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도시인들을 위한 비둘기 소개서 - 오랜 시간 인간과 함께 한 비둘기 이야기
조혜민 지음 / 집우주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다른 책을 빌리러 갔다. 새로운 책 코너를 지나가면서 “비둘기” 라는 단어가 빛이 나면서 눈에 들어 왔다. 


평소 새에 관심이 있지만, 생각해 보면 새에 관한 책을 읽지 않아 온 것 같다는 생각이 있었다. 소개서라는 이름처럼 아주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 이었다. 특히 독일의 동물 복지를 소개하는 닫는 글이 인상적이다.  

비둘기는 생각보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온 시간이 길었다. 긴 시간만큼 다양한 부분에서 인간과 상호작용을 해왔다. 가축, 우편 배달, 경주, 반려 동물. 이렇게 가까이 우리 곁에 있던 비둘기는 슬프게도 이제 여러 도시를 가도 골치 덩어리가 되었다. 여러 목적으로 길러지던 비둘기들이 그 목적을 상실 하면서 길 바닥에 내 안게 되었고, 도시 사회에 적응하면서 개체수 늘어나며 인간과 마찰을 겪고 있다. 

하지만 독일의 일부 도시는 상황이 다르다. 비둘기를 야생동물이 아니라 인간의 도움이 필요한 동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이 부분을 보고 독일에 한번 가보고 싶어졌다. 비둘기장이 설치되어 있는 도시(아우크스부르크, 아헨, 뒤셀도르프, 빌레펠트, 마인츠, 비스바덴 등) 들로 가보고 싶어졌다. 도시 외곽의 한적한 곳에 여러 비둘기장을 지어 비둘기들이 자기 집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관리인을 두어 개체수 관리를 하고 동물복지 목표를 충족하면서 비둘기로 인한 피해와 갈등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작가는 비둘기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조금은 따뜻해 지기를 바랬다. 또한 인간 사회와 밀접하게 맡 닿아 있는 “동물들은 인간인 우리가 최소한의 도리와 책임을 다해야 한 존재들입니다.”라고 말하며 책을 마무리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강, 소년이 온다 깊게 읽기
박숙자.정미숙.정현주 지음 / 더스토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6월 15일 읽기 시작


*박숙자

5.18 이후의 문학: 고통과 책임






*정미숙

오월을 경험가고 기억하며 공감하다. 

기억과 정동의 상호작용



“[소년이 온다]를 통해 광주를 다시 경험하고, 기억하며, 공감하는 시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


삽화적 기억/집단적 기억/역사적 기억

-삽화적 기억

화자가 “너“

삽화적 기억은 개인 자신의 삶에 있는 에피소드나 마음 상태에 대반 자발적인 혹은 비자발적인 상기에 기반한 (실제적이거자 혹은 상상된), 직접적인 개인의 경험의 회상을 말아한다. 


잔혹한 낙관주의. 대상 자체가 삶을 연속시키키는 조건으로 작용하기에 포기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잔혹하다”과 할 수 있다. 


-집단적 기억

화자가 “나”

집합적 기억은 한 민족 집단이나 한 국가의 시민 집단과 같이, 개인들의 집합은 과거에 대해 어떤 공통적인 인식을 공유한다는 것이다. 


집단적 기억은 “수치”와 “혐오”의 정동을 발생한다. 


-역사적 기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6월 3일 읽기 시작

6월 13이 완독


1.어린 새

기름하다 : 윤기가 있고 광택이 나다

몸피 : 몸의 굴기 또는 채구

시취 : 시체가 썩는 냄새

부러=일부러

선득하다=갑자기 서늘한 느낌이 있다

아직 한방울의 비도 바람 사이로 튕겨져나오지 않았다.

촛불 하나하나가 고요한 눈동자들처럼 너를 지켜보고 있다

*너는 생각한다. 왜 3인칭인가??

어린 새는 영혼인 것 같다 (23 페이지)

길게길게 햇빛을 들이 마셨다가, 해가 지면 길게 길게 이산화탄소를 내쉰다

*이때는 방송도 규모가 작았으니까 갑자기 들이닥친 군인들이 더 무서웠을 것

비 =영혼들이 흘린 눈물

비트적거리다=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고 약간 비틀거리며 걷다

여남은=열이 조금 넘는 수
우렁우렁=소리가 매우 크게 울리는 모양
오지항아리=오짓물을 발라 만든 항아리

주인공은 동호. 친구의 죽음을 지켜볼 수 밖에 없었던...

정미, 정대

주억거리다 = 고개를 앞뒤로 천천히 끄덕거리다
깨금발=한발을 들고 한발로 섬

한식경=한 차례 음신을 먹을 만한 시간

주목 지팡이
성글다 =물건 사이가 뜨다
터럭=사람이나 길짐승의 몸에 난 길고 굴은 털

가제=임시로 대강 만듦

체머리=머리가 저절로 계속해서 흔들리는 병적현상. 혹은 그런 현상.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마음과 분노가 가득한 동호
===============================

2.검은 숨
오금:무릎의 구부러지는 안쪽 부분

습자지=글쓰기 연습 할 때 쓰는 얇은 종이

구름에 싸인 반달이 눈동자처럼 나를 마주 본다고 생각하고 싶었지만 그건 단지 텅 빈 은빛 돌, 생명이 살지 않는 거대하고 황량한 암석 덩어리일 뿐이었어.

검은 나무

몸이 없는 누나를 어떻게 만날까? 몸 없는 누나를 어떻게 알아볼까.

우듬지=나무의 꼭대기 줄기

친친=든든하게 자꾸 감거나 동여매는 모양

초파일=부처님 오신 날
논배미=논두렁으로 둘러싸인 논의 하나하나의 구역

온 세상이 어항이야. 모를 내기 직전의 맑은 논물에 하늘이 끝없이 비쳐 있었지.

설탕 같이 부서지는 수박

이슥하다=밤이 꽤 깊다
수효=낱낱의 수

*검은 숨=시체를 태우는 검은 연기
간헐적으로 쉭쉭 뿜어져나오는 검은 연기는 우리들의 썩은 몸이 내쉬는 숨 같았어.

사위어가다=불이 다 타고 사글어들어 재가 되다

==================================
3.일곱개의 뺨

훈기 = 훈훈한 기운
윤문=글을 윤색함
윤색하다=윤이 나도록 매만져 곱게하다
초로=노년에 접어드는 나이
함바집=건설현장에세 임시로 지어놓은 식당
석유곤로=석유를 연로로하는 풍로
외틀다=한 쪽으로 틀다

집까지 서두르지 않고 걷는 시간을 그녀는 좋아했다. 걷는 동안 두서없이 떠오르는 생각들을 그녀는 굳이 밀어내지 않았다.

거스러미=손발톱 뒤의 살 껍질이나 나무의 결 따위가 얊게터져 일어난 부분

어떻게 분수대에서 물이 나옵니까. 무슨 축제라고 물이 나옵니까.

얼결=뜻밖의 일을 갑자기 당하거나, 여러 가지 일이 너무 복잡하여 정신을 가다듬지 못하는 판

그 지워진 책 속에 아직 무엇이 남아 있기라도 한 것처럼

개키다=옷이나 이부자리 따위를 겹치거나 접어서 단정하게 포개다.

올배쌀=올벼쌀=찐쌀
덜 여문 벼를 쪄서 말린 뒤 도정한 쌀

그 사람들은 언제까지나 배가 고프지 않을 것이다, 삶이 없으니까. 그러나 그녀에게는 삶이 있었고 배가 고팠다. 지난 오년 동안 끈질기게 그녀를 괴롭혀온 것이 반소 그것이었다. 허기를 느끼며 음식 앞에서 입맛이 도는 것.

*그 당시 집회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의 심리 상태도 편치 않았다. "혼자 살아남을 것을 가장 두려워했을 것이다."

어릿어릿=말과 행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생기 없이 움직이는 모양
괴괴하다=쓸쓸한 느낌이 들 정도로 아주 고요하다

만장=죽은 사람을 슬퍼하여 지은 글

4.쇠와 피

희부옇다=희끄무레하게 부옇다
흡반=다른 동물이나 물체에 달라붙기 위한 기관
언도 받다=『법률』공판정에서 재판장이 판결을 알리는 일
세밑=한 해가 끝나갈 무렵

어떤 기억은 아물지 않습니다. 시간이 흘러 기억이 흐릿해지는게 아니라, 오히려 그 기억만 남기고 다른 모든 것이 서서히 마모됩니다.

소년이 온다라는 제목은 항복하며 나오는 다섯명의 어린 학생들이 나오는 것을 의미하는 걸까

📚 책을 읽어 보면 시체에 남아있는 모습을 통해 당시의 군인들이 잔인함을 옅 볼수 있다

5.밤의 눈동자

나는 밤마다 기도했습니다. 절에도 교회에도 다닌적 없었지만, 이 지옥에서 나가게 해달라고 빌었습니다.

구사대=회사 측이 만든 노동운동 파괴조직

캄캄한 잔디 아래 연달아 밟히는 게 흙이 아니라 잘게 부서진 유리 조각들 같다.

오종종하다=잘고 둥근 물건들이 한데 빽빽하게 모여있다.
선득하다=갑자기 서늘한 느낌이 있다.

6.꽃 핀 쪽으로-여기 장에서 살짝 울컥(183쪽)

아들을 보고파서 뜨거운 여름에도 밖에세 아스팔트 위에 서 있는 노모

가벼운 관

에필로그

살풍경=보잘 것 없이 메마르고 스산한 풍경

기름하다=조금 긴 듯 하다

소년은 강동호 중학생

잔인했다

친족=촌수가 가까운 일가

아무도 내 동생을 더 이상 모독할 수 없도록 써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저주토끼 - 개정판
정보라 지음 / 래빗홀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장마가 시작되고 여름이 시작된 지금 스마트폰으로 틈틈히 이 책을 읽고 있다. 

아침을 먹으며, 버스를 기다리며, 기차 안에서. 



*저주토끼

처음 정보라 작가님의 문장은 읽었을 때 호흡이 길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매력있다. 


왜 우리가 녹색 소주병만을 마시고 있는지 잘 알려준다. 자전적인 소설을 쓰시는 작가님도 이 녹색 소주를 싫어 하시는 것일까?




*차가운 손

중간에 눈치를 채기는 했지만 , 정말 으스스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물은 공짜가 아니다]

양육을 해준 댓가를 돈으로 갚으라는 엄마에게서 성장한 주인공. 볶음면 가게를 운영하는 주인공은 잠시 들린 술취한 손님에게 물 한잔 공짜가 없다. 영화내내 차가운 표정을 하고 있던 주인공과는 다르게 방에 새로 들어온 하우스메이트는 주인공에게 집밥을 해주면서 천천히 다가간다. 그러면서 주인공의 마음은 천천히 열리기 시작하고, 결국 마지막에 메뉴 없는 국물있는 음식을 공짜로 친구들에게 대접하며 영화는 끝이 난다. 


한때 요리사를 꿈꿔서 그런것일까? 나는 요리를 하고 음식이 나오는 영화를 좋아한다. 요리를 많이 하지는 않지만, 정성을 담아서 만드는 요리는 기다리는 재미가 있고, 만드는 뿌듯함이 있으며, 어떤 요리 보다도 맛있다. 



-메모

*빚을 청산하는 마지막 달, 수민은 불편하기만 했던 집밥이 어느새 맛있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누군가에게 사랑받는 다는 건 무형의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음식은 그 사람의 성장 과정을 반추시키는 힘을 가졌다. 


*집밥을 통해서 따스함을 전하는 영화 

*식사란 함게 앉아 집밥을 눠먹으며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는 소통의 행위

(https://program.kbs.co.kr/1tv/enter/indiefilm/pc/board.html?smenu=108745&bbs_loc=T2010-1661-04-718727,read,,623,1420797) 

*시골에서 자란 아이는 벌레는 잘 잡는 다는 편견. 



[저 엉덩이만 들여놔도 될까요?]

지방에서 올라와 빵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서울살이를 하고 있는 주인공. 어느날 같은 동네에서 자란 동생이 주인공을 찾아왔다. 몇일 정도만 주인공의 집에서 있겠다던 동생은, 점점 주인공의 공간을 차지해 나간다. 마음씨 착한 주인공은 어려운 상황에 처한 동생을 잘 감싸 주지만, 점점 선을 넘는 동생. 어느덧 동생의 거짓말이 들통이 나고 마는데... 주연과 조연들의 연기를 보다보면 영화는 어느새 끝을 향해 달려간다.  


-메모

*낙타 이야기 

*두 여성 캐릭터의 신명나는 충돌

*포복 절도할 침입기 

*지금을 살아가는 여성들의 이야기 

*두 배우의 캐릭터 연기는 영화를 이끄는 탄탄한 동력이다. 

(https://program.kbs.co.kr/1tv/enter/indiefilm/pc/board.html?smenu=108745&bbs_loc=T2010-1661-04-718727,read,,623,14207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