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겉과 속 2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의 발전이든 사회의 발전이든 문화의 발전이든...그 어느것이든 완벽하게 시작되고 완벽하게 마무리되는 것은 없기 때문에 우리들이 '발전'에 관하여 포인트를 두어야 할 부분은 '과정'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강준만씨의 본 저서는 그 '발전하는 과정'에 명확히 부합하는 출판물이라 할 수 있다.

전작의 연장선상에서 보았을 때 본작의 내용과 구성, 방향은 매우 흥미롭다. 1권이 개별 매체 중심의 미시경제학이라고 한다면, 2권은 행태 사회학에 가깝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서술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다루어지는 소재는 인터넷을 위시해 굉장히 구체적이고 미시적이라 여러 성향의 독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인트로에서 언급된 피에르 부르디외, 장 보들리야르 등과 같은 학자는 둘째치고서라도 책 내용이 전개되면서 상당한 빈도로 등장하는 각종 사회과학자들의 언급에, 저자가 본 저술에 얼마나 철저한 고증작업을 거쳤는지 잘 알 수 있다.

서양의 이론들을 우리식 사고에 맞게 잘 소화해서 편집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아낌없는 점수를 주고 싶다. 다만 고증작업을 거치면서 그 자료가 너무나 방대했는지, 저자가 자신만의 색깔을 분명히 나타내지 못한 듯한 느낌이 든다. 이해는 잘 되지만 백과사전식의 구성이라 저자만의 '의식의 흐름'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고 표현하면 비슷한 것 같다.

그렇지만 본 책이 반드시 칭찬해줘야 할 만한 명저임에는 틀림없다. 번역서 일색인 대한민국 출판문화에서 이런 사람들은 선구자적인 마인드를 가졌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완벽하진 않지만, 적어도 완벽으로 가는 과정에 있어서는, 더없이 자기 역할에 충실한 '양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