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준만이 부드러워졌다. 서슬이 시퍼렇게 한국 사회 여기저기를 메스 들이대듯이 읽어대던 강준만의 독해가, <지방은 식민지다>라는 책에서는 한결 부드러워졌다.
밖으로 향하던 외침이 이제 지방 내부의 구조를 향한 잔잔한 울림 같은 것으로 바뀌는 듯하다. 그렇다고 해서 힘이 떨어지지는 않은 것 같으니, 부드러움을 느낀다.
이 '광야의 외치는 사나이' 같은 사람의 부드러운 속삭임 같은 느낌이 들었다.
지금 강준만은, 지방 문제에 대해서 발언하는 한국의 거의 유일한 학자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강준만의 책은 김병준의 서문을 인용하면서 시작한다. 김병준, 참 골치 아픈 인간이다.
연초에 김병준을 비롯한 참여 정부 시절의 정책실장들을 비교하는 장 하나를 단 글을 '사회비평'에 보낸 적이 있었는데, 실명비판이 부담스럽다고 해서 절 하나를 완전히 다른 것으로 대체한 적이 있다.
노무현 시절, 내가 가장 이상하게 생각한 사람 두 명을 꼽으라면, 김병준과 이헌재라고 할 수 있다.
황금박쥐의 바로 그 김병준이고, MBC PD 수첩에 외압을 했던 청와대 당사자로 지목받은 그런 사람이었다.
나는 그가 민주주의를 지지하는지, 혹은 시민사회의 건전한 상식을 지지하는지, 여전히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고 있지는 않지만, 그가 한 때 '분권론'의 맨 앞에 서 있던 학자였던 것만은 부인할 수 없다. 어쨌든 꽤 긴 시간 동안, 이름이야 어찌되었던 분권론의 선두주자는 김병준이었다.
이제 김병준도 사라지고, 누구도 지방의 문제에 대해서 얘기하려고하지 않는 기이한 침묵이 흐르고 있는 지금, 어쨌든 이 문제에 대해서 계속해서 우리들을 환기시켜주고 있는 사람은, 현재로서는 강준만이 유일해보인다.
책은 전반적으로 따스한 느낌이고 - 예전의 서슬 시퍼렇던 강준만을 기억하거나, 아니면 비교적 최근에 나왔던 강남공화국에서의 투박하면서도 노도와 같던 글과 비교하면 확실히 - , 나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단어이지만, 어쨌든 '성찰'의 향취 같은 것이 풍긴다.
이 정도 얘기에는 조중동에서도 서평 한 줄 정도는 써줄 법도 할 것 같지만, 뭐 쌩까는 것은 여전하다.
요즘 사회과학 시장 분위기로 봐서, 강준만의 이 신작이 제대로 읽히거나 퍼지지는 않을 것 같은데, 참 안타까운 일이다.
내 생각에는, 비록 엇박이더라도 더 많은 사람들이 강준만의 질문에 대답했으면 좋겠는데, 세상은 늘 그렇게 좋은 방향으로만 흐르지는 않을 것 같다.
흠이라면... 너무 단문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SKY 문제와 패거리 문제, 그리고 지역의 문제 같은 것들이 겹치면서, 예리하면서도 야리야라한 면도날 같은 선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논리로 읽기 보다는, 마음으로 읽으면 좋은 책일 것 같고, 답을 구하기 보다는 질문을 구하는 책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다.
어쨌든 부드러워진 강준만, 낯설지만 싫지는 않다. ('쿨 에너지'의 황당한 얘기보다는 발도 훨씬 더 땅바닥으로 내려온 것 같다. 이제쯤은 진보신당 같은 곳의 '지역발전위원회' 같은데 위원장 해도 좋을 것 같다.)
* 본 서평은 우석훈 박사의 개인 블로그에 개제된 글을 동의 하에 재개제 한 것입니다.
* 원고를 제공해주신 우석훈 박사님, 개마고원 출판사 관계자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