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처럼 기분 좋은 아저씨들이 있을까. 왠지 이 아저씨들은 머리도 벗겨지지 않았고, 배도 안 나왔으며, 키도 안 작을 것 같고, 팔자 걸음도 아닐 것 같다. 소형 트럭을 운전하고 있어도 폼나고, 담배 연기를 뻐끔뻐끔 뿜어도 왠지 멋지고, 깡마른 치와와를 데리고 산책을 다녀도 가벼워 보이지 않고, 온동네를 슬리퍼를 신고 휘젓고 다녀도 후즐근해 보이지 않는, 아저씨 같지 않은 오빠, 오빠 같지 않은 아저씨. 이것이 글을 읽고 나의 머리속에 그려진 다다와 교텐의 이미지이다. 누가 뭐라하든 난 이 두 아저씨를 그런 아저씨들로 여기고 싶다. 왜 이렇게 이 두 아저씨 다다와 교텐에게 후한 점수를 주게 되었는지는 이들의 심부름집에 가보면 안다. 가장 이 두 아저씨에게 호감을 갖게 된 것은 편견이 없다는 것이다. 이 둘은 그저 욕심없이 자신들의 심부름집에 의뢰된 일들을 묵묵히 해 나갈 뿐이다. 그 일들이란 것이 크던 작던 중요하든 하찮은 일이든 말이다. 그것도 고객들이 알아차리지 못하게 감동도 슬쩍 얹어서 말이다. 겉으로 봐선 곰같고, 지저분한 아저씨들이 말이다. 시대를 불문하고 사람들은 참 바쁘게 살았고, 살고 있으며, 큰 이변이 없는 한 아마도 바쁘게 살아갈 것이다. 자신들이 살아오면서 무엇을 놓쳤는지, 또 무엇을 흘렸는지도 모른체 말이다. 또 앞으로 놓치고 흘리게 될 것이 무엇인지 모른체 말이다. 그러면서 사는 의미와 이만하면 한 세상 괜찮게 살지 않았나하는 어줍잖은 만족에 빠져서 말이다. 하지만 인간사를 통틀어 진짜 제대로 살았던, 살고 있는, 또 살아갈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잠시도 쉬지 못하면서 인생의 쉼표를 가질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비록 자신의 의지로 한 템포 늦춰서 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심부름집 다다와 교텐은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폼은 나지 않지만 왠지 뿌듯함에 어깨가 벌어지고, 돈은 많이 벌지 못하지만 마음의 금고를 꽉 채우고, 주먹다짐으로 얼굴과 몸에 상처는 나지만 약한 자를 보호해 줄 수도 있는 이들이야말로 꽤나 괜찮은 직업을 가진 꽤나 괜찮은 아저씨들이 아닌가. 다다 심부름집에 심부름거리를 한 두개 가지고 찾아가 다다와 교텐식의 완전해결법을 한번 만나 보시라. 이 아저씨들 진짜 멋지다니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