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성룡 - 설득과 통합의 리더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대한민국은 사극천하이다. 주로 MBC의 '정조 이산'을 보고 있지만, '태왕 사신기' 또한 이야기의 흐름을 한치도 놓치고 싶지 않은 드라마이다. '태왕 사신기'는 비록 '광개토대왕'의 이름만 가져다 붙인 판타지물이긴 하지만 나의 말초신경을 자극해대니, 다음 이야기에 목을 멘다. 이렇게 역사에 빠진 나의 눈은 때아닌 호사를 부리고 있다. 결국 우리 역사에 관한 책 한권을 집어 들었다. 일회성 감동이 아닌, 지극한 감정을 가슴에 새겨두고 싶어서(사실 이 감정은 책을 읽고난 후의 감정이다).
그렇게 해서 읽은 책은 '이덕일'씨의 『유성룡』이다. '유성룡'이라는 이름과 관계있는 키워드가 몇개 된다.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충무공 이순신'장군이다. 그리고 그 뒤를 '임진왜란', '선조' 등이 잇따른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당연히 '유성룡'을 앞세우고 '선조'와 '임진왜란' 그리고 '이순신'의 순서로 정렬된다. 사실, 정렬은 의미없다. 그러나 '유성룡' 을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이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유성룡'의 반동인물로서 '선조'를 주저없이 내놓을 것이다. 역시나 반동인물이 '왕'인 것을 보면, 유성룡의 고초가 쉽게 추론되어질 수 있을 듯 하다. '임진왜란'이라는 배경이 더욱 더 고초를 증가시킨다.
나에게 있어서 '유성룡'은 역사속의 주변인물이다. 그만큼 이 인물을 알아보지 못하고 느끼지 못했던 나의 무지가 크지만, 그렇다고 전적으로 나의 탓만은 아닌것이 역사는 기득권자를 위한 기록이기도 하며, 아무리 메마른 감정으로 당시의 상황을 살폈어도,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역사는 그 '기득권'의 기록을 바탕으로 해석되기에(여기에서 기득권은 '선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유성룡의 반대파인 '서인'을 의미한다), 아마도 '유성룡'이 역사를 이끄는 역할에서 점점 소외된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라는 생각이다. 어느 책에서는 '선조'때만큼 쟁쟁한 신하들을 본적이 없다라고 쓰여있는데,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때문에 국난을 극복하려던 당시의 조정 신하들이 다른 왕들때보다 더 부각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다(이 책은 기억이 나질 않는다).
이 책에서 '선조'는 전쟁을 수수방관하고 자신의 일신을 위해 조선땅을 버리려했던 인물로 묘사된다. 어느정도이냐 하면, 임진왜란이 터지자마자, 그(선조)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도망이다. 가자...북쪽으로... 물리적으로 나라가 가지는 의미는 그에게 그당시 없는 듯 보인다. 그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의 안녕, 가족의 안녕, 그 안녕을 위해 필요한 몇몇 신하들. 오직 그뿐이다. 왕이라는 명찰을 달고 있던 그가 조선이라는 땅덩어리를 자신과 동화시키는데 실패한 인물로 그려나가고 있는 것이다. 사실, '선조' 자신이 못되어먹은 왕은 아니다. 다만, 왕이라는 옷이 그에게 맞지 않았을 뿐이다. 그리고 '유성룡'은 그런 '선조'를 곁에서 보좌하며, '선조'의 요동내부(遼動內附) - 요동으로 도망가는 것 -를 막은 인물들 중에서 가장 주동 인물로 묘사된다.
이 책은 그렇게 시작한다. '선조'가 의주로 파천(播遷) - 임금이 난을 피해 도성을 떠나는 것 - 을 떠나는 장면부터 말이다. 이런 인물위주 혹은 사건위주의 서술을 하는 역사책은 시간과 공간에 있어서 표현의 한계를 보인다. 이는 당연하다. 모든것을 한권에 담을 수는 없으니 말이다. 그 한계를 인식하고 좀 더 포괄적인 역사를 받아들여야만, '유성룡'이나, '선조', '임진왜란'과 같은 각각의 키워드가 의미하는 특수성을 넘어, 보편적 역사 인식을 가지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렇게 몇가지 생각거리를 나에게 던져주었다.
역사 자체가 인과의 서술이기에, 당시 몇 십년간의 흐름은 그 당시에 발생했다가 사라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시간이라는 실줄과 날줄로 꼼꼼히 엮어져있다. 첫째, 왜 '선조'일까? 둘째, 왜 서인과 동인으로 나뉘어졌을까? 셋째, 왜 임진왜란이 일어났을까? 넷째, 가장 중요한 생각거리인 왜 유성룡이란 인물이 중요할까? 정도의 몇가지 질문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바로 '이덕일'의 '유성룡'이라는 책에서 보인다. 물론, 첫째와 둘째, 셋째는 크게 언급되지 않는다. 다만 흐름에 관계되어 소개만 될 뿐이다. 그래서 이순신에 대한 사항도 적절히 나와주어 이 책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듯 하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셋째와 넷째 질문일 것이다. 셋째 질문인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이유는 그 당시 조선 주변에 흐르던 국제정세와 무관치 않다. 바로 이웃인 중국과 바다건너 일본의 상황까지도 살펴야 한다. 하지만 단순히 이 책을 읽고 쓰는 감상문이기에 넷째 질문(왜 유성룡일까라는...)에 무게를 두려 한다.
이 책의 표지에는 '설득과 통합의 리더'라는 문구가 나와있다. 단순하게 '유성룡'이라는 인물을 표현한 것 같지만, 이 책을 읽고 난후, 이와 같은 일목요연함을 보여주는 문구는 더 이상 없다라는 생각이다. 여기에서 '설득'의 재료는 그가 가진 논리성과 충직성이다. 논리를 떠나 감정으로만 대하려는 '선조'와 항상 부딪히는 것을 암시한다. '선조'가 요동으로 짐싸들고 떠나려 할 때, 요동땅에 임금의 가마가 단 일보라도 벗어난다면 더 이상의 조선은 없다라며 강력하게 밀어붙인다. 선조의 자질부족과 전략적 무능을 애써 유연히 질타하는 말이기에, 이는 정유재란까지 끝난 후, 유성룡의 탄핵에 빌미를 제공한 것으로 이 책의 저자는 보고 있다. 또, '선조'가 도성을 버리고 도망다니고 있는 당시, 과감히 세자책봉을 건의함으로써 차후 '광해군'이 자발적으로 난을 적극 타개하는데 힘을 실어준다. '광해군'을 거리를 두고 있는 '선조'에게는 마땅치 않은 고변이었을 것이다. 더군다나 그는 조정 간신배 무리들의 모함을 뒤집어쓴, '이순신'을 위해 최선의 방어를 펼친다. 만약 '유성룡'이 그 방어에 무너졌다면, '이순신' 또한 사라졌을테이고, 그 뒤의 상황은 말하지 않아도 충분히 짐작할 듯 하다. 결국, 이런 설득이라는 고변들이 쌓여 '유성룡' 자신에게 칼이 되어 돌아오니, 그는 탄핵을 당하여 그의 고장으로 쫓겨갔다. 덧불어, 유성룡의 세력 약화를 안 '이순신'은 그가 살아돌아가도 못된 무리들에게 몸 성치 않을 것이란 것을 알고(더욱이 그는 가정과 가문을 이끌고 있지 않은가), 스스로 적지로 뛰어들어 생을 마감했을 거라는 작가의 추론도 물론 포함되어 있다(결국 유성룡이 파직당한 1598년 11월 19일, 이날 이순신은 노량해전에서 적의 유탄을 맞고 전사한다).
'유성룡'의 설득이 주로 왕(선조)에게 행하여졌다면, '통합'은 자신과 같은 신하들을 향한다. 통합을 이야기하려면, 다시금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동인과 서인이 있기 이전에 '사림파'가 있었다. 이 사림파는 훈구파의 대항마였으며, 이후 앞서 언급한 것 처럼 서인과 동인으로 나뉘게 되는 것이다. '유성룡'은 동인으로 자리 잡았는데, 특히 정치함에 있어서 '서인'들의 말을 무시하지 않고 그들의 의견을 들으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어떤 해석으로는 그가 우유부단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만큼 중도를 지키려고 노력하였지만, 결국 그는 이런 붕당을 이기지 못하고 탄핵되어 파직당하게 된다. 이 책에서는 그가 어려움속에서도 조선을 소신있게 이끌려는 노력을 보여주긴 하지만, 현실의 벽앞에 무기력할정도의 쓰러짐도 보인다. 그래서 '통합'을 이루려했으나 이루지 못한 아쉬움을 책속에서도 느낄 수 있었다.
결국, 다시 서인들의 학문적 이념을 '송시열'이 이어받게 되고 이는 곧 노론의 집권이다. 역사의 흐름이 다시금 반복된다는 것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끝난 후, 병자호란이 그 뒤를 이으니 말이다.
요즘 TV에서 한창인, '정조 이산'은 어찌보면 이런 결과물에 잉태된, 긴 긴 흐름속의 하나의 여울목에 지나지 않는다는 느낌이다. '선조'도 물론 그러했고.
지금은 어떠한가. 과연 우리는 흐름을 바꾸었나?
<덧붙임>
1. 이 책과 함께 읽어도 좋을 역사서...
먼저.. 『사도세자의 고백』과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라는 책이 있다. 저자는 역시 '이덕일'이다. 이 외에도 이 작가의 여러 책이 있지만 우선 안읽어본 분이 계시다면 이 두권을 먼저 추천한다(참..나 또한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라는 책은 읽어보질 않았다).
그밖에 '김훈'의 『칼의 노래』가 있다. 이순신의 관점에서 본 임진왜란을 그리고 있는데, 저자의 간결한 문체가 마음에 들었던 책이다. 이 책과는 반대의 관점, 즉 일본군의 눈으로 본 임진왜란(정유재란)에 관련한 책이 있다. '조두진'의 『도모유키』라는 책이 그것이다. 이 책도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있다. 이 역시도 문체가 간결하다. 기자 출신들은 다들 문체가 이러한가.
그리고 얼마전에 출간된 책으로, '기축옥사' 사건을 중점으로 한 '정여립'의 반란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무수히 많은 동인이 죽게 된다. (위에서 소개했던『유성룡』에도 이 이야기가 나온다.)
마지막, '이한우'의 군주열전 중 한편인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라는 책이 있는데, 이 책은 제목에서 보이는 것 처럼 '선조'를 임진왜란을 무사히 극복한 성군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제목이 너무 마음에 안들어 읽어보진 않했지만, 정말 성군으로 생각하는지 어떤지는 읽어봐야만 알 수 있을 듯 하다. 관심있는 분은 한번 보시고 이야기 해주시면 좋을 듯...
그 외에도 몇가지 이순신 관련 책도 있지만 몇권씩 되기에 소개를 하지 않는다.
2. 아..그냥 지나칠뻔 했는데...이 책을 빼놓을 순 없겠다.
![](http://pds6.egloos.com/pds/200710/20/89/a0010289_4719fe6dac3cd.jpg)
이 책은 '배기찬'의 『코리아, 다시 생존의 기로에 서다』라는 책인데, 여기에서 코리아는 옛 고조선때부터 지금의 한반도인 우리 땅을 지칭한다. 가장 큰 주안점은 동북아의 정치 판도의 변화인데, 중국과 일본, 그리고 우리의 코리아와 더불어 서양의 힘싸움을 역사적 시간 순으로 보여준다. 과연 이 책에서 보여주려는 우리나라가 겪었던 패턴은 무엇이었을까? 정말 괜찮은 책이며, 한번쯤 읽어둘만한 책이라는 생각이다.
3. 이 책의 저자인 '이덕일'씨의 역사 칼럼이 있는 페이지...(링크는 한겨레 21)
--> 역사에 흥미를 가지고 계신 분은 다 아실 듯 하지만, 그래도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링크를 첨부한다. 간결하면서도 정말 좋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 책을 읽으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한번 들어가셔서 보아도 괜찮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