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있기 좋은 날 - 제136회 아쿠타가와 상 수상작
아오야마 나나에 지음, 정유리 옮김 / 이레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저, 이대로 좋을까요?"

"글쎄, 모르겠네."

"할머니, 세상 밖은 험난하겠죠? 저 같은 건 금방 낙오되고 말겠죠?"

"세상엔 안도 없고 밖도 없어. 이 세상은 하나밖에 없어."

 
   

 

 소설을 다 읽고서 얼마 지난 후 당시엔 마음에 와닿지 않았었는데 지금에서야 이 문구가 나에게 위로를 준다. 나도 세상밖으로 나오는 것이 두렵고 불안했었다. 그것을 다른 사람이 알게될까 또 그것이 두렵고 불안했었다. 아마도 당시의 나의 모습과 소설 속 치즈의 모습이 꽤나 겹치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나도 어서 나이를 먹어 50대 60대 70대의 노인이 되고 싶었다. 왠지 그들한테는 불안과 두려움은 없고, 평안과 지혜와 안정만이 있을 것 같았다. 텔레포트.. 그렇다. 치즈가 소설 속에서도 그렇게 말한다. 깅코 할머니와 텔레포트하고 싶다고. 매사에 끙끙대지 않고, 비관적이고 피곤한 것이 싫어서 말이다. 하지만 노인은 노인대로 애로사항이 있는 법. 역시나 세상에서 가장 어렵고 힘든 문제는 자기 당면 문제뿐인가라는 체념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나이는 헛 먹는 것이 아니고 세상도 헛 사는 것이 아니다. 깅코 할머니는 치즈에게 "틀에서 불거져 나온 게 인간. 불거져 나온 게 진정한 자신." "어두운 건 나쁜 게 아니야." "사람이란 게......참 그렇지? 다들 떠나가버리니까." "곰곰이 되짚어보면 (즐거움)이 되돌아온단다." 라는 식으로 코 빠뜨리고 있는 치즈에게 알듯 모를듯 한 위로와 삶의 지혜를 들려준다. 깅코 할머니의 위로는 치즈의 부아가 치밀어 오르게도 하지만, 깅코 할머니와의 1년 동거생활은 생각많고, 자신을 덜 사랑하는 치즈를 점차 변화시켜 세상안에 이미 그녀가 있음을 일깨워준다. 그렇다고 치즈와 세상과의 관계가 괄목할 정도로 원만해진 것은 아니다. 여전히 그녀에게 세상과의 소통은 서툴고 그곳은 불안과 두려움 투성이다. 하지만 이제 그녀 앞의 세상은 '봄의 문턱'의 기대감이 충만한 그것이다. 기대와 불안이 공존하여 속이 울렁거리는 그런 세상을 그녀가 만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