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즈 - 따뜻한 연대를 꿈꾸며]


서른 즈음이란 나이는 아무래도 심리적으로 어떤 경계선임에는 분명하다.

적어도 여자에게는.

난 서른에 오년 넘게 사귀어온 남자친구에게 선포했다.

“서른이 되면 뭔가 달라지길 원해.

그래서 구체적으로 계획을 좀 세워야 겠는데..

널 포함해야 할지, 널 빼고 세워야할지 헷갈리고 있어.

니가 함께 한다는 전제하에 내 앞날에 대한 계획을 세울 건지.

아님 나 혼자 따로이 계획을 세워야할지가 말야.

그러니 이제 결정해줘. 결혼을 할지. 아님 헤어질지.“

그건 결혼을 꼭 해야겠다는 마음은 아니었다.

(이걸 프로포즈로 해석하는 사람들이 꼭 있다-_-)

단지 이제부터는 부모의 그늘에서가 아닌

내가 결정하고 내가 행동하는 내 삶을 살고 싶다는

그래서 조금씩 달라지기를 바라는 나름대로의 결단 비슷한..

영화 ‘싱글즈’의 주인공들은 열아홉에 부모의 집을 나오는 게 꿈이었다니

난 덜 떨어져도 아주 많이 덜 떨어진 아이였던 셈이다.

(물론 나도 독립에의 꿈은 열아홉부터 꾸었지만)


난 그래서 결혼을 했고(-_-;;)

몇 년이 지나면 마흔이 된다.

“마흔이 지나면 뭔가 성취했을까? 아님 말고..”라는 주인공의 마지막 독백은..

그러므로 지금 나에게 또다시 유효하다.


일과 사랑.. 그 둘 중 하나를 성취했다고 해서

인생이 단순하게 해피한 건 아니라는 건 이미 알고 있고,

남편과 아이가 생겨 싱글은 분명 벗어났지만..

심리적으로는 우리 모두 언제까지나 싱글이므로..


나와 함께 인생의 한 철을 함께 보내는 나의 여자친구들..

그리고 흔치는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마초 성분을 거의 뺀 착한 남자들..

그들과의 따듯한 연대 속에서 삶은 언제까지나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을 알게 된 지금..


그러므로 파이팅이다.

혼자서 아이를 낳아 키울 결심을 하는 동미와

횡재 비슷한 남자를 포기하고 동미의 곁에 남기로 한 나난,

그들이 해피하고 안전하게 살기엔 많은 장애가 눈에 보듯 선하지만..

그래도 무조건 전폭적으로 파이팅이다..

그들과 우리들 모두에게 건투를 빌고 싶게끔 만드는

‘싱글즈’는 아주 착하고 따듯한 영화였다.


참. 배우얘기를 빼놓을 수 없겠다.

나난역의 장진영 참 예쁘고 자연스러워서

초반엔 장진영에 의한 장진영을 위한 장진영의 영화군 했었다..

그렇지만 역시 화사함은 좀 떨어졌지만

너무 자연스러운 동미역의 엄정화 역시

제 역할을 아주 정확하게 해내었던 것 같다.

이범수도 적역을 맡았다고 볼 수는 없으나

오버하지 않고 흐름을 제대로 탄 듯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루나 2004-08-15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심리적으로는 우리 모두 언제까지나 싱글이므로....

rainy 2004-08-16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싱글이란 말은.. 지금 보니..
참 외롭고, 두려운 마음을 갖게 하네..
그 말은.. 인간은 결국은 아무리 용을써도.. 혼자라는 말이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