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겉과 속 2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의 발전이든 사회의 발전이든 문화의 발전이든...그 어느것이든 완벽하게 시작되고 완벽하게 마무리되는 것은 없기 때문에 우리들이 '발전'에 관하여 포인트를 두어야 할 부분은 '과정'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강준만씨의 본 저서는 그 '발전하는 과정'에 명확히 부합하는 출판물이라 할 수 있다.

전작의 연장선상에서 보았을 때 본작의 내용과 구성, 방향은 매우 흥미롭다. 1권이 개별 매체 중심의 미시경제학이라고 한다면, 2권은 행태 사회학에 가깝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서술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다루어지는 소재는 인터넷을 위시해 굉장히 구체적이고 미시적이라 여러 성향의 독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인트로에서 언급된 피에르 부르디외, 장 보들리야르 등과 같은 학자는 둘째치고서라도 책 내용이 전개되면서 상당한 빈도로 등장하는 각종 사회과학자들의 언급에, 저자가 본 저술에 얼마나 철저한 고증작업을 거쳤는지 잘 알 수 있다.

서양의 이론들을 우리식 사고에 맞게 잘 소화해서 편집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아낌없는 점수를 주고 싶다. 다만 고증작업을 거치면서 그 자료가 너무나 방대했는지, 저자가 자신만의 색깔을 분명히 나타내지 못한 듯한 느낌이 든다. 이해는 잘 되지만 백과사전식의 구성이라 저자만의 '의식의 흐름'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고 표현하면 비슷한 것 같다.

그렇지만 본 책이 반드시 칭찬해줘야 할 만한 명저임에는 틀림없다. 번역서 일색인 대한민국 출판문화에서 이런 사람들은 선구자적인 마인드를 가졌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완벽하진 않지만, 적어도 완벽으로 가는 과정에 있어서는, 더없이 자기 역할에 충실한 '양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문화의 겉과 속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가뜩이나 인문학의 기반이 취약한 대한민국의 학문적인 풍토에서, 사회학과 인류학, 거기다 더 나아가 언론매체학까지 선진국의 수준과 비슷한 무엇을 기대한다면 그 자체가 이미 몰상식한 발상이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일 것이다.

저자가 언급했듯이, 온갖 조작으로 점철되는 각종 매체의 왜곡 때문에, 심지어 조그만 서점에서조차 책 한권한권의 옥석가리기는 쉽지가 않다. 그렇게 무분별한 기준하에서, 무분별하게 선정되는 각종 '베스트셀러'의 홍수 속에서도 이런 숨겨진 보석들이 지나가는 행인을 붙잡는 것을 보면, 보석은 분명 보석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모양이다.

사대주의 일색인 대한민국의 출판문화에서, 진흙탕 속 한 송이의 연꽃처럼 피어난 저작이기에, 이 책에 대해서는 백점은 커녕 백만점을 줘도 그 찬사가 모자랄 지경이다. 한국의 지식인으로서, 한국의 사회상을, 그것도 세계사회의 변화양상과도 연동시켜 이렇게 잘 분석, 정리해 낼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궁금하다.

물론 이런 올바른 소신과 철학을 가진 지식인이 대한민국에 존재한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감지덕지 해야 할 일인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좀 더 욕심을 내야한다.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물론 제목과 마찬가지로 대중문화에 대한 지면이 압도적이다. 그런데 막상 글을 읽고나면 기억에 남는 단어는 '대중문화'가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매개하는 '매체, 미디어'라는 생각이 든다. 지은이의 표현을 빌리자면 미시적인 대중문화 현상을 컨트롤 하는 하나의 '거시적 코드'라고나 할까.  

 

지난 50년간 한국의 사회와 경제는 오직 '압축성장'만을 해왔다. 21세기에 들어선 지금, 경제는 선진국의 궤도에 올라섰고 정치와 사회 역시 많은 부분 민주화가 이루어졌다. 동시에 지난 50년간 압축시켜왔던 사회 제반분야들이 본래의 모습으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그 본체를, 여러 문제점과 함께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 중 가장 심각하고 지대한 것이 언론 매체였기에, 지금의 우리에게는 그 어느때보다도 이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학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왜냐면 그것은 칼이나 불과 같은, 편리하지만 양면성을 가진 '도구'이기 때문이다.

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어쨌든 매스 미디어라는 것이 본격적으로 비판의 도마에 오른 것은 대한민국 역사에 있어서도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남을 것이다.

...대중문화의 위력에 대해서는 굳이 저자인 강준만씨의 언급을 듣지 않아도 실감할 수 있다. 다만 우리가 귀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그 '엄청난 덩치'를 컨트롤 하는 수단이며, 그것을 민주적으로 운용해야만 사회가 안정적으로 발전한다는 사실이다.

 

어쨌든 매체에 이렇게 진지하면서도 거부감 들지 않는 형식으로, 한국인의 머리에 의해 한 권의 책이 출판되었다는 사실, 쌍수를 들고 환영할 일이다. 딱딱한 전공서에서 일반 교양서까지, 서점가를 차지하고 있는 성인용 도서는 온통 번역판 일색이다. 그러한 되먹지못한 번역자-통역자라고 불러줘야 더 정확할-들이 이 사회에서 지식인임을 자처하는 세상. 뭔가 잘못된 것임에 틀림없다.

다루었던 주제가 매스미디어라는 특성상 출간된 당시의 상황과 지금 현재의 상황이 달라 현재의 시각에서 책을 읽어내리면 얼마간 괴리감이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점을 감안하고서라도, 본 저작은 충분히 '클래식'으로서의 자격이 있다.

편하지 않은 조건, 주류 출판문화의 저질스런 풍토 속에서 꿋꿋이 프론티어로서의 고난을 마다하지 않는 몇몇 지식인들의 분투에 고귀한 찬사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ean Into It
미스터 빅 (Mr. Big) 노래 / 워너뮤직(WEA) / 1991년 3월
평점 :
절판


각자의 파트에서 벌써 이미 최고의 수준에 올라있던 멤버들의 조합으로 미스터 빅이라는 밴드는 시작부터가 말 그대로 '거대했다.' 이런 거대한 이름값에 별로 부흥하지 못했던 전작이 준 상업적 실패 때문인지 본작은 앨범 구석구석 꼼꼼하게 심혈을 기울인 흔적이 역력하다.

어떤 앨범이 해당 장르 이외의 팬들에게도 어필을 하기 위해서는 수록곡간의 뚜렷한 변별력과 팝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본작 'Lean Into It'은 이 두가지 조건에 더없이 충실한 작품이었고, 이는 이후 이어진 상업적 성공으로 그대로 입증되었다.

성공을 촉발시킨 넘버는 당연히, 이젠 두말하면 사족밖에 안될 'To Be With You' 일 것이다. 기존의 락 발라드와는 차별성 확실한 모양새. 심지어 R&B와 아카펠라 송까지 연상될 정도로 이 곡은 락 팬뿐 아니라 일반 대중까지 공감시킬 수 있는 흡인력을 지니고 있었다.

성공의 기폭제가 된 넘버가 앨범의 가장 마지막 순서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약간 아이러니 하다. 이것은 역시 'To Be With You'가 그들의 마음 한켠에 자리잡고 있는 감성이라는 점을 표현한 것으로 풀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앨범의 전반부에서는 그들이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자신들의 음악적 성향, 연주 테크닉, 작곡능력-을 숨쉴틈없이 연속해 낸다.

포문을 여는 첫번째 트랙 'Daddy, Brother, Lover, Little Boy'는 속주 테크닉의 전형을 보여주는 메틀 송이지만 역시 앨범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튠은 블루스적인 감성이다. 그것은 때로는 멤버들의 작곡센스에 의해서, 그리고 때로는 보컬리스트 특유의 소울풀한 창법으로 나타난다.

실제로 'Voodoo Kiss', 'My Kinda Woman', 'A Little Too Loose'같은 트랙들은 다른 수록곡에 비해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지만 이들이 갖고 있는 블루지한 필링을 잘 보여주는 넘버들이다.

동시에 'Alive & Kicking', 'Green-Tinted Sixties Mind', 'Lucky This Time', 'Never Say Never', 'Just Take My Heart' 등에서는 각각 헤비메탈, 팝, 발라드 등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작법을 선보이며 청자를 유혹한다.

이미 역사 속의 밴드가 되었기에 지난 시절 이들이 가진 세번의 내한공연은 우리 대한민국의 락팬들에게 소중한 추억이 되었을 것이다. 아직 주다스 프리스트나 아이언 메이든 같은 거물조차 내한공연을 안가진 상황인데 미스터 빅같은 밴드가 몇번 공연한걸 가지고 그렇게 떠들 필요 있느냐며 반문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것은 분명히 '떠들어'도 오히려 아쉬운 부분이다.

그만큼 미스터 빅은 과소평가받은 '거장'이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ennonade
레모네이드 (Lemonade) 노래 / 록레코드 (Rock Records)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음반은 계속 발매되는데 광고를 위한 미사여구는 한정되어 있어서, 괜찮은 음반 하나를 소개하기 위해서는 이제 전문 어문학자가 되어야 할 상황이다.

등잔밑이 어둡다는 말이 있듯이, 우리는 우리의 귀에 꽤 익숙한 이름인데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또 제대로 평가를 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날카로운 몇몇 매니아들에 의해 제대로 인정받는 경우가 있긴하나 이는 대부분 극소수이며, 이점이 나를 굉장히 안타깝게 하는 대목이다.

레모네이드는 99년 한 장의 데뷔앨범을 남기고 증발한 남녀 혼성 트리오다. 멤버구성은 서태지처럼 모든 과정을 책임지는 리더 요한, 백보컬을 담당하는 모델출신 여성멤버 재경, 아무 하는 일이 없는 Dail이라는 사람 세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모네이드는 4줄 이상의 정보를 찾기가 힘이 들 정도로 희귀한 팀이 되었다. 99년 데뷔당시 락레코드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잠시 메인스트림에서 머물기도 했으나, 타겟설정을 잘못한 관계로 그 세계에서 완전히 사장되었다. 10대 댄스그룹들과 같이 섞여서 어울린 것이 결정적인 과오였던 것이다. 만약 조금만이라도 락적인 이미지로 어필을 했더라면, 대한민국은 정말 괜찮은 대중음악가 한 사람을..대성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본 앨범은 신인이 갖는 미숙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이다. 여기엔 전곡을 작사 작곡, 레코딩, 프로듀싱한 리더의 역할도 컸지만 이근형, 신현권 등 국내 정상급의 세션맨들 참여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 듯 보인다.

앨범의 전체적인 색깔은 역시 영국의 여운이 강하다. 하지만 '정직하게' 음악을 만든 의도가 청자에게 그대로 전달될만큼 특정 밴드의 그림자가 진하지는 않으며, 데뷔앨범치고는 아이덴티티도 뚜렷한 편이다.

잠시 공중파를 타기도 했었던 '곰인형'을 제외하더라도 본 앨범은 여러곳에서 빛을 발한다. 개인적으로 '푸른천사'와 '자주색'이 베스트 트랙이라 생각되는데, 이 곡들은 대한민국 가요 역사상 어떤 곡에서도 비슷한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실험성과 작품성 대중성이 완벽하게 결합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더욱 더 눈길을 끄는것은 작곡 스타일에 있어서 방법론의 차이이다. 여러 매체에서는 모던록이라는 둥그스레한 표현으로 이들을 소개하는 경우가 많은데, 분명히 구미권의 모던락과는 거리가 있어보인다. 특히 보컬라인의 멜로디는 가사가 한글이 아니더라도, 청자가 한국인이면 자연스레 몰입될만큼 '한국인'에 대해 흡인력이 뛰어나다.

개인적으로 이 팀의 리더인 요한이 서태지와 프로젝트를 해보았으면 하는 상상을 자주 해보았다. 왜냐면 서태지는 팝송에 대한 집착이 굉장히 강한데, 요한은 그 팝적 센스를 서태지의 상상 이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요한의 송라이팅을 보면 기본적으로는 정석을 달리나 군데군데 변칙적인 시도들이 소스역할을 해주어 곡의 전체적인 윤곽이 상당히 참신하게 나타나는 모습이다.

순정파 음악의 선구자 큐어가 이들의 영웅인만큼, 이들 또한 음악에의 순정을 버리지 말고 조속히 복귀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owboys From Hell
판테라(Pantera) 노래 / 워너뮤직(WEA) / 1990년 1월
평점 :
품절


80년대 후반 미국의 헤비메틀 시장은 사상 유례없는 초호황을 누렸다. 하루에만 수백개가 넘는 밴드가 결성, 해체되었으며 팬들의 호응으로 그 양적 팽창은 극단으로 치닫게 된다. 그러나 보름달은 곧 일그러지는 법이고, 정상또한 반드시 내리막길을 남겨두는 법이다.

90년대가 되어도 똑같은 음악을 변함없이 양산해내는 메틀씬에 팬들은 하나씩 둘씩 고개를 돌리기 시작했고, 보다 '다양한 맛'을 갈구하던 이들앞에 등장한 너바나와 얼터너티브는 90년대판 '수어지교'에 비유될 수 있었다.

주류 락씬이 이와같은 구조적인 변화를 겪었다면, 이른바 그 구조조정에서 살아남은 몇몇 메틀씬은 자체적인 생존방식을 모색하며 환골탈태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판테라라는 밴드를 통해 구체화되기에 이른다.

압도적인 우위에 있는 무게감과 연주력, 그리고 작곡에 있어서 전혀 새로운 방식의 어프로치, 안티 크라이스트로 대변되던 기존 메틀밴드들과는 확연히 다른 밴드의 아이덴티티...너바나가 그러했듯 판테라 또한 어떤 면으로 보나 성공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었다.

2기타로 운영되던 기존 메틀밴드들의 일반적인 시스템과 달리 판테라는 1기타로 그것이 가질수 있는 메리트(=면도날같은 깔끔함)를 훌륭하게 살려내었다. 그와 동시에 다운피킹에 의한 중량감있는 리프메이킹 면에서도 다른 2기타 메틀밴드들에 비해서 전혀 움츠러듦이 없을 정도로 두둑한 베짱도 느껴진다.

무엇보다 경탄할만한 부분은 역시 필립 안젤모라는 보컬리스트의 역량일 것이다. 스래쉬메틀 싱어로서의 기교와 파워는 말할것도 없고 청중을 쉴틈없게 만드는 과격한 스테이지 액션, 마초이즘에 중독된 듯한 태도와 스터프. 판테라를 처음 접하게 되는 사람이 느끼는 것은 바로 '에너지', 그것이다.

판테라 그자체를 상징하는 것이라과 봐도 무방한 첫곡 'Cowboys From Hell'은 말 그대로 그들의 모든 재능이 총집결 되어있는 넘버다. 시퀀싱을 이용한 현대적인 사운드의 시도, 이전의 메틀에 뒤지지 않는 부루털리티, 곡 후반부에 나타나는 그들만의 색깔 확연한 전개방식... 이후 연결되는 트랙들 역시 각자의 차별성이 분명히 나타나 앨범은 좀처럼 지루함(그것을 상상조차 할 수 있겠는가)을 느낄 수가 없다. 'Cemetery Gates'에서 잠시 템포조절을 한 후 이들은 앨범이 끝날때까지 질주를 멈추지 않는다.

90년대 초중반, 미디어가 주도했던 '메틀 왕따시키기' 분위기 속에서 끝까지 매니아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자신들의 생각이 옳은것임을 시각적으로 분명히 확인시켜준 밴드 판테라. 판테라가 있기에 메탈은 영원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