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생각의나무 우리소설 10
윤대녕 지음 / 생각의나무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첫 페이지를 펴자마자 단숨에 한권을 다 읽었다. 새벽까지 내리 쭉 읽었다. 영빈과 혜연의 무심한 대화와 그 속에 묻어있는 그들의 고통을 잊을라 쉬지 않고 읽었다.

이 책을 보기전에 궁금했던것이..바다와 호랑이의 관계였다. 책을 읽기전 혼자 궁상맞은 생각을 다 해보았다. 바다와 호랑이면 무언가..용호상박인가? 아무튼 도저히 감을 잡을 수 없었다. 그래서 첫 페이지를 폈고, 그 뒤는 바다와 호랑이는 중요하지 않았다.

처음에 이 소설은 뒤죽박죽이었다. 시간이 영빈에 따라 얽혀있었고, 영빈은 공간에 설켜있었다. 그만큼 주인공인 영빈은 그 무었때문인지는 알 순 없지만, 저 가슴속 어딘가에 저리는 무언가를 지닌채 방황을 하고 있는듯 공간적 시간적 풀어헤침이 갈지자를 이룬다. 영빈은 우리나라의 현대사의 슬픔을 껴안은채 살아가고 있는 중년남성이다. 소설은 처음부터 모든 것을 설명하진 않는다. 영빈이 겪었을 사건들과 사무친 감정들을 애써 외면한다. 다만 영빈에게 무심하면서도 냉소적인 성격을 부여함으로써 이 소설을 읽어내려가는 독자들에게 계속 영빈에게 무슨 일이 있었고 왜 영빈이 이렇게 해야하는가라는 무의식적인 추측만을 하게 만든다. 영빈은 제주도에 내려가기에 앞서 자신이 살고 있는 아파트 이웃집 여자인 해연에게 집 열쇠를 맡기며 가끔 창문을 열고 케케묵은 먼지냄새를 없애주라며 부탁하는 것으로 그는 제주도로 현실도피를 하게 된다. 그에게 제주도는 자신의 지난 세월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공간이고, 자신이 입은 응어리를 풀 수 있는 이상적인 공간이다. 제주도가 이상적인 공간이라면 해연이 남아있는 서울은 현실적인 공간이며 영빈이 상처를 입었던 모든 사건이 일어났던 공간이다. 서울에는 영빈의 사람들이 있고, 제주도는 영빈이 항상 낚아올릴수 있는 물고기가 있다.

해연은 영빈이 현실과 끊을 놓지 않게 만드는 인물이다. 해연 역시 그녀만의 슬픔을 가지고 있으며, 그녀는 제주도에 내려가 있는 영빈을 통해 아픔을 치유하는 인물이다. 해연도 영빈과 마찬가지로 그녀가 가지고 있는 상처를 쉽게 내보이지 않는다.

영빈과 해연은 그렇게 각자 서로에게 비장한 무기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그들이 각자의 비장한 무기를 무장해제하는 순간이 서로에게 마음의 문을 여는 순간이기도 하다. 물론 영빈은 해연보다 먼저 그리고 서서히 무장해제를 한다.
이 소설은 서로 아픔을 가지고 있는 두 남녀가 서로를 통해 아픔을 치유한다는 애정일기와도 비슷하며, 초보 낚시꾼이 차차 손맛을 들여가 낚시 전문가로 거듭나는 낚시 전문 기행 소설이라 봐도 큰 무리는 없다. 마라도, 추자도, 차귀도등 여러 공간을 돌아다니며, 어느 시각의 물때(고기를 잡을 수 있는 조류가 흐르는 시각)의 시작과 함께 돗돔, 독가시치,긴꼬리 벵에돔, 돌돔등을 낚아올리는 이야기는 마치 그림속의 또다른 그림을 보는 듯한 또 다른 재미와 스릴을 안겨준다. 단순히 물고기를 낚는 것이 아니라,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처럼 그 속엔 주인공의 끈질김이 있고, 감동이 있다.

이 처럼 이 소설속엔 여러 이야기가 공존하며 그 이야기들은 하나의 주제를 풀어가기 위한 정말 감미로운 조미료인 것이다.
하지만 이들 재료들은 또 하나의 주제이기도 하다. 세상일을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해연에게 그녀만의 기쁨은 바로 영빈의 낚시에 대한 이야기이다. 해연은 어렸을때부터 아버지와 같이 낚시질을 다니는 준전문가이다. 바로 이 낚시가 영빈과 해연을 각자의 현실과 이상을 계속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도구인 것이다. 그래서 이 애정일기와 같은 이야기에서 낚시는 겉돌지 않고, 이야기의 또 하나의 뼈대를 구성해준다. 정말 감탄스러울정도로 탄탄하다.

또 영빈과 해연이 풀어가는 구도상 둘이의 갈등이 좀 밋밋한 감이 없진 않다. 공간적으로도 서로 떨어져 있고, 시간적으로도 그들은 서로 부대끼는 순간이 길지 않았다. 그러한 밋밋한 둘 사이에 히데코라는 일본 여성이 등장한다. 이 여성은 단순히 일본 여성이라기 보다는 할머니 쪽이 한국계인 한국 피가 말 그대로 1/4이 흐르는 여성인 것이다. 히데코의 등장은 역설적이게도 '히데코'라는 술집에서 일어난 일이며 단순히 둘 사이의 긴장감과 갈등의 구조로 등장하기 보다는 히데코의 한국계라는 정체성의 갈등을 영빈에게는 작가 자신의 시점의 관한 갈등을 내보이게 하는 어쩌면 작가 자신이 소설에 등장한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영빈도 회사 생활에 실패한 소설가이며, 히데코도 소설을 쓰고 싶어하는 작가지망생이라고 봤을때, 이 둘의 이야기는 작가 자신이 3인칭 시점의 소설에 3인칭으로 들어간 이상하면서도 재미있는 과정이기도 하다. 물론 소설을 읽으면 알겠지만, 작가 자체가 히데코가 되서 들어갔다기 보다는 실재 존재했던 일본작가인 [사기사와 메구무]를 영빈과 히데코의 둘 사이에 존재시킴으로써 그 둘은 또 하나의 연결 고리를 가지게 되며, [윤대녕]작가가 자신이 이 소설에 직접 개입할 수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정말 재밌다.

(안 읽었다면 이 부분은 읽지 않는 것이 좋을 듯..)

소설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모든 것들은 관계되어있고, 갈등 구조가 있으며, 그것을 시원하게 푸는 해법 또한 존재한다. 물론 이 해법이 나로서는 좀 마음에 안 드는 부분도 있지만, 이 책을 다들 읽었을꺼라 생각하고 말하는 것이지만, 히데코와 [사기사와 메구무]는 똑같이 한국계이며 똑같이 정체성에 고민을 많이 하는 인물들로 나온다. 다만 [사기사와 메구무]는 정식 작가로서 자신의 정체성 상실과 갈등을 자신의 소설을 통해 회복하려 그리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하지만, 히데코는 단지 그러한 [사기사와 메구무]를 부러워할 따름이다(참 여기서 둘은 친구관계로 나온다. 정확히는 동창관계). 하지만, 이렇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에 관한 문제를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타파하려는 이 둘에게 똑같이 자살이라는 죽음을 통해 보여지게 만든다는 것이다. 결국 이 둘은 스스로 해법찾기를 포기 하게 된 것이고, 반대로 영빈과 해연은 이 둘을 통해 해법을 찾게 되는 것이다. 나로서는 좀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다. 좀 통속적이게 보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 부분부터는 다시 읽어도 됨..)



다시 이 소설의 원초적인 질문으로 돌아와서 과연 영빈은 호랑이를 잡을 수 있을까? 영빈은 호랑이를 잡기 위해 이상적인 공간인 제주도로 왔다. 그 곳에서 제주도에 몰입을 하게 되고, 낚시라는 삶의 도구를 통해 마음속에 무너져 있는 자신의 현실의 해법을 낚는다. 하지만, 제주도도 거대한 죽음의 섬이라는 것을 영빈은 어느 순간 알았다. 태풍과 히데코의 죽음을 통해 제주도가 더 이상 이상적인 공간이 아님을 안 것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 영빈의 주위에 맴돌고 있는 거대한 호랑이와 조우하게 된다. 그동안 영빈이 키워만 갔던 호랑이..그 호랑이와 어느 순간 맞딱뜨리고만다. 태풍과 함께..

영빈은 가족과 영빈 자신 주위에 걸터앉았던 죽음의 끈, 항상 영빈이 생각했던 것이 자신은 죽음과 관련있다라고 생각했었던 그 죽음의 끈을 놓아버림으로써, 호랑이를 보낼 수 있었던 것이다. 히데코의 자살을 마지막으로..그는 감지할 수 있었다.

현실 어디에도 영빈을 동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영빈은 영원한 순간과 조우하게 되는 제주도로 내려간다. 하지만 결국 제주도 또한 다른 이들에겐 엄청나게 아픈 현실임을 알게된다. 그 현실을 빠져 나오지 못하는 제주도 주민들이 있던 것이다. 영빈은 또 다른 죽음을 맞닥뜨리게 되고 자신의 거대한 호랑이를 보내게 되는것이다.

과연 나는 언제 나의 호랑이와 조우하게 될 것이며 호랑이를 떠나 보낼까..나도 제주도가서 낚시를 해야만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