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성의 인류학자 - 뇌신경과의사가 만난 일곱 명의 기묘한 환자들
올리버 색스 지음, 이은선 옮김 / 바다출판사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내가 이 책을 읽기전에 가졌던 궁금증이고 이 책을 읽은 후 스스로 자연스레 다가오는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자 주제이다. 또, 같은 공간안에 있으며, 같은 공기를 마시고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무리들속의 한 '정상적인' 구성원으로서 이 '정상적인'이라는 말이 얼마나 무지와 편견의 소산인지 내 스스로 눈을 뜨게한 그런 책이다.
이 책은 단순히 내가 몰랐던 다양한 '불편한 삶'들을 보여줌으로써 '편안한 삶'에 안주하고 있는 나를 깨우치게한 그런책이기 보다는 그런 '불편한 삶'에 대해 놀라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 그런 나를 보며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하는 책이다. 또 마지막 책장을 덮고 [올리버 색스]라는 이름을 확인하며 경탄했던 그런 책이다.
이 책속에는 '불편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7명의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이들을 다르게 볼 수 있다. 이들은 이 책의 내용을 빌어 말하자면 '정상인과의 경계선'에 서 있는 것이다. 사고로 '전색맹'이 되어 자신의 목숨과 같던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을 잃고 엄청난 혼란에 빠졌으나 나중에 오히려 색감을 읽은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질서정연한 새로운 세상에 적응을 하는 직업이 화가인 [조너선 I]씨의 경우나 '투렛증후군'에 걸려 '틱'증상을 보이지만, 그에겐 단순한 하나의 일상인 [칼 버넷]박사의 경우 그리고 '자폐증'에 걸려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물학을 연구하고 장치를 고안하는 [템플 그렌딘]교수의 경우를 보더라도 그들은 질병에 맞서 싸우는 것이 아니라, 그 질병에 순응하며 그들의 삶속에 질병이 녹아든 그러한 인생을 살고 있다. 다만, 그들이 질병을 의식하는 경우는 소위 '정상인'이라고 하는 그들과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들 자신을 보는 '불편한 시각'을 '편안하고 안전한'시각으로 돌릴때에만 그렇다. 그렇다고 그 '정상인'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멀리하거나 불편해한다고 해서 이들을 이해시키려 하지는 않는다. 우리가 보기에 '불완전하며 불안전한 삶'을 사는 그들도 그들의 세상에서는 '완전하며 안전한 삶'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신경병에 걸린 사람들'에 내리는 정의가 얼마나 단순한 생각인지 이 책은 곳곳에서 따끔한 지침을 내린다. 한 예로 태어날때부터 시각을 잃었던 사람이 40년이 지난후 일부나마 시각을 되찾았을 경우에 그는 훨씬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정상인'의 생각이라면 이는 아주 '비정상적인 생각'임을 알려준다. 그에겐 사물을 볼 수 있지만, 결코 사물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의 사물뿐이 볼 수 없다. 그에겐 보이는 것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인 정보로 결코 쉽게 그려낼 수 없다. 그는 사물을 볼 수 있는 방법을 모르며 무엇부터 봐야할 지 모르는 것이다. 그에게 그러한 것은 뇌에 충분히 연마되어있지 않으며, 이러한 그는 '시각적인 세계'보다는 '촉감의 세계'가 더 편안한 것이다. 우리가 단순히 본다는 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학습한 결과라는 뜻이다.
'정상적인' 나로선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결과이다. 이런 무지를 책을 읽는 내내 발견한다.
우리가 살기 위해 마시고 있는 공기를 의식하지 못하듯이, 우리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이에게 나임을 보일 수 있는 '자아'를 의식하지 않는다. 이 '자아'가 우리들 각자에게 독보적이며 유일하듯이 '신경병 환자'들의 자아 또한 그들에겐 유일하며 독보적이다. 그들은 그들 자신만의 세계에서 완전한 '자아'를 이루고 있으며 우리의 '자아'와 별반 다르지 않다.

이 책이 '신경병에 걸린' 7명의 이야기이지만, '다름'을 지적하고 '특이'한 것을 쉽게 보지 못하는 우리들의 이야기이다. 우리가 보기에 항상 '정상적임'을 아쉬워하는 그들이지만, 그들이 보기에 우리는 똑같은 '경계선'위에 서 있는 사람들이다.
이 책의 작가인 [올리버 색스]는 신경병 환자들의 '정체성 혹은 자아'에 대해 단순하게 보존되거나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극단적으로 달라진 뇌와 '현실'에 적응하고 변화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가 소위 말하는 '신경병 가진 사람들'은 우리와는 다르지만 결코 우리라는 선에서 벗어날 만큼의 특별한 사람들은 아니다. '그들'이라고 보기전 또 하나의 멋진 세상을 가진 우리'라고 보는 것이 옳겠다. 이 리뷰에서는 언급을 안했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또한 그들만의 세상에서 주는 '선물'이 될 수 있으니 말이다.
** 몇가지 맘에 드는 부분을 소개하자면..**
투렛증후군에서부터 자폐증, 기억상실, 전색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경병의 습격을 받은 일곱 명의 주인공은 의학계의 전통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일종의 '사례'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나름의 세계관을 구축한 독특한 인간이기도 하다. (p. 31)
저는 상대방을 외부에서 관찰하기보다 그의 내부로 들어가려고 합니다. (p. 32)
색이 아니라 파장에만 반응하는 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p. 67)
하지만 차츰 문제와 갈등이 빚어졌다. 눈을 떴지만 보이자 않고, 시각의 세계를 구축할 수 없고, 자기 자신을 포기해야만 하는 데서 비롯된 문제와 갈등이었다. 그는 두 세계의 중간을 맴돌 뿐 어느 곳에도 안주할 수 없었다. 벗어날 수 없는 고문이었다. 하지만 그때 2차 실명이라는 역설적인 탈출구가 등장했다. 선물과도 같은 실명이었다. (p. 224)
PS.. 정말 이 책은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지루하지도 않을 뿐더러 정말 재밌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의 페이지와 비교하여 그리고 책의 내용에 비추어서도 결코 책값이 과하지 않을 그런 책인것 같습니다. 이 책은 마치 독서의 즐거움을 내비치는 그러한 책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