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멜리에 - 엽기발랄한 그녀가 건네는 따듯한 인사]



내가 좋아하는 영화들은 주로 소통과 진정한 이해 이런 것에 관한 것들이다.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있으므로 제대로 된 소통을 가져본 적 없고

서툰 관계에서 받은 상처의 흔적과 고통 때문에 겁이 많고 차라리 외로움을 택하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서로를 알아보고 조금씩 소통해 가며 자기를 열어 보이는 그런 이야기...


얄팍한 입술(애정결핍 + 고집불통)의 아빠와

눈꺼풀의 경련(신경불안 + 왕짜증)의 엄마 사이에서 태어남.

아빠의 오해로 학교에 가지 못했기에 친구를 만들 기회도 얻지 못하고 혼자 꿈꾸고 혼자 성장함.

소통해볼 기회를 얻지 못했기에 단절이나 어긋남을 경험할 기회도 없었던 아멜리에...

그래서 그녀는 그토록 겁 없이 타인들의 삶에 뛰어들 수 있었던 걸까?

우리들은.. 나는...

그렇게 겁 없이 다가서다가는 가슴에 또 하나의 칼자국이 생길 것을 알기 때문에

그녀처럼 할 수 없는 것인지도...


영화에서 얻는 즐거움은 많겠지만 주로 생각되어 지는 건

공감과 극복인 것 같다.

나의(나 일수 있는)일상, 나의(나 일수 있는) 생각들을 누군가 영상으로 펼쳐 보였을 때와

내가 아직 할 수 없었던 일,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 일을 누군가가 할 때, .


이 영화가 나름대로 해피앤딩인 것에 안도한다.

안 그랬다면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영화에서도 또 한번 상처를 입었을 테니까...


장-삐에르 쥬네는 외로움을 타게 된 것일까?

그의 이전 영화들도 해피앤딩이 많았고 나름 따듯함이 배어있긴 했었지만...

이 영화는 왠지 그자신이 행복하고 싶어 만든 영화처럼 느껴졌다.


밝고 화사하게 느껴지는 화면과 군데군데 재치있고 기발한 장치들..

이전 장-삐에르 쥬네의 영화에서 봤던 인물들이 등장하는 것도 영화의 한 재미..

그의 영화에 거의 등장하는 도미니크 피뇽이 왜 그렇게 반갑던지.


영화가 시작될 때 어린 시절의 아멜리에가 여러 가지 재료들을 가지고 혼자서 노는 장면과

끝부분에 니노와 아멜리에가 행복하게 웃으며 오토바이를 타는 장면.

그리고 아멜리에의 아버지가 여행가방을 꾸려 드디어 택시를 타던 장면...


오래 마음속에 따듯하게 남아 있을 거야...


(ps.

하지만 겁 없는 가짜 편지는 싫어... 아무리 누군가를 위한 일이라 해도... 가짜는 싫을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