나 타고난 습성도 너무 비슷해서
신비로우면서 두렵고, 걱정되면서 행복하고.. 그래요...
검은비님 어때요? 늦기전에 성이동생? ㅋㅋ
둘째 생각 없다고 하신 것 같으니.. 며느리라도 ^^;;;

rainy 2005-12-22 0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듣기 싫은 질문 중에 하나가 '둘째는?' 그거여놓고 내가 ㅋㅋ
성이랑 하루 종일 함께 지내는 군요.. 훌륭해요^^
난 내 한계를 잘 알아서 네살때부터 어린이집엘 보냈어요.
내 숨통을 틔우는 게 우선 너무 급했어서..
둘이 잘 지낼만 하면 그게 제일 낫고, 어디 잠깐씩 보내는 것도 나쁘진 않아요.
서로의 애정을 확인하는 계기도 되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