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라미스 해전 - 세계의 역사를 바꾼 전쟁
배리 스트라우스 지음, 이순호 옮김 / 갈라파고스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스포츠에 열광을 한다. 물론 스포츠 자체의 재미도 있겠지만, 경기에 이기려는 승부욕이나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작전등이 더욱 더 세밀한 즐거움을 선사해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약한 팀이 선수들의 투지와 더불어 코치진들의 멋진 전략으로 인해 강한 팀을 이길때는(특히, 자신이 그 약한 팀을 응원하고 있을때에) 단순한 재미를 넘어 감동까지 선사한다. 얼마전에 읽은 '살라미스 해전'이라는 책도 앞서 언급한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짜릿한 승부를 이야기해주지만, 결국엔 역사적 사실이고, 하나의 큰 교훈이다. 

세계사에서 가장 유명한 해전 중의 하나로 이름나있는 이 '살라미스 해전'은 BC 480년에 있었던 유럽의 그리스와 아시아의 페르시아간의 해전을 가리킨다. 하지만 이 전쟁은 단순히 유럽과 아시아간의 대륙간의 영토 전쟁을 넘어선 고대 그리스의 민주정치와 왕정을 바탕으로 한 페르시아 두 나라간의 정치적 배경을 펼치고 벌인 해전이다. 이 배경은 또한 이 전쟁의 커다란 소재이자, 전쟁의 승패를 가늠하게 한 중요한 요소이다. 물론 아테네의 영웅 '테미스토클레스'의 심리적 전술의 이용은 이 전쟁의 가장 큰 승리의 버팀목이다. 또한, 페르시아 왕인 '크세르크세스'의 몇가지 실책은 엄청난 대군과 수많은 선박들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단 하루만에 엄청난 손실을 겪게 되는 원인이다.

이 해전의 내용에 관해서는 거의 언급을 하지 않겠다. 책을 보지 않으면.. 쉽게 와닿지도 않을 뿐더러 단순히 기원전에 있었던 아주 오래전의 작은 전쟁으로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가면서 느낀것은 결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래된 이야기 같지가 않았다. 오히려..지금의 세태와도 꽤 많은 부분 들어맞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느낄 정도로 매우 섬세했으며, 지형,지물을 이용할 줄 아는 과학 전쟁이었다. 더군다나.. 인간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변화해오고 발전한 것은 기술이지 결코 인간의 정신이나 관념등은 그리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것도 느낄 수 있었던 부분이다.

이 책의 초반부엔 '삼단노선(삼단노 갤리선)'이라는 배에 대해서 매우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다. 처음엔 이렇게까지 자세히 말할 필요가 있나하고 느꼈지만, 결국엔 이 '삼단노선'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이 당시의 해전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삼단노선의 구조와 그 기능들, 그리고 그러한 각 부분을 맡고 있는 군인들을 포함하여 전쟁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의 정신적인 부분까지도 삼단노선에 다 들어가 있다. 한 예로 배의 아래층에서 노를 젓는 하급민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쟁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쟁의 긴박감과 긴장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이 책의 장점이 바로 전략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아울러 그때 당시의 페르시아인들과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사람들의 감정들이 자세히 실렸다는 점이다. 물론 많은부분은 추정이지만, 이러한 추정들도 근거없이 함부로 추정되어진 것이 아니고 옛 문헌에 기록되어있는 것들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에 설득력이 있다.

이 책은 이 해전 이후의 이야기도 실려있다. 결국엔 이 해전으로 민주국가,민주정치가 어느정도 뿌리내리게 되었지만(좀 벗어난 이야기이지만...1차 세계대전을 끝으로 독일이 민주주의란 옷을 입지않고, '전체주의'로 가는 것과 같이...전쟁은 국가의 체제또한 바꾸어버리는 힘이 있다), 그 후 아테네와 스파르타간의 긴 반목과 전쟁으로 이어지는것으로 봤을때..결국 인간은 그때와 지금...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물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살라미스 해전'이 세계 4대 해전에 포함되는 이유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