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1
미우라 시온 지음, 윤성원 옮김 / 북폴리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달리는 것을 좋아하니?'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난 '아니요'라고 자신있게 말 할 수 있다. 사실 달려본지가 너무 오래되었다. 초등학교 다닐 때에는 반 전체 아이들이 조를 나누어 모두 달리는 50~60미터 달리기와 출전할 선수가 없어 마지못해 나갔던 400미터 계주가 전부였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 수록 다른 사람들 앞에서 달리는 것을 해 본 적이 없다. 더 나이가 들어서는 언젠가 약속에 늦어 어쩔 수 없이 전력질주를 했던 적이 있는데 난 그때 내가 죽는 줄만 알았다. 달리기를 하다보면 runner's high라는 최고조의 기분을 경험한다고도 하는데 난 내 심장이 터지고 내 다리가 내것같지 않은 느낌 뿐이었다. 그래서 결론은 나는 달리기의 기쁨을 전혀 모른다는 것이다.

여기 내가 이해할 수 없는 녀석 둘이 있다. 가케루와 하이지. 가케루는 달리기는 것이 즐거움이요, 일이요, 의식주요, 삶인 녀석이다. 또 한 놈인 하이지는 맘껏 달리고는 싶으나 다리가 안 따라주는 비운의 러너이다. 하이지가 가케루를 만남으로써 내가 이해할 수 없는 녀석들이 더 많이 늘어났다. 지쿠세이소의 거주자들이 바로 그들이다. 아아.. 그런데 하이지, 가케루, 지쿠세이소 거주자들을 차례차례 만나면서 늘어나는 이해 불가능 사람들이 속출한다. 달리기에 무관심했던 지쿠세이소 거주자들이 연습에 연습을 거듭하여 점점 달리기의 매력에 빠지고 작고, 큰 달리기 대회에 출전하면서 달리기에 미친 사람들이 대거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쯤되면 '달리기'란 것에 궁금증이 확 인다. 도대체 두 다리를 빨리 교차시켜 속도를 높이는 이 기본적인 반복 운동인 '달리기'가 무엇이길래 지쿠세이소 거주자들은 생고생을 마다하지 않았는지 말이다. 소설에서 이 궁금증에 대한 해답은 역시나 '달리기 위해 태어난' 가케루가 이야기 해준다. 그럼 소설 속인 아닌 현실에서의 달리기 매력에 대한 해답을 알려주는 사람은? 불행인지 다행인지 알려주는 사람이 없다. 사실 가케루, 하이지, 지쿠세이소 거주자들이 완주를 하고 이 이야기의 끝에 내가 도착했을 때에도 난 달리기의 매력에 빠지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였다. 나는 달리기를 알기 전의 지쿠세이소의 거주자들처럼 내 다리를 적당히 차례차례 교차시켜 적당한 속도를 내면서 걷는 것에 만족하기 때문이다. 내 다리가 좀 더 빨라지는 것은 원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