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볼 - 불공정한 게임을 승리로 이끄는 과학
마이클 루이스 지음, 윤동구 옮김, 송재우 감수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몇년전부터 한국 출신의 메이저리거들이 늘면서 우리의 시선은 태평양 건너 아메리카라는 대륙의 야구장으로 꽂히기 시작했다. 또 덩치큰 선수들이 그 덩치에 비해 작게 보이는 나무 방망이를 휘두르는 모습과, 또 이 덩치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사각공간(스트라이크 존)안으로 야구공이 빨려들어가는 모습에 열광하기 시작했다. 우리마저도 그들의 현란한 몸짓에 열광하고 흥분하는데(비록 열광하는 우선순위는 코리안리거들이 먼저이지만...) 미국 자국민들은 과연 어떠랴.
 
이 <머니볼>이라는 책은 바로 순순한 팬들의 열정과 열광에 의해 태어난 책이다. 왜냐하면 이 책이 팬들의 환호에 직접 반응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순수한 몇몇 골수팬에 의해 정보가 수집되고 이 수집된 정보와 그라운드에서 일어나는 일(통계적 야구)을 분석해서 만들어진 야구백서와 같은 책들을 밑받침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독자적으로 그들의 야구를 분석한 몇몇 이들이 없었다면 아마 이 책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물론 '오클랜드 어슬랜틱스'와 그 구단주인 '빌리 빈'도 언론의 머릿기사에 자주 오를 일도 없었을 것이다.
 
결정적으로 '오클랜드 어슬랜틱스'의 단장인 '빌리 빈'이 앞서 말한 골수 팬들에 의해 만들어진 야구백서와 같은 책들을 통해 그만의 야구 철학을 완성지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시말해 이 '머니볼'은 돈많은 메이저리그 구단과는 전혀 다른 길을 가는 '오클랜드 어슬랜틱스'의 사투기이다. 같은말로 '빌리 빈'의 확률에 근거한 도박기로도 부를 수 있을 듯 하다.
 
보통 야구는 통계의 집대성이라 불린다. 그들이 그라운드에서 하는 모든 몸짓은 바로 숫자이다. 타자가 공을 치던지 못치던지 모든게 숫자로 표현되며, 투수가 몇개의 공을 던지고 몇번째에서 공을 맞았는지 등등... 이 모든것이 또한 그들의 성적과 관련되어 있다. 그런데 앞서 소개한 '빌리 빈'은 다른 구단주들이 철썩같이 믿고, 맹신하는 몇가지 숫자들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다만 다른 구단주들이 무시하고 심지어 그런 숫자들이 있는지 알지 못하는 다른 숫자들을 믿는다.
 
내가 가장 흥미있게 보았던 내용을 예로 들자면, 수비의 에러(실수)는 말 그대로 말장난인 것이다.  그리고 같은 말로 타자의 안타 또한 말장난이다. 수비의 에러이든, 타자의 안타든 이 모든것은 공격을 내비치는 말이다. 즉, 공이 배트에 맞고 그라운드 안으로 들어가야 안타던지 수비 실수던지 나온다는 것인데, '빌리 빈'은 이 말의 뿌리를 '공격'에 두지 않고 '수비'에 중점을 두었다. 즉, 안타는 그 공에 이르지 못한 수비의 범위를 말하는 것이며, 수비 실수 또한 그라운드 내의 공의 3차원적 위치와 수비의 불균형이라는 말이다.
 
사족들을 걷어내고 단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행운'인 것이다. 그러니까 수비의 균형 즉, 빠른 발, 정확한 송구 능력과 그것을 가능해주는 어깨의 힘, 그리고 진루주자를 다음 누상에 두지 않기위한 순간적 판단력만 갖추어진다면 공이 안타로 만들어지 위한 공간을 수비수가 수비 할 수 있는 범위안에 충분히 둘 수 있다는 말이다.
 
또 하나의 예를 들자면 외야수가 달려들어 비어있는 그라운드로 떨어지는 공을 멋지게 낚아채어 플라이 아웃으로 만들어버리는 일명 'play of the day'를 차지 할 수 있는 멋진 호수비 또한 수비수의 체크를 통한 확률적 숫자놀음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안타를 수비수와 의존적인 관계로 만들어 충분히 제어할 수있다는 뜻이 숨어있다.
 
공격 역시 '빌리 빈'의 입장에서는 보통의 구단주들과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다. 공격은 멋진 top player들의 야구에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반대로 그는 일명 팀의 조화를 들고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해보면 '플래툰'시스템도 이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첫타에 안타를 친다는 것은 명백히 팀을 위협하는 행동이다. 그것이 비록 홈런으로 이어졌다고 해도 말이다. 왜냐하면, 이같은 행위는 과학적 통계에서 벗어난 독단적인 움직임이기 때문이다. 즉, 운이 좋아 첫타에 안타가 만들어지든, 홈런이 만들어지든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빌리 빈'의 과학적 공격은 무엇일까?
 
과학적 공격은 바로 소극적 야구이며, 이것은 다른 말로 '스몰 볼'이라는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야구의 진정한 공격은 한방으로 홈런을 만드는 것이 아닌, 4구(포볼)로 1루에 무사히 진출하는 것이다. 즉, 상대 투수의 투구수와 피로도를 극한으로 이끌어내어 상대방의 심리전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고, 자신들의 팀의 사기 진작은 물론, 상대팀의 투수가 던지려는 공의 예측또한 쉬워지고, 보이지 않는 스트라이크 존에서 자신의 타자들이 원하는 'hot'지역 내지 'cool'지역으로의 상대 투수의 빈번한 투구를 이끌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기회를 노려 대량득점을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즉, 공격은 '빌리 빈'에게 있어서 '기다림의 야구'이다.
 
리뷰에 이런 이야기를 쓴다는 것이 매우 한정되어 있기에 정리를 해본다면, 이들은 즐기는 야구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까 그라운드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가능성들을 계획안으로 밀어 넣으려는 일종의 의도된 야구, 전략의 야구이다.
 
그렇다면 왜 '빌리 빈'은 이런 소극적 플레이를 하게끔 코치진에게 지시를 할까. 그것은 바로 '오클랜드 아슬랜틱스'라는 야구팀이 매우 가난하기 때문이다. 그 해의 신인 대어를 낚아올 수도 없고 심지어 자신의 팀에서 성장한 선수를 계속 묶어 둘 수 있는 돈도 없다. 그러니까 항상 스크우터들을 통해 팬들의 열광지수를 높일 수 있는 멋진 외모는 일찍부터 고려대상에서 제외시켰으며, 순위안에 드는 선수들 또한 이적으로 데려올 생각도 꿈꾸지도 않는다.
 
'빌리 빈'의 생각은 이렇다. 어느 하나라도 괜찮으면 데려와서 좀 훈련시킨 다음에 그가 가진 단점은 최대한 무시하고 장점만을 부각시킨다. 그래서 언론이나 다른 구단에 눈이 띄이기라도 하면 웃돈을 주고 판다. 그리고 남은 수익금을 가지고 다음 해에 그나마 괜찮은 선수(물론 이 선수도 대어급은 아니다)에 투자한다. 그러니까 싹수만 보이면 데려다 쓴다는 말이다.
 
이는 '빌리 빈'이 허영에 사로 잡혀있지 않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리고 자신의 팀의 모든 것을 속속들이 알고 있고, 심지어 제한된 범위안에서 가능한 모든 변환을 즐긴다. 이는 똑같이 돈없는 다른 구단과는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빌리 빈' 또한 예전엔 대어급 선수였다. 하지만, 그는 돈때문에 야구를 선택했고 그의 선수생활은 엉망이 되었다.
 
그래서 그는 결심하게 된다.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할때에는 결코 돈을 보지 않기로 말이다. 그는 선수시절 꽤 많은 돈을 벌 수 있었지만, 야구가 싫다는 스트레스 때문에 결국 일찍 야구를 그만두게 된다. 하지만 그는 야구의 메니지먼트에 눈을 뜨게 되고 야구에 관련된 무언가를 하고 싶다는 욕망이 일어나 관리직으로 전향하게 된다.
 
이 뒤에는 몇 번의 지구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비록 플레이 오프에는 그만의 전략이 쉽게 먹혀들지 않았지만, 어쨌든 그는 보통 이상의 남는 장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어보면, 코치석이나 관중석에서 보는 야구가 아닌 저 위 쪽의 구단주의 위치에서 보는 야구를 즐길 수 있다. 그들이 스카우트 하는 거라든지, 선수들의 이적을 시키려는 노력, 그리고 일부 선수들의 개인적 감정등... 야구 외적으로 내적으로 수많은 것들을 보게되고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록 이 책이 주로 '빌리 빈'의 시각에서, 그러니까 관리직이라는 측면에서 접근되어진 것이지만, 충분히 선수들 입장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끌어올리는 방법이라던지, 좀 상투적이지만 꿈과 희망을 잃지않고 계속 유지시킨다던지..하는 방법들 또한 읽을 수 있다.
 
야구를 좋아하지 않아도 재밌게 볼 수 있으며(물론 야구에 대한 약간의 관심은 필요할 수도...), 자기계발이나 경영과 같은 장르의 책과도 많은 부분 부합된다.
 
개인적으로는 야구의 통계에 대한 '빌리 빈'의 확고한 믿음과 점찍은 선수를 데려오려는 그만의 머리쓰는 것들이 재미를 배가시켰다.
 
한번쯤 이런 책도 읽어두면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