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 개정판
카타야마 쿄이치 지음, 안중식 옮김 / 지식여행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사랑 이야기는 차고 넘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인간의 부류는 남자와 여자, 이렇게 두 종류뿐이지만 그들의 화학적 반응은 일년 365일 어느 순간에나 계속되는 것이기 때문인가 보다. 그 오랜시간의 진화와 한정된 소재에도 불구하고 사랑 이야기는 어쩌면 그 종류가 그렇게 다양한지.
제목이 너무 장렬해서 조금 촌스럽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제목만큼 대놓고 슬프게 만드는게 작가의 의도라면 얼마나 지루할까 지레 겁을 먹기도 했다. 더이상 최루성 소설을 읽으며 눈물, 콧물을 흘릴 나이는 아니지 않은가. 그러나 영화의 유명세는 무시할 것이 못 되는가 보다. 참으로 자주 눈에 띄더니 결국 이게 아니다 싶으면 중간에 그만두면 되지 않은가 라는 핑계를 만들어 내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열다섯살에 같은 반에서 학급위원을 맡으며 알게 된 아키와 사쿠. 그들은 같은 일을 하며 자연스럽게 가까워 진다. 그러나 그들이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된 건 고등학교로 진학한 후다. 서로 고백을 하거나 교제를 하자고 제안한 것도 아닌데 그들은 자연스럽게 연인이 되고 누구나 인정하는 그런 사이가 된다. 마냥 행복할 것만 같은 나날은 아키가 불치병에 걸리면서 끝이 난다. 무균실 커튼 사이로 나날이 야위어 가는 아키의 모습에서 사쿠는 무심코 죽음을 예감한다.
현실과 회상이 교차되면서 사쿠의 입장에서 서술되는 그들의 사랑은 어찌나 담백하고 청량한지 군더더기없이 깔끔하기만 하다. 그래서 그들의 입맞춤은 마치 순결한 서약같은 느낌이다. 사쿠는 아키의 죽음에 대한 그의 감정도 담담하게 묘사한다. 그렇다고해서 그가 그녀의 죽음에 아무런 감정을 느끼지 못했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갑작스런 그녀의 죽음이 그를 절망하게 만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작가는 아키의 죽음과 사쿠의 절망을 극적으로 과장되게 표현하지 않는다. 그랬더라면 그들의 사랑이 오히려 구차하게 보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시간을 넘나 들며 묘사되는 사쿠의 혼란스런 감정들, 아키의 죽음으로 인해 뒤죽박죽 되어버린 감정의 실타래를 그는 과연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책의 말미에서 시간적 배경은 아키의 죽음에서부터 한참을 이동한 미래이자 동시에 사쿠가 존재하는 현재가 된다. 사쿠는 고향으로 돌아와 아키를 처음 만났던 중학교 교정으로 향한다. 교정에는 예전엔 있는지도 몰랐던 벚꽃 나무들이 가로수를 이루고 있다. 벚꽃 나무를 각인한 순간 유리병에 담긴채 뼛가루로만 존재했던 아키의 모습이 현실처럼 되살아 난다. 사쿠는 그들이 처음 만난 그 장소에서 아름답게 흩날리는 벚꽃 눈 사이로 그녀의 뼛가루를 날려 보내기로 한다. 그것은 오랫동안 간직했던 아키와의 사랑에 대한 예의이자 동시에 그녀의 부재에 대한 상실감의 극복을 암시하는 것이 아닐까. 비로소 그는 엉켜 있던 실타래의 끝부분을 찾아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