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를 피하기 위해) 먼저 몇 가지 사실을 밝혀 두겠습니다.  

1. 7살, '여름 성경 학교'에 가서 나시티와 반바지를 입고 '캔디바'를 먹음. 23살, 뒤늦게 간 군대 훈련소에 자리한 교회에서 활동복을 입고 '핫브레이크'를 먹음.

2. 산타를 믿은 건 9세, 12월 15일 경까지. (결과적으로 그 해, 마지막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음)

3. C. S. 루이스의 <순전한 기독교>를 감명깊게 읽음. (가장 감명 깊었던 부분은 '교회를 다니는 사람이 (인격적으로) 매력적이지 않다고 비난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은 일이다. 그들이 교회를 다니지 않았다면 어떤 사람이었을지 생각해보라' 하는 부분)

4. 시간이 난다면 읽어 볼 '책'들 중 가장 앞부분에 <성경>이 자리하고 있음.

5.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 등을 즐겁게 보았음. 그 외 일당들의 저작 역시 재미있게 즐기는 편. (가끔씩 일반화의 오류 혹은 흑백논리로 느껴지는 부분도 있음)

대략 이 정도로. 이제 이야기를 시작할까요?

오늘 소개시켜 드릴 책은, 샘 해리스의 <기독교 국가에 보내는 편지>입니다. <샘에게 보내는 편지>나, 기독교 에세이집(?) 같은 표지를 하고 있지만 실은 어마어마하게 논쟁적인 책이지요. 국내에도 번역 출간된 작가의 전작은 <종교의 종말>. 그 무시무시한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샘 해리스는 "리처드 도킨스, 다니엘 데닛, 크리스토퍼 히친스와 함께 종교적 도그마와 지적 설계론을 비판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논자"라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작년 여름 <만들어진 신>의 뜨거운 논쟁부터  올 초 출간된 <신은 위대하지 않다>와 <자비를 팔다>를 거쳐 <기독교 국가에 보내는 편지>까지 오게 된 것. 어떤 내용인지, 무엇이 뜨거운지는 굳이 여기서 다시 밝히지 않겠습니다. 그렇다면 이 책은 다른 책들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1. 편지 형식을 빌고 있습니다. "이 형식은 사도 바울이 전도 여행을 다니면서 기독교인들에게 편지를 보낸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 같다"라고 옮긴이는 밝히고 있습니다. 악마 삼촌이 조카에게 보내는 '인간 유혹법', <스크루테이프의 편지>가 생각나기도 하고요. 그렇기에 굉장히 쉽게 읽힙니다.

2. 제목에서 보이는 것처럼 '기독교 국가', 그 중에서도 53%가 창조론을 믿고 있는 '미국'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다시 C.S. 루이스의 말을 떠올려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도대체 미국이 기독교 국가가 아니었다면 어땠을까- 그야말로 덜덜덜 하지 말입니다)

3. 얇습니다. (마찬가지로 들고 다니기 즐거운 사이즈의 <자비를 팔다> 보다도 15페이지가 적습니다) 따라서 한 문장도 돌아가지 않습니다. 끊임없이 펀치를 날리는 날렵한 복서처럼.

공통점은 딱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엄청나게 논쟁적이라는 것! 어때요, 뜨거운 논쟁의 한 가운데로 함께 가보실래요? (Shall we?)

* 이런 분께! : 기독교신자(무신론자/불교신자/이슬람교신자/제수이트교신자 등등)라면, 현대 미국을 지배하고 있는 한 축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종교 관련 논쟁의 뜨거운(Hot!) 맛을 보고 싶으시다면
* 이 책도 함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