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소설이다... 그런데..당연히 이 책은 소설이다. 이 책은 구차(苟且)한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글쎄... 삶이 구차하다는 말을 쓴 내가 책을 잘못 읽은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역시나 삶은 구차하다. 

이 소설은 마치..거친 고난을 역경의 삶을 산 사람이 내 앞에서..앨범을 펼쳐놓고..사진 한장 한장 보여주며...이때는 이랬지...그래서 어떻게 된줄 아나?...라고...자신의 삶을 내게 회상하듯이 보여주는 것 같이 느껴졌다.

이 이야기가 보여주는 단 하나의 이야기는 인생은 새옹지마...이다. 우리의 주인공 허삼관이 피를 판 돈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듯이..그의 인생은 피로써 이룩한 누차하지만..정이 있는 거룩한 삶이다. 하지만..어떤 특정한 에피소드들로 이 허삼관의 인생을 구현하다보니...허삼관의 지나온 삶이 그리 크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한권의 책으로는 좀 부족하지 않나 싶다.

소설에 나와있지 않은 허삼관의 띄엄띄엄한 인생들 사이 사이가 궁금증을 일으킨다. 비록 주인공이 허삼관이지만..이 소설은 가족에 관한 이야기이기에 그의 가족들의 삶 또한 어느정도 제대로 다루어져있어야한다고 생각이 든다. 허삼관의 매혈(賣血)은 첫번째와 마지막번째를 제외하곤 자신을 위해 판 적은 없기 때문이다. 물론..더 상세히 말한다면..첫번째 매혈 또한 호기심이었고, 마지막 매혈은 너무 나이가 들어 매혈을 거부당했기에..그는 전적으로 그 자신만을 위한 매혈은 없다고 봐야겟다.

이 책을 읽다 보면...매혈이라는 상황이 없었다면..허삼관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하는 궁금증이 든다.

그의 첫번째 매혈은 호기심에 이루어졌고..그걸 통해 상당한 금액을 받았으며..결국 허옥란이라는 부인을 얻게된다. 이 허옥란은 이미 약혼자가 있었지만..허삼관이 허옥란의 아버지와의 끈질긴 설득과 회유를 통해..그리고 금전을 통해 결국 이 여성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게 바로.. 허삼관의 첫번째 보너스 인생이다. 그리고 허삼관은 자식을 낳게 되는데..일락, 이락, 삼락이라는 세명의 아들을 낳는다. 이게 바로 두번째 보너스이다.

허삼관에게 매혈은 곧 보너스이자..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단한 무기이다.

비록 삶이 구차하고 대단친 않지만... 생각해보면... 정말 부러운 인생이다.

자신이 힘들고 괴로울때마다...보너스가 주어진다면... 과연 어떨까..

이 책을 읽고...우리 스스로 보너스로 점철(點綴)된 그러한 인생을 살 수 있을까? 한번 생각해본다..

이 책...읽을만하다...가볍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