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늘한 점심상
잠깐, 광화문 어디쯤에서 만나 밥을 먹는다
게장백반이나 소꼬리국밥이나 하다못해 자장면이라도
무얼 먹어도 아픈 저 점심상
넌 왜 날 버렸니? 내가 언제 널?
살아가는 게, 살아내는 게 상처였지, 별달리 상처될 게 있다면 지금이라도 떠나가볼까,
캐나다? 계곡? 나무집? 안데스의 단풍숲?
모든 관계는 비통하다, 지그시 목을 누르며
밥을 삼킨다
이제 나에게는 안 오지? 너한테는 잘 해줄 수가
없을 것 같아, 가까이할 수 없는 인간들끼리
가까이하는 일도 큰 죄야, 심지어 죄라구?
너는 다시 어딘가에서 넥타이를 반쯤 풀며
자리에 앉아 담배를 피우며 머리를 누르고
나는 어디, 부모 친척 없는 곳으로 가볼까?
그때, 넌 왜 내게 왔지?
너, 왜라고 물었니?
C'est la vie, 이 나쁜 것들아!
나, 어디 도시의 그늘진 골목에 가서
비통하게 머리를 벽에 찧으며......
다시 간다
詩 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프렌치 토스트에 딸기잼을 듬뿍 바르고 햄 한 조각 넣어 씹어먹는 아침상. 배경음악도 아닌 배경수다처럼 틀어놓은 티비에선 올여름 휴가를 함께 하고 싶은 연예인들을 꼽는다. 남편이 묻는다. 자기는 누구랑 휴가를 가고 싶어? 스크램블 에그를 한 입 가득 넣고 남편 얼굴은 쳐다보지도 않고 말한다. 나, 혼자. 어느덧 나를 닮아 애교가 늘어버린 남편은 생글생글 웃으며 자기는 나와 함께 휴가를 가고 싶다고, 뻥, 일지도 모를 접대용 멘트를, 철철, 흘린다. 어디에서 보았더라. 나처럼 말한 대다수의 여자들을 본 적 있다. 그들은 일상에 지치고 시들어버린 여자들이었다. 여름 초입부터 두 달 동안, 지금까지 쭈욱 힘들고 고단하고 시들고 피곤하다. 대학 1학년 여름방학. 남들 다 가는 유럽 배낭 여행을 보며 엄마가 말했다. 너도 다녀와. 못 간 이유는 많았다. 갑자기 가려니 난감했고 엄마가 진즉에 떠밀지 않은 것이 야속했고 봐야할 영화가 수북했다, 그때. 나중에 가지 뭐 하고 말았는데... 그때 갔어야 했다. 아니면 그때 못 간 휴가, 지금 되찾아서 떠나고 싶다. 물론, 나 혼자. 혼자, 라는 것 때문에 이 시집을 꺼낸 건 아니다. 이 시집이야말로 어떤 구실에서든 내가 불쑥 꺼내볼 수 있는 진통제니까. 진통제를 스윽, 눈으로 맥주먹는 게처럼 스윽 빨아들인다. 심장이, 마음이 차가워진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나 혼자 가장 편한 신발을 신고 노트북과 <렛미인><완벽한 병실>을 들고 떠났으면 좋겠다. 아아. 막 상상하니까 막 행복해진다. 어쨌든 나도 어디로든 다시 간다.
책그림이 있어야 멋있어지는 알라딘 페이퍼. 한밤중만 피해서 읽자 하면서도 꼭 잠자리에 들어서야 렛미인을 펼쳐보게 된다. 꿈자리가 사나울까봐 많이 읽지 못하고 접어버린다. 영화보다 더 좋을거란 예감은 빗나가지 않았다. 디비디가 나오는대로 꼭! 자로 잰듯 소설 쓰는 여자 오가와 요코의 완벽한 병실은 집중을 필요로 한다. 없음에서 있음으로 바꿔나가는 소설가의 재능을 훔쳐보며 마구마구 생성되는 건물들과 책상과 병실 침대를 상상한다. <임신캘린더> <약지의 표본> <박사가 사랑한 수식>과는 다르다. 언제나 다음 작품이 기대되는, 그 다음 작품이 참 좋은 작가중에 한사람.
저녁은 좀 가볍게 먹고 싶다. 서늘하면 더 좋겠다. 오늘은 일년 중 가장 무더운 '대서'다. 어제 일식 이후에 시원해진 날씨. 대서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크크. 이대로라면 여름, 지낼만하다.
페이퍼 배경음악은 윤상 <소심한 물고기들>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